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사업/직장
  • 싱가폴 취업관련
  • 럭셔리미쓰리 (ryeppojin)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0%
  • 2015-12-02 16:09
  • 답글 : 4
  • 댓글 : 6
  • 4,169
  • 0

현재 한국에서 외국계 기업 재직중인 여사원입니다. 무역관련 쪽에서 일하고 있구요 참고로 2년 됐습니다.

싱가폴이라는 나라, 동서양의 문화가 어우러져 있어 참 매력적인 부분이 많다고 생각듭니다. 지금 한 살이라도 더 어릴 때 외국으로 나가 경력을 쌓고 싶은데요,  하여, 싱가폴 취업에 관하여 선배님들에게 조언을 듣고자 해서 글을 적어봅니다.

1. 현지인들이 많이 이용한다던 JOB street이나 linkedin 을 이용해 보았는데, 연락도 잘 안오고 여기저기 들어보니 외국인들에게 비자를 잘 안준다더군요. 혹시 Job을 구할 때 보통 어떻게 구하시는지 궁금합니다.

2. 에이전시들과 상담도 해보았는데 급여문제가 굉장히 걸립니다.보통 싱달라 2000이 안된다고 하던데,, 초봉을 이정도 받나요? 제가 알기론 집값이 어마어마한 나라인데.... 싱달라 월 2000이 안넘으면, 다들 어떻게 생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한시라도 빨리 싱가폴에서 일하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 [답변]
  • 싱가폴 취업관련
  • 톨킨 (rings)
  • 답변 : 8건
  • 답변채택률 : 25%
  • 2015-12-02 21:00

원하시는 답변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만..

업/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졸업 후 2년이라는 기간은 실무경력으로 인정받기 어렵지않나 생각합니다 (해외 취업시).
따라서 질문하신 분의 경우, 한국에서 싱가폴의 잡을 찾는 것을 감안할 때, 직접 지원하기 보다는 에이전시를 통해 잡을 찾는 것이 비교적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급여는 회사마다 또 하는 일에 따라 천차만별이니 같은 업/직종이 아닌 이상 조언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대략 보고 들은 바를 말씀 드리면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싱가폴 4년제 대학 졸업생인 경우 신입사원 급여의 중간 그룹이 3천초반에 형성되어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에이전시가 말한 2천은 3년제 폴리테크닉 졸업생 또는 그와 동등한 레벨의 구직자에게 적용되는 임금 수준 같습니다. 그럼에도 생활이 가능 한 것은 현지인들은 부모와 동거하기 때문에 주거비가 들지 않기 때문이겠고, 동일한 임금이라면 외국인들의 생활은 굳이 말씀드리지 않아도 가늠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 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싱가폴 취업관련
  • 오브코사 (totalart)
  • 답변 : 24건
  • 답변채택률 : 0%
  • 2015-12-02 23:16
에이젼시 사기꾼 많습니다 조심하세요. 4년제 졸에 2년 경력이면 못받아도 4천이상은 받습니다. 받아주느냐 안받아주느냐가 문제죠. 직접 apply하시길 추천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싱가폴 취업관련
  • yolo.alice (unme88)
  • 답변 : 8건
  • 답변채택률 : 0%
  • 2015-12-03 15:05

다른 건 모르겠고요.

에이전시 믿지 마세요.

에이전시는 질 좋은 일자리 취업시키는게 아니라 그냥 무작정 취업시키는게 목적이라

경력에 맞는 일자리 소개해주지도 않고요.

자기일처럼 챙겨주지도 않습니다. 알선료로 내는 비용이 많음에도 불구하고요.

(직접 경험담입니다.)

 

한국에서도 취업 쉽지 않잖아요?

아직 도전하신지 얼마나 되신지는 모르겠으나

좀 더 도전해보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싱가폴 취업관련
  • 꼬꼬1208 (million09)
  • 답변 : 239건
  • 답변채택률 : 20.5%
  • 2015-12-04 00:02

안녕하세요.

저는 기계 공학을 전공하고 현재 싱가폴 로컬에서 건설 설계쪽에 일을 하고있는 한국인 노동자입니다^^

남일 같지가 않아서 몇글자 남깁니다.

우선 현지인이 많이 이용하는 잡스트릿이나 링크드인은 말그데로 현지인이 많이 이용하는 것입니다.

외국인에 대한 오퍼를 찾을수는 있지만 거의 원하는 잡을 매칭할수 있는 경우는 드물고요. 대부분 Permanent입니다.

외국계무역회사라고 하셨는데 회사에서 법인이 어떻게 나눠져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외국 본사나 혹시 싱가폴 이 있다면 해외 사업부 주재원 파견 쪽으로 관심을 가져보시는건 어떨까 생각이 듭니다.(장단점이 있지만 확실히 대우가 다릅니다.)

우선 글로벌 업체가 아닌 일반 로컬 업체 HR부서에서 주변 사람의 추천 없이 외국인(한국인)을 서류만 받아서 면접까지 보는 경우는 0%에 가깝구요.(드물게 몇몇 케이스를 보긴 했지만 로컬에서도 얼마든지 인력을 구할 수 있는데 굳이 귀찮게 서류를 만들고, 외국인 채용에 대한 규제를 커버해가면서 외국인을 채용하고 싶어하는 회사는 드뭅니다.)

드물기는 하지만 일부 대기업은 OPEN DAY를 통해서 국적에 상관없이 한국의 채용 설명회 같은 방식으로 당일에 바로 인력을 뽑는 경우도 보았습니다만 정보를 구하기가 정말 어려우실 겁니다.

한국인이라는 점은 함께 일하는 친구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갈수 있는 매우 강력한 장점 중에 하나이지만

한국인 노동자에 대해서 고용주들에게 인식이 매우 나빠지고 있습니다.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 한국인이 저를 포함 3명이 었습니다만 한 명이 3개월 차에 치과 치료를 목적으로 한국에 갔다가 돌아오지 않아 본사에 들어갈때 마다 그 친구 어디갔냐고 저한테 물어봅니다. 제가 휴가라도 제출하면 한국으로 영원히 돌아가는거냐고 리자인 레터는 어디있냐며 장난으로 말하곤 합니다./

와이프 회사는 사원수 7000명 규모의 대기업인데 재작년부터 한국인 채용을 금지한다는 써큘러가 돌았다고 합니다. 이유인 즉 1년도 못채우고 떠나는 사람이 태반이고 몰래 도주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합니다. 와이프 회사는 교육비에 대한 2년의 본딩이 있습니다. 와이프가 입사한 후 3년이 지난 지금 같은해에 입사한 30여명 정도 되었던 한국인들이 현재 3명 남았다고 합니다.^^ 꼭 한국인만 그런건 아니지만 근태나 아무튼 퇴사 관련래서는 문제가 많았다고 합니다.

 저도 그동안 로컬 친구(나이가 저보다 20살은 많습니다^^)가 HR로 있는 회사에 두군데 정도에 학교 후배 한국인을 소개 시켜 줬습니다만 어느날 갑자기 연락이 와서 그 사람이 연락이 안된다고 해서 곤란했던 적도 있습니다.

아무튼 무역쪽은 한국 에이전시쪽으로도 오퍼가 자주 올라 오던데 가급적이면 한국에이전시 보다는 로컬에이전시를 추천드립니다. 뭐 소개라는 게 말이 말이 소개지 사람팔아서 장사하는 애들이라 그 직업 자체가 사기꾼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그래도 정말 아무 연고도 없이 직업을 구할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감사한 직업입니다^^ 믿을 만하지는 않지만 우선 입싱하시는데 확실한 해결책이라 생각합니다.

급여 문제가 굉장히 걸리실 겁니다. 2000달러 안되는거 맞습니다. 싱가폴 로컬 대학을 졸업하고 입사를 해도 초봉은 3000전후입니다. 또한 외국 대기업의 해외 사업부에 입사를 하더라도 3000 그 이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실력이 있으시다면 업계에서 금방 두곽을 드러내실 겁니다. 추후에 이직 제의를 받는다면 현재 급여에 2배는 기본이고 3배까지도 가능합니다.(제 경험입니다) 그때는 귀찮게 들어보지도 못한 공증받은 서류 이런거 요청안합니다 그냥 최종 학교 졸업증명서랑 여권사본, 통장사본, 현재 직장에서 비자 cancel letter만 달라고 합니다.

 

집값이 어마어마 하지만 월세를 내고 방을 쉐어하면서 대부분 살아가구요. 저는 운이 좋게 홀 유닛을 렌트하는 기분으로 방을 쉐어하고 있지만 그 전엔 지금보다 2배의 돈을 방값으로 내고 말도 안되는 방에 살았습니다. 예전에 방 승계글 올린적 있으니 한번 찾아보시면 '헉' 할겁니다^^

한국에서는 매우 저렴한 가격 국산차나 여유가 좀 되신다면 벤츠나 bmw같은 차를 살수 있지만 여기선 3년~5년 정도 운행 가능한 중고 벤츠가 한국에서 동급 모델 새차 가격이더군요ㅋ 아무튼 차를 타도 한국처럼 불법주차를 할 수도 없고 어차피 주차장까지 많이 걸어야하고 시내는 원웨이 시스템이 많고 특히 길위에서 ERP라고 써있는 표지판이라도 보이면 그자리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싶어집니다 ㅎㅎ 그냥 지하철이랑 버스가 가격대비 성능이 좋은것 같습니다.

한국인의 생활 수준은 매우 높지만 싱가포리안은 국민 소득에 비해서는 매우 낮은 수준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한번 살아 보시면 껍데기만 화려하다는 것을 많이 느끼시게 될겁니다. 아무튼 1000불 정도면 기본적인 의식주 생활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다지 화려한 라이프 스타일이 아닙니다. 더 낮은 금액도 가능하지만 월 1000불은 되어야 '아 내가 싱가폴 노동자구나'하는 느낌이 나실 겁니다. 물론 월 1000으로 어떻게 살어 하시는 분도 있으시겠지만 충분히 나만의 독립된 공간에서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혼자 조용히 공부하고 잠자고 씻고 할수 있는 삶이 가능하십니다. 그 밑으로 내려가려면 운이 좋으시거나 아님 '내가 지금 신분제 사회를 살고있는 노예인가' 싶을 겁니다^^

또한 2200미만은 wp로 시작하시게 되는데 굉장히 차별적인 대접을 받는 다는 느낌을 많이 받으실 겁니다. 계좌 오픈이나 휴대폰 개통, 기타 기본적인 공공 서비스를 받는데 있어서요. 저는 모든 명의를 와이프껄로 해서 그런거 없었는데 같은 wp 애들 말 들어보면 똑같은 데이터플랜을 사용해도 요금이 다르고(할인율 때문입니다.) 계좌도 처음 오픈할때 보증금액이 다르고 신용카드는 아예 불가능 합니다.

작년까지만해도 제가 관광와서 3일동안 쓴 호텔비만 2000불 정도였는데 지금은 그 반 정도로 한달을 살아 가고 있습니다. 물론 의식주 이외에 외식과 문화 생활을 위해 그것보다 훨씬 더 쓰지만 기본 의식주 해결 비용을 말씀 드리는 겁니다.

제가 처음 입싱할때 회사 사장이 정말로 싱가폴에서 일하고 싶은게 진심이냐고 물어본 기억이 납니다. 별 의미 없이 들었는데 지금은 왜 그런지 알 것 같습니다. 외국인 노동자로 살아간다는건 정말 쉽지 않은 일입니다.

어떤 계기로 입싱을 결심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단지 동서양의 문화가 어우러져 매력적인건 공항에서 롤스로이스 픽업 서비스로 마리나베이 쪽에 있는 다양한 5성급 호텔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다음날 벤츠 택시를 타고 오차드 거리를 쇼핑하며 양팔과 다리가 무거워 질때 쯤 한국에서 보기힘든 이국적인 식당에서 신선한 재료로 만들어진 식사를 하며 다른 테이블에 앉아 이름 모를 음식을 맛있게 먹던 하얀 피부에 파란 눈동자를 가진 아이들을 떠울리며 창 밖이 훤히 보이는 욕실에서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그고 하루의 피로가 풀릴 때쯤 느낄 수 있는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출퇴근 길에 서울 사당역 만큼은 아니지만 비슷한 지옥철을 타고 지금껏 단 한번도 맡아보지 못한 체취를 온몸에 베이며 뒷쪽에 빈공간이 많지만 문 근처에서 절대로 움직이지 않는 인디안과 차이니즈를 보며 잠시 화가나려는 찰나 어디선가 들리는 영어인지 중국어인지 호켄인지 알수 없는 사람의 목소리를 접하셨을때 드시는 생각은 아마 매력 그 이상일 겁니다.^^ 

그냥 제 경험에 비추어서 두서없이 몇글자 적어봤습니다만 글이 상당히 길어졌네요^^ 

글쓰신 분이 시작하려는 길이 저랑 비슷한것 같아서 그렇게 시작해서 이렇게 사는 삶도 있다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이제 6개월 밖에 안되었지만 아직은 희망적인게 더 많네요^^ 

그리고 면접볼때 제가 사장한테 했던말입니다 다양한 문화가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는 이 나라가 상당히 매력적이라고^^

     

댓글목록

john.kim님의 댓글

john.kim (kcs0213)

제가 싱가폴 살면서 느꼈던 소감을 정확히 적어주셨네요. 지옥철같은 MRT 타기 싫어서 풍골까지 가서 거주하고 출퇴근을 30분 이르게 했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expat인 입장이라 칼퇴를 하더라도 별말 안들었겠지만 현지에서 취업한다면 특히 wp같은 저임금 노동자였다면 야근은 다반사이겠지요.

껍데기라는 말 백번 동의합니다. Telok Ayer나 CBD에서 가끔 보이는 한국 여행객들이 생각나네요. 살면서 한두번 스쳐 지나가는 것과 사는 것은 천양지차니까요. 친구와 가족이 있는 한국이 좋아요. 지금은 시드니에 뿌리내리고 살지만 저라면 같은 노력을 해야 한다면 한국을 택하겠습니다.

꼬꼬1208님의 댓글의 댓글

꼬꼬1208 (million09)

네^^ 그치만 전 친구와 가족이 있는 한국보다는 여기(?꼭 싱가폴이 아니어도 됨)가 좋은것 같네요. 잠시 멈춰서 그동안 제 과거를 반성도 할수 있고, 쓸데없는 인간관계가 정리되는 느낌이 너무 좋네요^^ 가족이 그립긴 하지만 한국으로 여행을 가는게 그렇게 무리는 아니여서^^ 그냥 한국에도 거점이 있고 여기도 거점이 있는 그런 느낌이 너무 좋네요^^ 물론 제껀 없지만 ㅎㅎㅎㅎ

john.kim님의 댓글의 댓글

john.kim (kcs0213)

네 무슨 말씀인지 알겠습니다. 저도 약간의 희생을 통해 더 넓은 시야를 갖게 된다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희생이 약간의 범위를 넘어선다면 그건 재고할 필요가 있겠지요. 싱가폴은 겉과 속이 다른 나라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저임금의 노동자와 그걸 바탕으로 화려한 겉을 유지하는 일부 부유층의 세상 말입니다. 잠시가 아니라 언젠가 싱가폴을 제 2의 정착지라고 생각하는 날이 오면 여러 불합리함이 더 크게 다가오리라 생각합니다.

kca님의 댓글

kca (cba123)

윗글에 나온 내용들이 실제로 살아가는 한국인들이 느끼는 감정인듯 싶어요.
관광으로 와서 잠깐 느끼는거랑 외국인으로 살아가는건 많은 차이가 있는것 같네요.
얼마전 다큐프로그램에서 해외취업에 관한 특집을 다룬적 있었고, 그 방송을 통해 많은 한국 청년들이 희망과 꿈을 가지게 되었다고 들엇어요 (페이스북에서 쉽게 찾아볼수 있엇네요).
캐나다, 대표적인 복지국가들인 북유럽 국가들, 아시아국가로는 싱가포르, 일본등이 소개되더군요.
제가 그 프로그램을 보면서 느낀점은 두가지엿어요.

첫번째는 많은 한국청년들이 구직을 원하고 있고, 한국내 이미 취업한 청년들도 힘든 업무환경속에서 근무를 한다는거였고

두번째는 성공적인 해외취업만 방송에 보여졌을뿐, 그 외에 힘든점,리스크등등에 관한 부분은 전혀 방송에 나오질 않더라구요.해외취업을 하면서 가장 먼저 고려해 보아야할 사항인데도 말이죠.
방송을 보면서 해외취업에 관한 희망만 키워주고 한국내 취업에 대한 불만만 키워줄거란 생각이 들엇어요.

지나치게 과열되고, 경쟁을 해야만 하는 한국보단 싱가폴이 업무 강도가 약한건 사실이지만, 실생활에 관한 기대 수준은 한국에 비해 못미치는게 대부분의 여기 거주하고 계신분들이 가지는 공통점이라 생각되네요. (모든게 비싸고, 어디 아프기라도 하면... 생각하기 싫어지네요)
잘 준비하시고 성공적으로 취업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꼬꼬1208님의 댓글의 댓글

꼬꼬1208 (million09)

네^^ 공감 감사합니다^^ 다큐~ 저도 예전에 학창시절에 해외 봉사활동 다니면서 많이 몇편 촬영해 봤습니다.
당시에는 해외자원 봉사를 널리 알리고 많은 대학생들이 참여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짧게 몇편을 제작해보았지만 지금 생각하면 정말 좋아보이게 포장하려고 했던것 같습니다^^

작가의 주관으로 어디까지나 보는 이들에게 작가가 원하는 마음 한 구석의 공감과 감동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짜집기 된 터라 카메라가 비치지 않는 반대편의 모습은 실제로 그곳에 있었던 사람만 알수 있죠^^

많이 고생해보신 분들이 좋은 의견으로 좋은 커뮤니티를 운영해 나간다면 싱가폴 한인 사회의 미래는 밝을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전 현재의 한인 사회는 좀....^^

암튼 타지에서 몸아프면 제일 고생입니다.
몸조심 하시고 대부분의 현지 의료서비스 또한 정말 믿기 힘든 정도로(국군병원 수준) 엉성하기 짝이 없으니 부디 아프시지 마시길 바랍니다.

정반장님의 댓글

정반장 (manshu)

정말 솔직담백하게 잘 적어주셨네요. 잘 읽었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46

사업/직장WP 비자인데 이직할때 어떻게해야하나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홍디(hj0379) 2016-01-14
추천수 : 0 조회수 : 6,850

제가 일한지 3개월이 되었습니다 한국에전시를 통해 왔지만 한국에서 말하던 금액이랑 여기에 와서 받는 금액이 달라 이직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워크퍼밋이면 이직할때 비자 취소를 하고 다른나라에 나갔다 와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1. 비자 취소후에 다른나라에 가게 되면 …

  • A

    WP비자를 취소하면 일주일안에 싱가폴을 떠나야합니다. 1. 직장을 구하셨다면 하루에도 비자가 승인납니다.     그 회사의 HR에서 얼마나 빨리 업무를 처리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2. 비자가 승인난 상황이라면 리턴티켓은 필요없겠지요.    비자 승인문서를 보여주시면 됩니다 3. 건강검진은 다시 합니다 4, 직장을 구하셨다면 대부분 조호바루로 갔다가 돌아옵니다..      

  • A

    안녕하세요 최근 이직해서 새삶을 살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입니다. 퇴사당시 Worst of Worst한 케이스를 겪어서 Employment Act와 Pass관련 규정을 다 읽고 해석하고 MOM에 고발했었습니다. ㅎ 1.우선 원하는 날짜에 퇴사는 것은 노동자의 권리입니다. wp 취소는 고용주나 인가받은 에이전트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원칙적으로 WP취소는 노동자를 본국으로 보내는 것이 고용주의 의무이기때문에 회사에서 티켓을 발급해주어야 하구요. 경유 항공이나 다른 수단으로도 본국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드랜드 체크포인트를 통해서 출국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WP취소시 출국일과 출국편을 작성하게 되어있습니다. 회사에 계약서에 작성되어 있는데로 퇴사 노티스를 주거나 계약서 상의 노티스 기간만큼 보상금을 물어주면 본인이 원하는 날짜에 퇴사를 할 수 있습니다. 퇴사 요청을 거부하면 망설이지말고 E-mail같은 증빙 자료를 만들어 MOM에 리포트하세요. Offence Letter 발급대상이며 최소 6개월간 외국인 고용시스템을 이용할수 없게 됩니다. 회사에서 더이상 일을하지 않게된 날 WP는 바로 취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최소한 퇴사일로부터 최대 7일 이내에 고용주는 WP를 취소해야 합니다(온라인으로 취소하니 바로 확인하시고 여권이랑 반납할 WP 지참해서 가세요.). 또한 퇴사를 거절하거나 Work PASS를 이용해서 노동자를 괴롭히거나 어떤 불순한 목적으로 사용한 것이 증명되면 고용주는 벌금과 최소 6개월 이상의 외국인 고용시스템 사용 불가 처분이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노티스를 주면 회사에서는 퇴사하는 노동자에게 반드시 IR21 form(세금) 작성을 요청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노동자의 동의하에 마지막달 월급은 세금을 위해서 홀딩하게 됩니다. 보통 2주에서 3주가 걸리며 추후에 세금을 처리하고 나머지를 지급하게 됩니다. 6개월 미만이시라면 납부하실 세금이 비율이 조금 많지만 3개월 월급에 대한 것이니 한국돈으로 몇십만원 내외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 SP나 EP가 신체검사까지 마쳐서 완전히 승인이 난 상황에서 발급대기 상태라면 리턴티켓은 필요 없습니다.   3. 건강검진이 일주일이상 걸리므로 SP 승인이 났다면 신체 검사를 먼저 받으시기 바랍니다. WP취소후 Special PASS를 발급받으시는데 체류 가능 기간이 최대 7일 밖에 안되니 반드시 건강검진을 먼저 받으시기 바랍니다. 건강검진을 안받으시고 wp가 취소되면 건강검진 기간 때문에 출국하셔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4. 이미 새로운 SP나 EP가 승인이 난 상태라면 조호나 바탐 어디든 다녀오셔도 되지만 반드시 MOM에 리포트한 출국장과 출국편을 통해서만 출국이 가능하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약속한 출국날 자정이 지나면 바로 불법체류자됩니다.   추가로 궁금한것이 있으면 쪽지주세요      

Q

NO.43

사업/직장취업 문의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병가지상사(p4325110p) 2015-12-23
추천수 : 0 조회수 : 3,189

싱가폴회사 가야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입니다.   한국에서 조그마한 무역회사에 5개월 정도 다니고 있었습니다.  해외취업으로 방향을 틀고 취업 활동을 한 끝에 싱가폴회사에 취업이 되었습니다.  싱가폴 회사들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다 보니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 A

    먼저 지금 가지고 계신 5개월 경력 가지고 싱달러로 환산 했을때 3800불(월세포함)을 주고 식대까지 주면서 님을 뽑으신 회사에 감사하셔야 할것 하구요. 경기도 워낙 안좋은 시기니까요. 한국 회사 그만 두시는 대신 5개월 경력은 없는 걸로 치고 새롭게 시작 하신다 생각하시고 일다니신다면 추천합니다. 아니면 지금 한국회사에서 최소 2년은 버티시는게 님 이력에도 좋을 거같구요. 정기 휴가는 기본적으로 14일 인걸로 알고 있구요. 계약이 1년인 이유는 세일즈 업무 인 만큼 님의 성과에 따라 후가 결정 될거 같고, 5개월 경력밖에 없으셔서 회사 입장에서는 님을 아직 믿을 수는 없겠지요, 잘하신다면 비자연장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싱가폴에서 요즘 비자 받기가 힘듭니다. 우선 싱가폴 회사에 계약서에 싸인 하시더라도, 워킹 비자가 나오기 전까지 지금 회사 그만 두시기 않길 바랍니다. 싱가폴 회사에다가 비자가 나와야 들어가겠다고 말씀 드리구요. 아무리 사람이 급하고 일이 급하다 하더라도 나라에서 비자를 안주면 님 정신건강에 매우 해롭습니다.        

  • A

    만약 영어를 제법 사용해야되는 그런 자리라면  한번 해볼 것 같습니다. 최악의 경우에 1년후 계약 갱신을 못하셔서 되돌아가셔야 한다는 건데 설사 그렇게 되더라도 여기서 1년간 근무하시면서 영어회화가 많이 늘으실탠데 이게 앞으로 큰 재산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를들어 한국어만 사용가능한 사람이 지원해볼 수 있는 직장의 수가 100개라면 한국어 영어가 둘 다 가능한 경우 그 수가 2백, 3백은 되지 않을까요.        

Q

열람중

사업/직장싱가폴 취업관련

  • 답글 : 4
  • 댓글 : 6
답변진행중
럭셔리미쓰리(ryeppojin) 2015-12-02
추천수 : 0 조회수 : 4,170

현재 한국에서 외국계 기업 재직중인 여사원입니다. 무역관련 쪽에서 일하고 있구요 참고로 2년 됐습니다. 싱가폴이라는 나라, 동서양의 문화가 어우러져 있어 참 매력적인 부분이 많다고 생각듭니다. 지금 한 살이라도 더 어릴 때 외국으로 나가 경력을 쌓고 싶은데요,  하여…

  • A

    원하시는 답변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만.. 업/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졸업 후 2년이라는 기간은 실무경력으로 인정받기 어렵지않나 생각합니다 (해외 취업시). 따라서 질문하신 분의 경우, 한국에서 싱가폴의 잡을 찾는 것을 감안할 때, 직접 지원하기 보다는 에이전시를 통해 잡을 찾는 것이 비교적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급여는 회사마다 또 하는 일에 따라 천차만별이니 같은 업/직종이 아닌 이상 조언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대략 보고 들은 바를 말씀 드리면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싱가폴 4년제 대학 졸업생인 경우 신입사원 급여의 중간 그룹이 3천초반에 형성되어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에이전시가 말한 2천은 3년제 폴리테크닉 졸업생 또는 그와 동등한 레벨의 구직자에게 적용되는 임금 수준 같습니다. 그럼에도 생활이 가능 한 것은 현지인들은 부모와 동거하기 때문에 주거비가 들지 않기 때문이겠고, 동일한 임금이라면 외국인들의 생활은 굳이 말씀드리지 않아도 가늠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 됩니다.                

  • A

    에이젼시 사기꾼 많습니다 조심하세요. 4년제 졸에 2년 경력이면 못받아도 4천이상은 받습니다. 받아주느냐 안받아주느냐가 문제죠. 직접 apply하시길 추천합니다.     

  • A

    다른 건 모르겠고요. 에이전시 믿지 마세요. 에이전시는 질 좋은 일자리 취업시키는게 아니라 그냥 무작정 취업시키는게 목적이라 경력에 맞는 일자리 소개해주지도 않고요. 자기일처럼 챙겨주지도 않습니다. 알선료로 내는 비용이 많음에도 불구하고요. (직접 경험담입니다.)   한국에서도 취업 쉽지 않잖아요? 아직 도전하신지 얼마나 되신지는 모르겠으나 좀 더 도전해보세요!      

Q

NO.38

사업/직장현재 wp입니다 이직 제의를 받았는데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완료
꼬꼬1208(million09) 2015-11-30
추천수 : 0 조회수 : 4,893

현재 3년 계약 wp입니다. 다음은 현재 제 계약서에서 발췌한 resignation과 termination에 관한 내용 일부입니다. -3 years contract : 4 months (consisting of 1month (MOM Employment ACT ) +…

  • A

    기술도 경력도 좋으신분인것 같은데 왜 삼년 wp를? ep를 신청해보시고 안되면 sp신청해보세요. 쪽지 확인하시구요.기술없고 창의성없는 싱가폴인들.      

    1
  • A

    현재 회사랑 잘 얘기해서 릴리스해주는게 가장 좋은 방법일거 같습니다만 싱가폴회사들 특성상 그렇게 호락호락할거 같진 않네요 다른 방법은 옮기시는 회사에서 도와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계약을 파기하고 나오는 페널티를 부담하거나 회사대 회사로 처리해 줍니다. 큰 회사거나 우수인재를 데려올때 이렇게들 하더라구요. 실제로 고소를 당하는 경우도 본적이 있어서 최대한 좋게 해결하고 나오시는게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 A

    안녕하세요. 싱가포르 현지 에이전트인데요^^   한가지 걸리는 건 만약에 4개월 노티스를 안 채우고 그만둬서 추후에 SP승인 받는데 문제가 있을까봐 걱정입니다. 저는 와이프가 이 곳에서 학교를 시작해서 7년은 무조건 여기서 살아야하고  그후에는 한국으로 돌아가든 다른 나라를 가든 아니면 이 나라에서 사업을 할 생각입니다만 이번에 일이 잘못되어서 영영 싱가폴 비자 발급에 결격 사유가 될까봐 걱정입니다. 혹시 비자 문제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께서 이 글을 보신다면 확실한 답변을 주신다면 제 인생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추후에 사례라도 하겠습니다.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1. 결론부터 말하면 노티스 안채우고 SP신청시 승인받을때 문제 전혀없습니다. 노티스는 계약자간의 계약서 문제이고, MOM비자승인은 이것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위에 말씀하셨듯이 본인이 고용주에게 계약대로 돈을 물어낸다면 계약서상의 문제도 전혀 없을듯합니다. -2. 때문에 영영 비자 결격사유가 된 아무런 이유가 없습니다. 걱정하지 마시고 이직하셔도 될듯합니다. 좋은 직장에서 새출발 잘하시기 바랍니다.      

    채택답변
Q

NO.35

사업/직장Jobsbank 관련 문의드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완료
yolo.alice(unme88) 2015-11-17
추천수 : 0 조회수 : 4,891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한국에서 거주하면서 싱가폴 취업 지원중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국가 일자리 데이터베이스(www.jobsbank.gov.sg) 가입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싱가폴 워킹 비자가 없는 사람은 국가 일자리 데이터베이스(www.jobsbank.go…

  • A

    사이트는 이용 안해봐서 모르겠지만, SINGPASS의 경우 싱가폴내에 적법한 ID를 갖고 있는 사람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NRIC의 경우 싱가폴 시민권자 혹은 영주권자들에게 나오고, FIN같은 경우 앞의 두 가지 제외한 비자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부여 됩니다. NRIC는 한국의 주민번호, FIN는 외국인 등록번호 정도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 A

    작년 8월부터인가 mom 정책이 바뀌어 회사에서 EP 비자를 발급하기 전 그러니까 외국인을 고용하기 전에 Jobsbank에 2주? 정도 (정확한 기간은 검색해보세요) 잡 포스팅을 하여 싱가포리언에게 우선적으로 기회를 주고 그래도 뽑히지 않으면 EP 홀더를 고용하도록 정책이 바뀌었습니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은 회사가 EP 신청을 하면 리젝되는 경우 참 많더라구요 따라서 이 절차는 꼭 필요하게 만들었어요 싱가폴 정부가 자국민에게 일자리의 기회를 더 주려고..   따라서 지금 외국인 자격으로 jobsbank에 올려져 있는 공고문에 지원하실 수 없어요. jobsbank은 오직 싱가포리언들을 위한 잡포스팅 웹사이트입니다.        

Q

NO.34

사업/직장무비자로 들어와서 취업활동 질문합니다.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종이사전(han804) 2015-11-14
추천수 : 0 조회수 : 4,307

안녕하세요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싱가폴에 취직하고자 합니다. 무비자로 들어와 스스로 이력서를 돌리며 취업할동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궁금하여 글올립니다. 무비자 체류자가 싱가폴에서 구직 활동을 할 수 있는지요? 무비자로 1년까지 체류할수 있다 되어있는데 그렇…

  • A

    요새 비자 잘 안나온다고 들었어요. 저희회사도 근무중인 외국인 직원들 비자 만료되는 직원들 상당수가 비자 연장을 안해주는지 안되는건지 이유는 모르지만 여튼 연장이 안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다른 회사들도 비슷하다고 들었구요. 기존 체류 여부로 입국거부도 심심치 않게 볼수있는데 한국에서 취업해서 비자 받아 들어오는게 안전할것 같아요.     

  • A

    무비자 체류 90일입니다. 1년이 아니라... 그리고 여기서 90일간 체류하다가 잠시 주변국이나 한국에 다녀오는식으로해서 장기체류 하는 사람들이 재입국시에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구요. 한국촌 글들 읽어보시면 요새 추이를 좀 아실수 있을거에요. 한국에서 싱가폴에 있는 직장을 구하시고 정식으로 취업비자를 받아서 들어오시는게 가장 좋을듯합니다. 저도 한국에서 스카이프 및 전화면접을 통해 잡을 구했고 정식으로 EP서류 진행된 후에 들어왔습니다.          

  • A

    싱가폴에서 무비자로 입국해서 구직활동 하는것은 엄연히 불법입니다.    한국에서 이력서 보내고 면접 다 통과되고 비자가 나온다고 확정 된 서류가 있으신 다음에 오시는게 좋으실 듯 합니다. 요새 심해져서 비자가 없는데 리턴티켓이 없으면 입국거부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NO.33

사업/직장회사에 사직서를 내고, 그냥 한국 가는경우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쁘띠큰(gustoc159) 2015-11-14
추천수 : 0 조회수 : 3,160

제가 지금 회사랑 문제가 많은데요 월급을 받으면 바로 한국으로 가라는 직장동료말에 혹하네요. 하지만 이렇게 되면 싱가폴 다신 못올수도 있고, 다시 돌아와서 일을 할려고 하면 문제가 될수도 있다고만 합니다. 혹시 만약 제가 돌아간다면, 한국에서 문제될것들이 있나요? …

  • A

    사회생활 근 10년동안의 저의 견해로 말씀드리자면, 일단 퇴사하시는 이유가 확실하시다면, 최대한 빨리 회사측에 notice주시고 일정조정하여 그만두실것을 권합니다. 그래도 10개월이 그리 짧은시간이 아닌데, 한국에서도 이력서 내실때 경력으로 내신다면, 레퍼런스확인 들어가실수도 있습니다. 지금은 일단 내일당장 그만두시고 싶은 마음이 크시겠지만, 나중을 보신다면 경력이미지에 타격이 있을거라고 봅니다.        

  • A

    wp나 sp 퇴사자의 경우는 마직막 달 임금을 홀딩하고 있다가 회사에서 mom에 신청해 택스를 정산받고 그걸 제외하고 지불을 하는데 그냥 퇴사한다면 문제가 될거같은데요. 아예 싱가폴 들어올 생각이 없다면 상관없겠지만 나중에 취업해서 싱가폴에 출장이라도 오는 경우도 있을수 있고 윗분 말처럼 다른 곳에 취업시 이전 회사에 확인을 한다거나 하면 문제가 되겠지요. 보통 외국계회사는 이전직장 상사연락처를 이력서에 적어내고 직접 전화나 이메일로 확인 하는 경우가 많아요.     

Q

NO.30

사업/직장해고당했습니다. 도와주세요.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와우싱가폴(wowsingapore) 2015-09-30
추천수 : 0 조회수 : 6,199

안녕하세요. 지난 6월 입싱하여 직장생활 4개월차 중이던 여자사람입니다. 한국에서 에이전시를 통해 6월에 입싱하였고 현재 4개월정도 근무중 이었는데 오늘 해고 통보를 받았습니다. 제가 하는 일은 b to b세일즈였고 우리 회사랑 잘 안 맞는거 같다는게 해고 이유 였습니…

  • A

    6개월안에 그만둘때 비행기표를 줘야 한다는 조항은 잘모르겠습니다. 아마 관련해서 정확히 아시는분이 제뒤로 적겠지요 제가 아는것은 WP holder는 돌아가는 티켓을 회사에서 줘야 하는 규정은 있습니다. 본인이 어떤 비자를 가지고 있는지 먼저 파악을 하시고 아래의 MOM 사이트의 내용을 가지고 HR에 말해보세요 http://www.mom.gov.sg/passes-and-permits/work-permit-for-foreign-worker/cancel-a-work-permit 2번째에 WP캔슬 방식에 보면 티켓 사라고 적혀 있어요 아래의 글을 보면  또 에어티켓이 사야 한다고 적혀있구요.. When employment ends If the employment is completed or terminated, or if the worker resigns, you must: Cancel the work permit within 7 days of termination of employment. Bear the cost of repatriation, including buying an air ticket with check-in luggage allowance. Clear all outstanding salaries or payments. http://www.mom.gov.sg/passes-and-permits/work-permit-for-foreign-worker/sector-specific-rules/work-permit-conditions SP와 EP는 그런 규정이 따로 없어요.. 혹시나 내부적으로 회사에서 계약할때 그런 규정이 있는지도 계약서를 보고 확인해보세요 부푼꿈을 가지고 싱가폴에 일하러 오셨다가 많이 마음이 다치지 않았기를 바랍니다. 저역시 초반 싱가폴 적응기간에 이런일 저런일들이 많아서 고생을 했지만 많은 따뜻한 사람들이 많았기에 싱가폴에 오래 살게 되었네요.. 마음 많이 다치지 않았기를.. 그리고 마음 단단하게 먹고 할수 있는 내 권리를 잘 찾아서 마무리 잘하기를 바랍니다..      

    1
  • A

    저도 들은적이 있는듯 합니다. 자세히 알아보시고요. 근데 근무일수가 60일~183일 사이면 수령한 총 급여의 15%의 Tax 내야합니다.해고시는 회사몫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참고하시고요 60일이내는 세금이 없고요      

Q

NO.29

사업/직장근로계약서 위반으로 위약금 물게 됐어요ㅠ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wonu(historysaint) 2015-09-23
추천수 : 0 조회수 : 4,749

안녕하세요! 저는 얼마전에 구직을 하게된 사회새내기입니다.   베짱하나로 한국에서 여기로 온지 2달여, 경제사정으로 인해 마음에는 차지 않았지만, A라는 회사와 지난주에 근로계약서에 서명을 했습니다. 그런데 1달전 면접 후 결과통보를 기다리길 포기했던 B라는 회사로…

  • A

    안녕하세요. 정말 고민이 많으시겠네요. 구직활동을 할때 회사에 위약금문제가 참 사람 머리아프게 하는 경우가 많죠.. 붙여놓으신 계약서 내용을 보니 A회사는일하겠다고 컨펌을 한 이후부터 일시작하기전까지의 기간중에 계약을  파기하면 한달치 월급을 내라는 내용이고, C회사는 아마 취직을 성사시킨 후 A회사로부터 취직자의 한달치 월급정도의 돈을 커미션으로 받은것 같습니다. 그리고 일정기간내에 취직자가 회사를 그만둘 경우 커미션을 되돌려주는 경우라서 그것을 위약금 형태로 취직자에게 물리려는 거겠지요. 제 사견으로는 일단 A회사에서 수습기간(Probation period)내에 회사를 그만둘 경우 얼마간의 Notice period가 있는가를 확인하시고 B회사에 그 기간을 기다려 줄것을 요청하고 A회사에서 일단 일을 시작하고 한,두주후에 사직서를 제출하면 A회사로의 계약파기위약금은 안물어도 될것 같습니다. 사실 C회사의 경우가 제일 문제가 될것 같은데 보통 헤드헌터들은 자기들이 손해보는일은 안하려고 하니까요. 일단 A회사에 취직후 C회사에 A회사가 본인이 원하던 회사가 아니다라는것을 강조하시고 그 회사가 본인과 맞지 않는다는것, C회사에서 본인에게 A회사에 대해서 올바르게 설명하지 않은점등을 찾아서 차근차근 이야기를 하면서 위약금을 안내거나 줄이는 방향으로 가보는게 어떨까 생각합니다. B회사에서 A회사의 Notice Period를 기다려줄 수 있고, B회사가 본인이 정말 가고 싶었던 곳이라면 멀리 볼때 C회사로의 위약금을 감수하고라도 가는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 사견을 두서없이 드렸습니다. 지혜롭게 잘 해결해 가시리라 믿고 그렇게 응원하겠습니다.      

    채택답변
Q

NO.28

사업/직장한국전문대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lee7789(rkelrkel789) 2015-09-19
추천수 : 0 조회수 : 2,316

미래에 싱가폴에서 일할려고 계획중입니다. 아직 대학교를 안다녀서 질문 할께요 한국에서 2년제 대학이랑 여기서 외국대학 어드밴스디플로마 끝낸거랑 같나요? 전공은 호텔경영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만약 한국에서 전문대 졸업후 싱가폴에 있는 외국대학 배첼러로 들어가서 졸업후…

  • A

     일단 얼마전 제가 공부할려고 알아본바는 한국에서 4년제를 나와도 싱가폴 외국대학교 배첼러 들어가기가 쉽지 않아요. 토플이나 아에일츠를 요구합니다. (아이엘츠 6.0이상) 물론 아이엘츠를 더 선호하구요. 한국은 영어기반 대학교가 아니라면서 말레이시아의 대학교 나와도 싱가폴에 오면 디플로마부터 시작하라고 하는말에 좌절했지요.. 좀 자존심도 상하고  듣는데 기분이 어~~엄청 나빠서.. 나 IT전공이라서 모든 책들을 원서(영어)로 공부했다는 쓸데 없는 소리했다가 더 자존심 상해했지만요 .. ^^;;;;;;;;;;;; 직장구하시고 이민까지 생각하신다면 더더욱 싱가폴에서 하나하나 관련한 준비를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 A

    안녕하셔요? 저도 이왕 싱가포르에서 자리를 잡겠다고 하시면 이곳에서 공부를 하시는것이 여러모로 더 첩경이 아닐까 합니다. 졸업후 취업은 한국이나 싱가포르이나 본인이 얼마만큼 준비가 되어있느냐가 가장 큰 관건이지만, 무엇보다 싱가포르 대학은 영어로 수업을 한다는것이 취업을 앞두고는 가장큰 메리트가 되지않나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