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생활
  • 한국에서 모아놓은 돈은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 은파란 (eunparan7)
  • 질문 : 7건
  • 질문마감률 : 0%
  • 2015-09-07 21:02
  • 답글 : 1
  • 댓글 : 3
  • 2,470
  • 0

곧 남편따라 싱가폴로 이주하여 신혼생활을 할 예비신부입니다.

일단 2년 계약이라 2년은 계속 싱가폴에서 살게됩니다.

한국서 적금등으로 모은 돈들은  한국에 2년간 예금으로 넣어둘지

아니면 혹시나 크게 쓸일이 있을지 모르니 싱가폴로 은행간 이체하여 어디 두어야 하는지 고민입니다.

제 생각엔 싱가폴에서 혹시의 경우 필요할지 모르니 약간의  돈(전체돈의 30%)은 싱가폴에 두고는

나머지는 한국의 한 은행에 예금으로 두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매달 나가는 보험비나 청약저축, 연금도 싱가폴에서의 매달 수입으로

싱가폴 한 거래은행에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는지....

참 이런 부분 어떻게 해야하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다들 싱가폴에서 저축이나 돈관리는 어떻게 하고 계시는지 조언좀 주세요.^^

 

     
  • [답변]
  • 이주시 한국에서 모아놓은 돈은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 elmio1 (elmio1)
  • 답변 : 542건
  • 답변채택률 : 15.5%
  • 2015-09-08 09:30

2년계약을 제목에 "이주"라고 표현하여, 잠시 헷갈렸네요.

2년계약이라면 당분간은 (싱가폴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금액 빼고) 한국계좌에 유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구태여 환전해서 가지고 올 이유는 없읍니다.

한국에서 지로처리 하시는 여러 납부금은... 한국 계좌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한국기업/은행/정부 등에서 싱가폴계좌로부터의 인출은 불가능 입니다.

비행기도 매일 다니고, 수시로 항공권할인행사도 있는데

한국 가시는 일 생각보다 많을 겁니다.

하여, 한국에도 계좌유지하고 잔액보유하는 것이 필요하게 됩니다.

     

댓글목록

은파란님의 댓글

은파란 (eunparan7)

답변 감사합니다.^^
그러면 콘도 보증금, 집에 들일 물품들 살 비용에 대한 돈들은
큰 돈이라 어떻게 가지고 가야할까? 고려중인데...
여행자수표로 혹은 시티은행계좌 개설해서 거기서 인출하는게 좋을까요?
시티은행은 싱가폴에 어느정도 있는지 몰라서요~~
혹시 아시면 이 부분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

싱가폴젖소님의 댓글

싱가폴젖소 (milchcow)

일단은 싱가폴 계좌 개설 전에 집 계약 먼저 하실텐데 그 때만 씨티은행 해외인출 서비스 이용하세요. 저도 그렇게 해서 보증금하고 첫달 렌트비 냈습니다. 다만 미화 만불 이상 인출 시는 국세청 조사 들어올 수 있으니 그 이하만 뽑으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씨티은행 지점은 한국이나 여기나 그렇게 많지는 ㅇ낳습니다. 다만 ATM기는 어지간해서는 MRT 스테이션 마다 다 있기 때문에 돈 뽑는 것은 별 문제가 없습니다.

은파란님의 댓글

은파란 (eunparan7)

네 정성스런 답변 감사드려요. 저도 그렇게 하도록 해야겠어요 ^^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11409

사업/직장한국전문대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lee7789(rkelrkel789) 2015-09-19
추천수 : 0 조회수 : 2,581

미래에 싱가폴에서 일할려고 계획중입니다. 아직 대학교를 안다녀서 질문 할께요 한국에서 2년제 대학이랑 여기서 외국대학 어드밴스디플로마 끝낸거랑 같나요? 전공은 호텔경영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만약 한국에서 전문대 졸업후 싱가폴에 있는 외국대학 배첼러로 들어가서 졸업후…

  • A

     일단 얼마전 제가 공부할려고 알아본바는 한국에서 4년제를 나와도 싱가폴 외국대학교 배첼러 들어가기가 쉽지 않아요. 토플이나 아에일츠를 요구합니다. (아이엘츠 6.0이상) 물론 아이엘츠를 더 선호하구요. 한국은 영어기반 대학교가 아니라면서 말레이시아의 대학교 나와도 싱가폴에 오면 디플로마부터 시작하라고 하는말에 좌절했지요.. 좀 자존심도 상하고  듣는데 기분이 어~~엄청 나빠서.. 나 IT전공이라서 모든 책들을 원서(영어)로 공부했다는 쓸데 없는 소리했다가 더 자존심 상해했지만요 .. ^^;;;;;;;;;;;; 직장구하시고 이민까지 생각하신다면 더더욱 싱가폴에서 하나하나 관련한 준비를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 A

    안녕하셔요? 저도 이왕 싱가포르에서 자리를 잡겠다고 하시면 이곳에서 공부를 하시는것이 여러모로 더 첩경이 아닐까 합니다. 졸업후 취업은 한국이나 싱가포르이나 본인이 얼마만큼 준비가 되어있느냐가 가장 큰 관건이지만, 무엇보다 싱가포르 대학은 영어로 수업을 한다는것이 취업을 앞두고는 가장큰 메리트가 되지않나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Q

NO.11406

기타입싱전 보험가입!!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Stella Y(eunparan7) 2015-09-15
추천수 : 0 조회수 : 2,223

곧 입싱하는 예비신부입니다. 남편될 사람이 싱가폴에서 2년계약이고 차후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한국에서 들어놓은 실비보험과 건강보험, 상해보험이 있는데 다 그대로 유지할예정입니다. 그런데 저희 엄마가 암보험을 들고 가라고 하십니다. 저도 암보험이 없어…

  • A

    실비보험은 해약했다가 나중에 다시 들려면 비용이 비싸지니 그냥 두시는게 유리합니다. 건강보험은 해외체류한다고 정지 해달라고 공단에 전화하면 해줍니다.  본인이 건강보험을 내는경우 이게 유리하구요. 다른분 밑으로 들어가 있으면 (예를들어 부모님이 직장가입자로 내는경우나 지역보험으로 내는경우 등) 상관없구요. 암보험이라.....그건 잘 모르겠네요. 개인 의지인것 같은데요.  핸드폰은 여기 오셔서 벼룩시장에 보시면 중고가 많이 나와 있습니다. 그런거 구입하셔서 사용하셔도 무방하실듯요.    여행자보험은 가입하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전적으로 개인적 의견) 삼성화재 해외장기체류 보험이 있는데, 싱가폴에서 병원에 다닐경우 한국으로 보험 청구가 가능합니다. 제 아이도 그렇게 해서 청구하고 있구요.       

Q

NO.11396

사업/직장연봉협상

  • 답글 : 2
  • 댓글 : 5
답변완료
youngjew02(cyoungjoo418) 2015-09-04
추천수 : 0 조회수 : 11,982

안녕하세요.  먼저 제 한국말이 서툰점 양해해 주시고요  DUKE-NUS 에서 Research Fellow 로 일하게 되서 곳 입싱 합니다. 미국에서 자랐고 박사학위까지 미국에서 받았고 한국에서 포닥으로 3년 조금 넘게 일했습니다. DUKE-NUS 에서 월급 s…

  • A

    연봉협상은 정말 case by case 고 industry by industry인것 같습니다. Research Fellow 들의 Market Price를 모르는 상황에서 그냥 한번 써봅니다. 싱가폴에서 3번 연봉협상을 해봤네요. 지금 effective monthly salary 가 6200이신거잖아요.그럼 연봉이 7만 5천정도인것인데.. 이것 외에 다른 혜택은 없으신가요? 미국에서 박사학위까지 받으셨고 영어 한국어가 모두 Native이신것으로 보이시는데..말씀하신 패키지에서 협상의 여지가 적지않게 있다고 봅니다. 거기다가 Duke-NUS면 싱가폴 최고 아닌가요? 요즘 렌트값이 많이 내려서 1배드 콘도 같은경우 SGD 2400~2700에도 꽤 Decent한것을 구하실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집값을 매달 본인이 부담하셔야 하는 것이 1500정도 되신다고 생각하실때 운용가능한 월급은 3천 5백이 되시는것입니다. 3천 5백이면 물론 생활은 충분히 가능합니다만.. 결론은 저라면 협상을 많이 해보겠습니다.  저라면 effectively montly wage를 8000으로시도해볼꺼 같아요 (연봉 9만 6천). 가령 집값 부담 CAP 을 800 올리셔서 2000으로, 기본급을 5k에서 6k으로 1k 올리셔서 effective monthly salary 를 8k 로 가져가보려 할거 같아요. 그렇게 시도하시면 아마 effective monthly 7.5k 정도에 협상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연봉협상에서 중요한것은 조금 뻔뻔해 져야 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한국 분들이 이걸 잘 못하세요.. 그냥 위에서 알려주는 연봉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으신데 절대 그러실 필요 없고 안되면 말고 라는 심정으로 최대한 push해보셔야 한다고 봅니다. 화이팅하세요        

    2 채택답변
  • A

    CPF (Central Provident Fund) 계좌를 만들어 달라고 하세요. 가능성 높은 협상 항목이며, 실 급여는 줄지 몰라도, 실제 소득은 늘어납니다. CPF는 연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일부는 본인이 부담(때문에 실제 손에 쥐어지는 돈은 줄어듦), 나머지는 회사에서 부담합니다(이것도 cap이 있습니다). CPF 계좌는 영주권자가 아니어도 만들수 있으며, 많은 분들이 모르고 그냥 오십니다.  https://mycpf.cpf.gov.sg/employers/employerguides/employer-guides/paying-cpf-contributions/cpf-contribution-and-allocation-rates     

    3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