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미답변
  • 기타
  • 세상에 이런일이,,,,,,,,ㅠㅠㅠ
  • 쁑쁑 (a5739)
  • 질문 : 15건
  • 질문마감률 : 0%
  • 2014-08-24 15:35
  • 답글 : 0
  • 댓글 : 3
  • 3,378
  • 0

안녕하세요

속이 너무 상해서 올려봅니다.

얘기가 좀 길어지니 양해 부탁드려요.



별의 별 경우를 다 보는것 같네요.



저희는 친구들끼리 홀렌트해서 같이 살면서 다른 세입자들 두명이 함께 살고있어요.

세입자중 한명은 제 친구와 큰 방을 쉐어하는데요.

상황이 조금 복잡합니다.



제 친구의 현재룸메가 이사를 나가게 됐어요. 이유는 방학이 길게 몇개월이라 집세로 생돈이 날라가는

상황이기때문에 우선 방을 빼기로 해서, 새로운 룸메를 찾게 됐습니다.

현재룸메는 8월말에 나가고 새로찾은룸메는 제 친구가 제시한 입주 날짜보다

10일 일찍 들어와도 되겠냐고 부탁하더라구요.




시작부터 좀 꼬이긴 했어요. 이 친구가 입주하겠다고 결정한건 들어오기로한 날에서 약 1주일 전이었고,

디파짓을 50%라도 줘야지 다른 사람을 구하지 않는다고 설명을 했는데도 돈이 없다는 말과함께

이사 들어오는 날에 일부를 줄 수 없겠냐 부탁을했고.

친구가 알았다 구두계약으로하면 내가 피해를 입을수도 있는데, 만약에 한달 노티스없이 나가버리면

디파짓을 돌려줄수없다, 등등 설명을 다 했습니다. 새로운 룸메라는 애가 한국에서 막 오는 친구라

이것 저것 설명을 미리 다 해준거구요.

제 친구는 28일부터 들어올 사람을 찾았지만, 이 친구는 결국 18일에 들어왔습니다.

들어와서도, 보증금은 100% 내지 않았고, 일부만 받았습니다.



저와 다른 친구들 모두 일반적으로 집 구할때

맘에들면 보증금의 일부~100%를 지불하고 그리고나서 들어오는날 집세를 주는게 맞지 않나요 ?

그리고, 홀렌트/기숙사등은 일부내는거 절대 봐주지않고, 무조건 100% 내야 계약이 되는걸로 알고있습

니다.



제 친구는 새로운 룸메가 저희집에 살겠다고 결정한 순간부터 돈도 받지 못한 상황에서

다른 사람 연락 거절했습니다.

물론 이 친구가 좀 물렁하게 한 면도 있지만, 의리를 지킨다고 한거죠.


그리고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새룸메가 왔어요.

오고 6일살고, 나가겠다고 합니다.

내일 당장.

근데 ? 나가겠다고 하는것도 전날 새벽 1시 30분쯤 얘기를 합니다. 나 내일 나간다고,

더더욱 문제는 저희는 매달 28일에 집세를 내기때문에 28일에 사람을 받는데,

이 친구가 18일날 들어왔고. 10일치 집세를 원래 방값보다 싸게 계산해서 받앗어요.

근데 4일치를 돌려달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디파짓도 자기가 살은 날짜만큼만계산하고

나머지 남는 값은 돌려 달라고 요구를 했어요.

제 친구는 그 돈을 다 주지 못할 뿐더러, 남은 나머지 보증금도 받아야 하는 상황인데

오히려 적반하장으로 돈을 달라고 요구하더군요.



제 친구가 설명을 했습니다. 니가 나한테 돈 덜준 상황이다, 난 더 받아야 한다.

그랫더니, 우린 정식계약 시작한거 아니니 난 너한테 나머지 보증금 돌려줄 의무가 없고,

넌 나한테 내 돈 돌려줘야한다. 이러네요


이사 들어오는 순간 정식으로 사는 거 아닌가요 ?

자기가 미리 들어와도 되냐 부탁은 다 해놓고 이제와서 정식 계약 아니라는건 또 뭔가요..


친구가 첨에 둘이서 자기방에서 얘기하다가 자기도 넘 놀래서 어떻게 할지 몰라서

저랑 다른친구에게와서 이 상황 설명을 해줬어요.

근데 저희랑 상의하고 오겠다고 하는 순간에도, 새로온 룸메란 애는

너가 걔네랑가서 말하면, 당연히 니 편드는거 아니냐고 하더랍니다.



지금 애들 장난치는것도 아니고 저희 전부 20대 중반 직장인/학생들이에요.

편먹고 땅따먹기하는것도 아니고, 친구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친구 편을 든다는 것도 어이없는데,

친구가 저희랑 상의 끝나고 방에 들어가니까 눈 부라리고 돈 너가지라는 식으로 말하더군요.


그리고 하는말이, 너는 지금 니 친구들이 하는 말이랑 내 생각이 다르다면서,

자기는 저희집 오기전에 다른 집에 디파짓을 걸었는데 100불만 걸었대요.

그리고 저희집 온다고 100불 버렸대요. 저희가 50% 디파짓을 요구하는게 이상한거라고,

어느 집이 디파짓을 그렇게 많이 달라하냐고, 이사 들어오는날 디파짓 주는 거라고 그런 소릴

하더군요. 일반적으로 저런식으로 하지 않고, 심지어 한국에서조차 이렇게 안하지 않나요 ?

게다가 내일 당장 나간다고 자기 이사가기전 8시간 노티스 줘놓고선 돈 빼달라는 건 무슨 억지고

다시 가서 얘기하니까 자기도 화내면서 돈 너 다 가지라고 안받는다고 적선해주는것도 아니고

마치 저희가 나쁜 악역인양 구는데... 새벽에 진짜 봉변당했어요

제 친구는 이 친구 편의 다 봐주고, 다 들어줬더니 정작 한다는 소리가 저런말들 뿐인데,

진짜 어이없습니다.

새로온 룸메라는 애의 논리로는 아마 정식으로 계약 시작한게 아니라서 자기가 돈 돌려받을 의무가있다

고 말하는것 같은데 이게 진짜 맞나요 ????????????????.............................

제친구는 250불 더 받아야할돈도 못받고 걔 말만 믿고 사람 안받고 있다가 3일만에 새사람 구해야합니

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238

기타이사 에어콘 문제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insommia(seeer) 2017-06-03
추천수 : 0 조회수 : 1,299

이사 나가려고 준비 중인데 주인이 에어컨 핸드오버 책킹을 받으라며 85불을 준비하라고 합니다. 지난달에 이미 에어콘 청소가 완료됐고 영수증도 있는데 주인은 자기 에어콘맨을 보낼테니 첵킹을 받고 아무 이상이 없으면 디파짓을 돌려 주겠다고 합니다. 제가 싱가폴에서 10년을…

  • A

    주인이 검사를 위해 직접 어렌지한 제삼자에 대한 금액 지불을 세입자에게 전가하는건 받아들일 수 없는 경우라 생각되네요. 그리고 주인이 직접 지불하되 결과의 신빙성을 위해 공식적으로 인정된 기술자가 아니라면 어떤 결과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대응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필요하다면 냉동공조에 관한 라이센스를 요구해보십시오. 문제가 있더라도 세입자의 과실인가에 대한것은 또다시 별개로 다루어야되겠지요. 보통 불량이 예상되어 공인된 업체를 사용하여 확인 후 불량이 발견되었다면 복구하는 비용에 더하여 검사업체 비용에 대해서도 청구가능합니다. 물론 아무 이상이 없다면 고용측에서 비용 전부를 내야하고요. 하지만 집렌트계약서에는 이러한 조항은 없을것 같습니다. 계약서 한번 살펴보시고 계약서 대로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Q

NO.236

기타씨티은행 ATM, 은행 디파짓 질문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킹돌(tswk06) 2016-12-27
추천수 : 0 조회수 : 1,501

아직 SP 홀더는 아니고 이번에 싱가폴 들어가서 받는데요. 지금 가진 카드는 한국에서 만든 씨티은행 체크카드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우선은 이걸 쓸 건데요. ATM 기계에서 한 번 출금할 때 얼마까지 출금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혹시 금액이 ATM 기계…

  • A

    오시기전 한국측 씨티은행 방문하시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지고 있는 체크카드가 해외사용가능한 것인지. 아니라면, 바꾸셔야 합니다. 해외사용가능한 체크카드는 본인이 있어야만 발급이 됩니다. 출금한도 또한 설정하시면 됩니다. 싱가폴은행들은 예전에 카드사고가 있은 후, 보통 현금 1000-2000/일 이하로 제한하고 있읍니다. 취업비자관련 security bond는 회사에서 정부에 제출하는 것으로, 개인과는 상관이 없읍니다. 입국후, 신분증발급 및 주소확인증빙 등이 준비가 되면 은행방문하셔서 계좌개설은 가능합니다. 계좌개설시 설명하는 minimum deposit는 (예전 한국서도 운영하였던 계좌유지최저예금액?으로) 월평균잔액이 그 이하가 되면 계좌유지비용을 받겠다는 것일 뿐 입니다. 계좌개설과는 상관이 없읍니다. 취업비자인 SP라고 하시니, 어차피 급여를 받기 위해 싱가폴 은행계좌 필요한 것이니 은행마다의 minimum deposit 및 혜택내용을 비교하여 선택하시면 됩니다. (지점, ATM이 많아 편리한 은행들은 DBS/POSB, OCBC, UOB, Citi 등 입니다)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