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질문]
  • 미답변
  • 기타
  • 싱가포르 한인가족의 자녀교육, 세대관계
  • cube (cubezang)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0%
  • 2006-09-03 20:20
  • 답글 : 0
  • 댓글 : 0
  • 1,394
  • 6
우리 아이가 지금 겪는 어려움들은 사춘기와 같은 생애단계, 성장발달단계의 문제인가, 아니면 새로운 환경과 학교 적응, 혹은 학업 자체와 관련된 것일까? 아이들 개인 성격의 문제일까 아니면 다른 이유에서일까? 외국에서 사는 동안 한국문화, 한국어에 대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정체성에 관련된 문제는 어찌 해야하나? 외국에서 받은 교육의 효과가 한국에 돌아가서도 유지될 수 있을까? 자녀 기르기와 자녀교육에 대해서 부모의 역할은 무엇을 어디까지 어떻게 해야 할까? 한국에서 조만간 국제중고등학교가 생긴다는 데, 해외근무를 한 가정 혹은 영주권을 가진 가정의 자녀들에 대해서 입학자격을 줘야 하지 않을까? 외국에서는 이런 경우에 어떻게 대우할까? 이런 문제에 대해서 제가 교육학자로서, 심리학자로서, 가정의학의사로서 ‘문제해결 혹은 해답’을 드릴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의 고민과 관심사를 누구보다도 열심히 들어드립니다. 인터뷰를 마친 후에는 사회학자로서, 외국 여러 나라에서 살고, 공부해 본 경험자로서의 제 생각을 말씀드릴 수도 있습니다. 사실, 여러분 가정처럼 오랫동안 외국 생활한 가족 배경을 가진 점이 이 연구에 제가 관심을 가지게 된 주요 동기 중 하나입니다. 또한 다른 분야 전문가들이 할 수 없는 사회학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많은 분의 참여가 이루어져서 때로는 10인10색의 의견과 경험, 때로는 비슷한 의견과 경험이 쌓일 때, 한 분 한 분의 경험, 생각, 의견은 무엇보다도 소중한 사회학적 자료가 됩니다. 제가 지금 싱가포르에서 실시하고 있는 ‘싱가포르 한인가족의 자녀교육과 부모-자식세대관계 연구”에 참여하시기를 권합니다. 이 연구는 이주학, 가족학, 노년학, 교육사회학과 관련된 사회학 박사 논문으로서, 제가 재학중인 옥스퍼드 대학에 제출하기 위한 것입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아래쪽에 더 자세히 쓰겠습니다. 여러분께서 참여하셔서 한시간에서 한시간 반쯤 시간을 내시는 것이 얼마나 가치 있는 일이 되는지 말씀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어떤 분들께서 참여하실 수 있는지도 말씀 드리겠습니다. 첫째로, 해외에 장단기간 사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고, 특히 이민국가가 아닌 나라에 직장 관련해서 사시는 한국인도 지난 20여 년간 꾸준히, 최근 7-8년간은 매우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학계와 정부 부서에서는 여러분의 생활과 고민거리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들(자녀교육과 세대관계를 포함해서)을 연구물로 축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끔 접해보셨을 언론 보도 이상의 자료는 없다고 보시면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자료와 정보의 부족은 당연히 여러분을 비롯한 재외국민에 대한 정책의 빈곤으로 이어집니다. 정부가 관심을 가지고 싶어도 참고할 자료가 없는 실정이지요. 저는 여러분에 대해 학문적 관심을 가지고 있는 최초의 연구자 입니다. 여러분의 경험과 생각이 곧 자료이자 정보 입니다. 두번째, 우리와 비슷한 상황을 겪은 일본의 예를 들면서 연구참여의 가치를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한국 보다 10-20년쯤 일찍 해외로 본격 진출한 일본에서는 20여년 전부터 여러분과 비슷한 상황의 해외 근무자 가족, 그 자녀의 현지교육, 본국으로 돌아온 후의 적응 등에 대해 수백편의 연구가 축적되어있습니다. 그 자료를 바탕으로 해외에서 산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교육과 관련하여, 세심한 배려가 있는 정책을 세우고 실천해오고 있습니다. 한국의 상황은 제가 앞서 말씀 드린 수준입니다. 제 연구 하나로 한국의 정책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그 변화의 첫 디딤돌이 될지도 모릅니다. 저 다음에도 다른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연구를 이어가야 할 가치 있는 주제입니다. 여러분의 참여가 한국정부의 정책 수립과 개선의 디딤돌이 될 수도 있습니다. 세번째는 고령화 사회에 이미 접어든 한국사회에서, 노년기를 어떻게 보내야하는가는 개인의 능력 혹은 선택 만의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지금껏 노년기 복지 문제는 경제적으로 여유 있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그 경제적, 사회적 부담이 거의 가족의 어깨에 씌워졌습니다. 최근 한국 정부와 학계에서도 고령화사회 대책과 연구에 열심입니다. 한국만 그런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국가는 10여 년 전 열렸던 UN주최의 노년학자(Gerontologists)의 경고를 이제야 심각히 받아들이기 시작했습니다. 늦었지만, 반가운 변화입니다. 그렇지만, 여러분들처럼 자녀 중 한 명 이상이 외국에서 생활하고 있을 때 노년의 삶은 어떻게 될지, 그리고 외국에서 장단기간 사신 분은 그들이 노년이 되었을 때 어디서 어떻게 사시게 될지 등의 문제는 아직 미답의 영역입니다. 한국인 사례 연구는 아직 없습니다. 오히려,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 사람들에 대한 사례연구가 더 많습니다. 여러분 가족의 자녀교육문제, 세대관계는 고령화사회, 세계화시대를 맞아 학문적으로나 정책적으로나 대단히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들의 생각, 경험을 제게 말씀해주시는 것은 그 중요한 이슈의 이론과 실제를 바라보는 기초 자료가 됩니다. 싱가포르나 한국 수준에서만이 아니라 세계적인 수준에서 그렇습니다. 제가 전공하고 있는 사회학 영역 뿐만 아니라, 한국학, 지리학, 인류학, 이주연구(Migration Studies), 가족학(Family Studies), 노년학(Social Gerontology) 등 인접 사회과학의 기초학문연구의 중요한 토대가 됩니다. 여러분의 참여로 만들어지는 자료, 논문이 몇 년이 지난 후 여러분과 여러분들의 자녀, 부모님의 삶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될 가능성이 적어도 있는 것이지요.   그러면, 어떤 분이 제 연구에 참여하실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한국학교, 한인교회, 한인성당, 연화원 등의 관계자 분들의 협조를 통해 30여 가정이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20대 후반에서 50대 후반까지, 다양한 배경을 가지신 분들께서 참여하셨습니다. 보다 더 다양하고 폭넓은 분의 참여를 확보하기 위해 적어도 대여섯 가족의 참여가 더 필요합니다. 필수자격은 기혼자 부부로서 자녀가 한 명 이상 (나이는 상관없습니다) 있으시면서, 친가와 배우자 부모님 중 한 분 이상 생존하신 분이 있으시면 (사시는 곳은 상관 없습니다) 됩니다. (미혼이면서 싱가포르에서 일하시는 분들을 위해서는 내년 1월에 미혼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터뷰 조사를 계획 중에 있습니다). 지금까지 참여하신 분들을 고려할 때, 필수자격을 갖추신 분들 중 다음에 해당하는 분들이 필요합니다. 1) 부부 중 적어도 한 분이 불교 혹은 종교가 없으신 분 (부모님의 종교는 상관 없습니다) 2) 자녀를 싱가포르 공립학교(Local)에 보내시고 계시거나, 자녀가 아직 어려서 학교를 보내지 않거나, 이미 자녀가 싱가포르 공립학교를 졸업하고 국내외 대학에 진학/졸업한 분 부부 두분 다 참여(인터뷰)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차후 제가 한국에 가서 친가/배우자 부모님 중 최소한 한 분이 제 인터뷰에 응하실 용의가 있어야 합니다. 부모님의 경우 ‘노년의 삶’에 대해서 짤막한 인터뷰를 합니다. 참여하시는 분께는 제가 몇 가지를 해드립니다. 첫째로, 참여자 1인당 20불의 상품권을 드립니다. 둘째로, 해외에서의 자녀교육과 성장경험에 관련한 간담회에 초대합니다 (오는 9월16일과 내년 3월 두 차례 예정). 간담회(‘세계인으로 커간 나의 경험’)는 싱가포르한인회 잡지 한누리 2006년 6월호에 인터뷰 기사(30-33페이지)가 실린 제 아내가 질의응답 시간을 함께 합니다. (참고,  http://www.koreansingapore.org/ 좌측하단의 한누리 ebook 55호 클릭) 셋째로, 제가 내년까지 싱가포르에 있을 계획인데, 그 사이에 자녀교육과 관련되어 제가 드릴 수 있는 도움(과외 선생님 소개, 진학/학업관련 조언 등)이 있으면 언제든 무엇이든 해드립니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제게 이메일을 주셔서 연락처를 주시면 제가 되도록 빨리 연락드리겠습니다. 참여 할지 말지 결정하시지 않으셨지만, 제 연구에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으시거나 더 물어보시고 결정하시고 싶으셔도 연락주십시오. 9월24일까지 참여 하실 부부 두 분의 인터뷰를 마무리하여야 할 일정입니다. 연구 참여자 개개인 모두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과 영국사회학회의 엄격한 연구윤리규정 기준에 따라 인터뷰 대상자로서의 권리를 가지십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인터뷰 시작 전에 설명 드립니다. 인터뷰 질문 내용도 미리 우편 혹은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설문서와는 달리, 글로 대답을 작성하실 필요가 없이, 인터뷰 때 편안하게 선생님의 생각, 의견, 경험을 말씀하시면 됩니다. 제 연락처는 jeehkim@gmail.com 혹은 jeehun.kim@sociology.oxford.ac.uk 핸드폰 번호 9450 4956입니다. 김지훈 올림 옥스퍼드대학 사회학과 박사과정/ NUS 아시아연구원 연구원 NUS 아시아연구원 홈페이지에 있는 제 소개 http://www.ari.nus.edu.sg/article_view.asp?id=262   *이 연구는 김지훈의 박사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과제로서, 한국 외교통상부/ASEAN Secretariat (아세안 사무국)/한국동남아학회로부터 ‘한-아세안 학술교류사업 기금’ (대학원생 펠로우쉽)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하고 있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47

기타비자에 관하여 다시 한번 질문드릴께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박하사탕() 2006-09-06
추천수 : 13 조회수 : 1,136

제가 며칠전에 ....↓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아는분의 싱가폴에서 여행사를 하십니다. 그래서 제가 싱가폴가서 일도 하고 그럴려고 취업비자를 신청했는데 비자가 나올 생각을 안하네요.. 물론 제가 신청한게 아니라(전 한국에 있어욤~) 회사에서 신청을…

  • A

    S비자로 들어오시는 모양인데, 사실 저렴한(?) 급여수준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싱가포르 생활을 경험하고 싶으시면 오셔도 되겠죠. 그런데 3개월이 지나도록 취업비자(EP)가 안나온다면 기각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보통 2달이전에 다 결론이 나거든요. 하지만 제일 좋은거는 회사쪽에서 직접 알아봐주는겁니다. 취업비자신청을 회사에서 했으니, 결정난 내용도 회사쪽에서 알아줄수 있을겁니다. 회사쪽에서 모르겠다고 하면 거짓말이거나 제대로 알아보지 않은거죠. 싱가포르 담당기관에서는 문의하면 결정사항은 반드시,정확히 알려줍니다. 이것이 제일 확실한 방법이군요. >제가 며칠전에 ....↓ >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아는분의 싱가폴에서 여행사를 하십니다. >그래서 제가 싱가폴가서 일도 하고 그럴려고 취업비자를 신청했는데 >비자가 나올 생각을 안하네요.. >물론 제가 신청한게 아니라(전 한국에 있어욤~) 회사에서 신청을 해놓은 >상태인데 벌서 3달이나 지났네요.. >제가 전문대학을 나온데다가 전공이랑 상관 없는 일을 한다고 해서 >빨리 안내준다고 하던데.. >그럼 저는.. 비자가 안나오는건가요?? >싱가폴 이민국에서는 그. 이름은 정확히 모르지만 저임금 노동자 신고하고 >들어가는거 있잖아요... 그걸 추천해준다고 하는데 거기 계시는 분이나 >다른분들 모두 그렇게 들어갈봐엔 차라리 안들어가는게 낫다고 하셔서.. >지금이라도 나오면 좋은데.. >좋은답변 기다릴께요~^^" > >라고 질문 드렸는데 아무도 대답을..;; > >다시한번 질문드릴께요~^^ > >내용은 똑같구요.. 답변 꼭 기다리겠습니다.^^ > >이제 가을이 정말 왔네요.. 안올것 같았던 가을이..^^ > >답변 꼭 부탁드릴께요~ 마음을 접어야하는건지.. 좀 알아야겠는데 > >그쪽에서는 같은 말만 되풀이 중이라..ㅋㅋ     

  • A

    아시는 분이 신청 하셨다면 신청상의 큰 하자는 없을 듯한데 3달이 지나도 소식이 없다는 것은 좀 이상하네요.... 직접 싱가폴 이민국에 문의 해보는 게 어떨까요. mom_hq@mom.gov.sg mom_wpd@mom.gov.sg 저 같은 경우도 승인 연락이 하도 없어 메일로 문의 했었는데 금방 답변 받았습니다. 회사이름과 신청한 날짜, 신청인 이름, 여권번호 등 기재하시고 현재 Application Status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하다고 메일 보내시면 보통 3일안에 답변 올 겁니다. 도움이 되시길.... >S비자로 들어오시는 모양인데, 사실 저렴한(?) 급여수준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싱가포르 생활을 경험하고 싶으시면 오셔도 되겠죠. >그런데 3개월이 지나도록 취업비자(EP)가 안나온다면 기각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보통 2달이전에 다 결론이 나거든요. 하지만 제일 좋은거는 회사쪽에서 직접 알아봐주는겁니다. 취업비자신청을 회사에서 했으니, 결정난 내용도 회사쪽에서 알아줄수 있을겁니다. 회사쪽에서 모르겠다고 하면 거짓말이거나 제대로 알아보지 않은거죠. 싱가포르 담당기관에서는 문의하면 결정사항은 반드시,정확히 알려줍니다. 이것이 제일 확실한 방법이군요. > >>제가 며칠전에 ....↓ >>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오라.. 제가 아는분의 싱가폴에서 여행사를 하십니다. >>그래서 제가 싱가폴가서 일도 하고 그럴려고 취업비자를 신청했는데 >>비자가 나올 생각을 안하네요.. >>물론 제가 신청한게 아니라(전 한국에 있어욤~) 회사에서 신청을 해놓은 >>상태인데 벌서 3달이나 지났네요.. >>제가 전문대학을 나온데다가 전공이랑 상관 없는 일을 한다고 해서 >>빨리 안내준다고 하던데.. >>그럼 저는.. 비자가 안나오는건가요?? >>싱가폴 이민국에서는 그. 이름은 정확히 모르지만 저임금 노동자 신고하고 >>들어가는거 있잖아요... 그걸 추천해준다고 하는데 거기 계시는 분이나 >>다른분들 모두 그렇게 들어갈봐엔 차라리 안들어가는게 낫다고 하셔서.. >>지금이라도 나오면 좋은데.. >>좋은답변 기다릴께요~^^" >> >>라고 질문 드렸는데 아무도 대답을..;; >> >>다시한번 질문드릴께요~^^ >> >>내용은 똑같구요.. 답변 꼭 기다리겠습니다.^^ >> >>이제 가을이 정말 왔네요.. 안올것 같았던 가을이..^^ >> >>답변 꼭 부탁드릴께요~ 마음을 접어야하는건지.. 좀 알아야겠는데 >> >>그쪽에서는 같은 말만 되풀이 중이라..ㅋㅋ >     

  • A

    여기에 공개하기 부적절한 내용들이 있으므로 아래 주소로 메일 주소 알려 주시면 (aup2517@hanmail.net) 확실하게 비자건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Q

NO.36

기타답글 좀 부탁드려요~

  • 답글 : 5
  • 댓글 : 0
답변진행중
키위소스(kiwisauce) 2006-03-01
추천수 : 9 조회수 : 2,062

3월 중순부터 싱가폴로 회사를 옮기게 되었어요. 시간이 많이 없다보니 일일이 정보를 찾아 다니기가 힘드네요. 질문이 몇개 되니 아시는 분들 답글 좀 부탁드려요. (전체 답변이 힘드시면 한 두개씩 만이라두 답글 좀 주세요..) 1. 회사가 Harbourfront 쪽 M…

  • A

    >3월 중순부터 싱가폴로 회사를 옮기게 되었어요. >시간이 많이 없다보니 일일이 정보를 찾아 다니기가 힘드네요. >질문이 몇개 되니 아시는 분들 답글 좀 부탁드려요. >(전체 답변이 힘드시면 한 두개씩 만이라두 답글 좀 주세요..) > >1. 회사가 Harbourfront 쪽 Maritime Square에 있습니다. >   MRT 한번으로 연결되는 지역으로 해서 시내에 가까운 Condo (F/Furnished) 를 >   연간 단위로 빌리면 얼마 정도 되나요? (총각이라 1R, 2R 정도면 됩니다) >   월간 계약도 가능한 곳이 있나요? >   Harbourfront 서쪽지역 5번 구역정도에 월1000-1500 S$에 빌릴 수 있을까요? >   좋은 웹사이트라두 적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하버프론트면 거의 시내 중심지라서, 콘도의 방이 하나라 하더라도 1500 S$이상 필요할겁니다. 1200S$짜리도 있던데 거의 쓰러져가더군요..무너질까봐 겁났음. HDB를 월세로 들어갈수있고, 콘도보다는 훨씬싸서 1000S$에 맞출수도 있습니다만, 실제로 보시면 입주하고 싶은 맘이 들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2. P1 비자를 받을 것 같은데 영주권 신청은 가능한가요? >   정부에서 필요한 인력에겐 직접 신청서를 보낸다는 말이 있던데 사실인가요? >   제가 직접 이민국에 찾아가서 신청해야 하나요? > P1이면 영주권이 거의 나옵니다. 다만, 영주권신청시에는 6개월분의 월급명세서를 첨부해야 하기 때문에 즉시 신청할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영주권신청권유를 한다는 얘기가 있긴하지만, 받았다는 사람 본적은 없습니다. 그냥 풍문이 아닐까 합니다. >3. 아래 Utility 비용은 보통 한달에 얼마정도 되나요? >   TV, 전화, 핸드폰, 인터넷, 각종 공과금등... >   총각 한달 생활비는 얼마 정도 예상하면 되나요? > TV : 기본3채널+스포츠채널 35S$, 초기설치시 Deposit : 300S$ (StarHub의 경우) 핸드폰 : 월 50S$ (통화료만) 인터넷 : 월 80~100S$ 공과금 : 전기 100S$, 수도 15S$, 가스 10S$ 버스/전철(MRT) : 1S$내외. 택시 : 동쪽끝에서 서쪽끝까지가도 최대 25S$, 평균 7~10S$정도. >4. 회사에서 의료비 지원을 합니다만 싱가폴내에서 따로 의료보험을 (AIG나 뭐 이런...) >   가입하게 되면 한국에서처럼 병원에서 가입자 추가 요금이 나오나요? >   만약 나온다면 비싼편인가요? > 보통 회사의 의료비지원으로 충분합니다만, 민간의료보험 가입하면 납부할 보험료가 엄청 비싸답니다. 거의 민간의료보험 안하고 회사의료보비지원만으로 해결합니다. 콘도는 수영장이랑 헬스클럽이 있으니 운동열심히하고 무단횡단할때 주의를 좀 기울이면 의료비용 크게 들게 없을겁니다. >5. 총각이라 식사를 항상 사 먹어야 할 것 같은데 한식, 중식, 일식등의 >    평균 가격은 얼마 정도 되나요? 한국 가격 비교해서요...얼마나 비싼지... > 한식/일식 : 15$ (끼니당) 중식 (로컬음식) : 최대 10S$ 평균 4S$ 전문 스테이점 : 40S$정도. >6. 여가 시간에 중국어 같은걸 배워볼까 하는데 방문 교육 같은거 >    한달에 얼마 정도 지불하면 가능할까요? > 중국어/영어 : 시간당 25 S$에서 75S$ (방문교육의 경우) 중국어가 영어보다 좀 쌉니다. 영어는 로컬사람보다 호주/영국 사람인경우 더 비싸구요. >7. 싱가폴<->쿠알라룸푸르, 싱가폴<->방콕 간의 비행기 왕복 가격은 얼마 정도 >    되나요? > 한 200 S$정도? (자세히는 모름) 차타고 5시간거리라서 보통은 서울에서 부산가는 맘으로 고속버스 타고 갔다옵니다. 고속버스는 편도 25S$정도. >8. 주로 어떤 짐들을 챙겨가야 할 지 잘 모르겠는데, 한국에서 꼭 가져오면 좋은 거 >    몇개 가르쳐 주세요. (총각 기준으로 해서요... >    지금은 옷가지 같은거밖에는 생각이 안나네요) > 옷밖에 없어요..혼자사는데 머...*^^* 와서 다 새로 사세요. 신발값싸고 옷값싸고, 대신 품질은 좀 떨어지죠. >충실한 답변 주신 분께는 싱가폴 도착해서 식사 대접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대접이라고 하시니, 로컬음식은 안먹겠습니다. 전문스테이크나..ㅋㅋ 건투를 빕니다.     

  • A

    안녕하세요... 일단은 저도 궁금한건 P1 비자 받으신다니..실례가 안돈다면 어떤 포지션이신지요..싱가폴도 요즘 경기가 많이 안좋은 관계로 여기서 월 급여 7000불 이상이면 상당히 높은 급여 수준이거든요...주로 파이낸서나 오일 프랜트 전문가 ....아마 님께서는 한 분야에 전문가 이신가보네요,,,부러워라....ㅋㅋㅋ성공적인 입싱하세요...^^ >3월 중순부터 싱가폴로 회사를 옮기게 되었어요. >시간이 많이 없다보니 일일이 정보를 찾아 다니기가 힘드네요. >질문이 몇개 되니 아시는 분들 답글 좀 부탁드려요. >(전체 답변이 힘드시면 한 두개씩 만이라두 답글 좀 주세요..) > >1. 회사가 Harbourfront 쪽 Maritime Square에 있습니다. >   MRT 한번으로 연결되는 지역으로 해서 시내에 가까운 Condo (F/Furnished) 를 >   연간 단위로 빌리면 얼마 정도 되나요? (총각이라 1R, 2R 정도면 됩니다) >   월간 계약도 가능한 곳이 있나요? >   Harbourfront 서쪽지역 5번 구역정도에 월1000-1500 S$에 빌릴 수 있을까요? >   좋은 웹사이트라두 적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 P1 비자를 받을 것 같은데 영주권 신청은 가능한가요? >   정부에서 필요한 인력에겐 직접 신청서를 보낸다는 말이 있던데 사실인가요? >   제가 직접 이민국에 찾아가서 신청해야 하나요? > >3. 아래 Utility 비용은 보통 한달에 얼마정도 되나요? >   TV, 전화, 핸드폰, 인터넷, 각종 공과금등... >   총각 한달 생활비는 얼마 정도 예상하면 되나요? > >4. 회사에서 의료비 지원을 합니다만 싱가폴내에서 따로 의료보험을 (AIG나 뭐 이런...) >   가입하게 되면 한국에서처럼 병원에서 가입자 추가 요금이 나오나요? >   만약 나온다면 비싼편인가요? > >5. 총각이라 식사를 항상 사 먹어야 할 것 같은데 한식, 중식, 일식등의 >    평균 가격은 얼마 정도 되나요? 한국 가격 비교해서요...얼마나 비싼지... > >6. 여가 시간에 중국어 같은걸 배워볼까 하는데 방문 교육 같은거 >    한달에 얼마 정도 지불하면 가능할까요? > >7. 싱가폴<->쿠알라룸푸르, 싱가폴<->방콕 간의 비행기 왕복 가격은 얼마 정도 >    되나요? > >8. 주로 어떤 짐들을 챙겨가야 할 지 잘 모르겠는데, 한국에서 꼭 가져오면 좋은 거 >    몇개 가르쳐 주세요. (총각 기준으로 해서요... >    지금은 옷가지 같은거밖에는 생각이 안나네요) > >충실한 답변 주신 분께는 싱가폴 도착해서 식사 대접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A

    에스컬레이터님... 유익한 답글 감사드립니다... 싱가폴 도착해서 빠른 시간내에 이 곳에 글 남길테니 꼭 연락주세요...약속대로 식사 대접해 드리겠습니다... (첫 한달은 회사측에서 시내 아파트를 제공 하기로 해서 인터넷 연결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요...PC방에라도 가서 글 남길테니 꼭 연락주세요 ^^) ---------------------------------------------------------------------- >>3월 중순부터 싱가폴로 회사를 옮기게 되었어요. >>시간이 많이 없다보니 일일이 정보를 찾아 다니기가 힘드네요. >>질문이 몇개 되니 아시는 분들 답글 좀 부탁드려요. >>(전체 답변이 힘드시면 한 두개씩 만이라두 답글 좀 주세요..) >> >>1. 회사가 Harbourfront 쪽 Maritime Square에 있습니다. >>   MRT 한번으로 연결되는 지역으로 해서 시내에 가까운 Condo (F/Furnished) 를 >>   연간 단위로 빌리면 얼마 정도 되나요? (총각이라 1R, 2R 정도면 됩니다) >>   월간 계약도 가능한 곳이 있나요? >>   Harbourfront 서쪽지역 5번 구역정도에 월1000-1500 S$에 빌릴 수 있을까요? >>   좋은 웹사이트라두 적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하버프론트면 거의 시내 중심지라서, 콘도의 방이 하나라 하더라도 1500 S$이상 필요할겁니다. 1200S$짜리도 있던데 거의 쓰러져가더군요..무너질까봐 겁났음. >HDB를 월세로 들어갈수있고, 콘도보다는 훨씬싸서 1000S$에 맞출수도 있습니다만, 실제로 보시면 입주하고 싶은 맘이 들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 >>2. P1 비자를 받을 것 같은데 영주권 신청은 가능한가요? >>   정부에서 필요한 인력에겐 직접 신청서를 보낸다는 말이 있던데 사실인가요? >>   제가 직접 이민국에 찾아가서 신청해야 하나요? >> >P1이면 영주권이 거의 나옵니다. 다만, 영주권신청시에는 6개월분의 월급명세서를 첨부해야 하기 때문에 즉시 신청할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영주권신청권유를 한다는 얘기가 있긴하지만, 받았다는 사람 본적은 없습니다. 그냥 풍문이 아닐까 합니다. > >>3. 아래 Utility 비용은 보통 한달에 얼마정도 되나요? >>   TV, 전화, 핸드폰, 인터넷, 각종 공과금등... >>   총각 한달 생활비는 얼마 정도 예상하면 되나요? >> >TV : 기본3채널+스포츠채널 35S$, 초기설치시 Deposit : 300S$ (StarHub의 경우) >핸드폰 : 월 50S$ (통화료만) >인터넷 : 월 80~100S$ >공과금 : 전기 100S$, 수도 15S$, 가스 10S$ >버스/전철(MRT) : 1S$내외. >택시 : 동쪽끝에서 서쪽끝까지가도 최대 25S$, 평균 7~10S$정도. > >>4. 회사에서 의료비 지원을 합니다만 싱가폴내에서 따로 의료보험을 (AIG나 뭐 이런...) >>   가입하게 되면 한국에서처럼 병원에서 가입자 추가 요금이 나오나요? >>   만약 나온다면 비싼편인가요? >> >보통 회사의 의료비지원으로 충분합니다만, 민간의료보험 가입하면 납부할 보험료가 엄청 비싸답니다. 거의 민간의료보험 안하고 회사의료보비지원만으로 해결합니다. >콘도는 수영장이랑 헬스클럽이 있으니 운동열심히하고 무단횡단할때 주의를 좀 기울이면 >의료비용 크게 들게 없을겁니다. > >>5. 총각이라 식사를 항상 사 먹어야 할 것 같은데 한식, 중식, 일식등의 >>    평균 가격은 얼마 정도 되나요? 한국 가격 비교해서요...얼마나 비싼지... >> >한식/일식 : 15$ (끼니당) >중식 (로컬음식) : 최대 10S$ 평균 4S$ >전문 스테이점 : 40S$정도. > >>6. 여가 시간에 중국어 같은걸 배워볼까 하는데 방문 교육 같은거 >>    한달에 얼마 정도 지불하면 가능할까요? >> >중국어/영어 : 시간당 25 S$에서 75S$ (방문교육의 경우) >중국어가 영어보다 좀 쌉니다. 영어는 로컬사람보다 호주/영국 사람인경우 더 비싸구요. > >>7. 싱가폴<->쿠알라룸푸르, 싱가폴<->방콕 간의 비행기 왕복 가격은 얼마 정도 >>    되나요? >> >한 200 S$정도? (자세히는 모름) >차타고 5시간거리라서 보통은 서울에서 부산가는 맘으로 고속버스 타고 갔다옵니다. >고속버스는 편도 25S$정도. > >>8. 주로 어떤 짐들을 챙겨가야 할 지 잘 모르겠는데, 한국에서 꼭 가져오면 좋은 거 >>    몇개 가르쳐 주세요. (총각 기준으로 해서요... >>    지금은 옷가지 같은거밖에는 생각이 안나네요) >> >옷밖에 없어요..혼자사는데 머...*^^* >와서 다 새로 사세요. 신발값싸고 옷값싸고, 대신 품질은 좀 떨어지죠. > >>충실한 답변 주신 분께는 싱가폴 도착해서 식사 대접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대접이라고 하시니, 로컬음식은 안먹겠습니다. 전문스테이크나..ㅋㅋ >건투를 빕니다.     

Q

NO.34

기타싱가폴 입국시 체류기간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jshin(jwshin92) 2006-01-31
추천수 : 19 조회수 : 1,197

한국인이 social pass 안 받고 싱가폴 입국시 보통 얼마 동안 무비자로 체류할수 있나요? 한달인지 2주인지 확실치 않아서..그리고 체류기간 만기 전에 연장하려고 하면 그때 이민국에 가서 연장 신청해도 늦지 않나요? 아님 출국했다가 들어와야 하나요? 혹시 아시는 …

  • A

    한국에서 비행기를 타고 입국하면 일반적으로 한달짜리 Social visa를 줍니다. 말레이지아나 인도네시아에서 육로나 해로를 통해 들어오면 2주 짜리, 한국과 싱가폴의 무비자 협정은 90일간 체류 가능하며, 연장시에는 타당한 사유를 적어서 이민국에서 신청하면 되구요.  보통 싱가폴 시민권/영주권/회사법인의 보증을 필요로 합니다. 그 과정이 번거로우면, 근처(말레이지아 국경 도시 조호바루/인도네시아 지역의 인근섬, 빈탄이나 바탐)로 출국해서 2주씩 연기하는 방법도 있으며, 2개월 정도 왔다갔다하면, 그 이유를 물어보고, 간혹 협박을 하기도 하지만 큰 문제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3개월이 지나면, 본국에 갔다 오라고 권장을 하면서, 3일짜리 비자를 찍어 주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담당자의 권한이 많은 편이며, 말레이지아로 출국후 입국시에는 택시나 승용차를 이용하는 편이 보다 덜 번거롭습니다. 버스를 타면, 내려서 건물 계단을 오르락 내리락 하여야 하며 심사도 비교적 까다로운 편이지만, 택시나 승용차의 경우엔 차안에서 내리지 않고 출입국 심사를 하는 편이며, 심사도 덜 까다로운 것 같습니다. 버스를 타고 입국할 경우 말레이나 인도네시아 사람들에게는 소지하고 있는 돈이 얼마냐고 물어보기도 할 정도이니까, 버스를 타고 들어 오는 사람들에 대한 차별이 있다고 봐야겠죠? >한국인이 social pass 안 받고 싱가폴 입국시 보통 얼마 동안 무비자로 체류할수 있나요? 한달인지 2주인지 확실치 않아서..그리고 체류기간 만기 전에 연장하려고 하면 그때 이민국에 가서 연장 신청해도 늦지 않나요? 아님 출국했다가 들어와야 하나요? 혹시 아시는 분 답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Q

NO.33

기타싱가폴 여행 비자시 체류기간과 말레이시아 통한 재입국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창이공항(wryan) 2005-12-22
추천수 : 3 조회수 : 3,297

안녕하세요? 여행 비자로 싱가폴에 입국한 경우 체류 기간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기본이 30일이지만, 현지에서 연장을 원하는 경우 싱가폴 이민국에 신청을 하면 되는 것이 맞는지요? 그렇게 두 번 더 연장가능하여 총 90일간 체류가 맞는 것인지요? 그리고 더 체류를 하…

  • A

    안녕하세요... 우선 제가 아는 것만 답변 드립니다.. 말레이지아 다녀오시면 15일 비자 줍니다..차나 배로 다녀 오실경우에요. 비행기를 이용하시면 30일이구요...그리고 여행비자는 기본 30일이구요..더 연장을 원하시면 이민국에 가서 신청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일정한 장기체류 목적이 있어야 하고 또한 현지인이나 다니고 있는 직장의 보증이 있어야 할수도 있습니다. 물론 돌아가는 비행기 티켓도 있어야 연장 가능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여행 비자로 싱가폴에 입국한 경우 체류 기간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기본이 30일이지만, 현지에서 연장을 원하는 경우 싱가폴 이민국에 신청을 하면 되는 것이 맞는지요? 그렇게 두 번 더 연장가능하여 총 90일간 체류가 맞는 것인지요? > >그리고 더 체류를 하고 싶으면, 다소 편법이긴 하지만, 말레이시아 조호바로에 다녀오면 된다고 들었는데, 정말 그런가요? 그러면 싱가폴 재입국이 되어, 다시 30일의 체류기간이 주어지게 된다고 하던데요?   배나 자동차로 다녀올 경우엔 15일 밖에 체류 기간이 안  주어진다는 얘기도 있고. >어떤 것이 맞나요? >말레이시아에 다녀와 15일 혹은 30일 체류 기간이 주어지면 처음처럼 다시 싱가폴 이민국에서 2번 더 30일씩 연장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요? > >제가 현재 싱가폴에 거주하고 있는데(EP로),  제 자녀의  DP 비자 발급이 어려워져서, >유학원을 통해 학생 비자를 받으려고 하였는데, 이 또한 갈 수 있는 유치원이 너무 멀고 인터내셔날 스쿨만 갈 수 있다고 해서 학비가 너무 비싸 다른 방법을 찾고 있는 중입니다. >여러분들의 도움의 글을 절실히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     

  • A

    친절하고 빠른 답변에 무척 감사드립니다. 돌아가는 비행기표는 물론 있고요, 싱가폴 사립 유치원 다닌 증명서가 있으면 연장이 가능할려나요? 그리고 말레이시아 다녀와서 재입국하면 15일 비자가 나오고, 다시 이민국에 신청하면 30일씩 2번 연장이 가능한 것인지요? 이에 대한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우선 제가 아는 것만 답변 드립니다.. > >말레이지아 다녀오시면 15일 비자 줍니다..차나 배로 다녀 오실경우에요. >비행기를 이용하시면 30일이구요...그리고 여행비자는 기본 30일이구요..더 연장을 원하시면 이민국에 가서 신청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일정한 장기체류 목적이 있어야 하고 또한 현지인이나 다니고 있는 직장의 보증이 있어야 할수도 있습니다. 물론 돌아가는 비행기 티켓도 있어야 연장 가능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 > >>안녕하세요? 여행 비자로 싱가폴에 입국한 경우 체류 기간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기본이 30일이지만, 현지에서 연장을 원하는 경우 싱가폴 이민국에 신청을 하면 되는 것이 맞는지요? 그렇게 두 번 더 연장가능하여 총 90일간 체류가 맞는 것인지요? >> >>그리고 더 체류를 하고 싶으면, 다소 편법이긴 하지만, 말레이시아 조호바로에 다녀오면 된다고 들었는데, 정말 그런가요? 그러면 싱가폴 재입국이 되어, 다시 30일의 체류기간이 주어지게 된다고 하던데요?   배나 자동차로 다녀올 경우엔 15일 밖에 체류 기간이 안  주어진다는 얘기도 있고. >>어떤 것이 맞나요? >>말레이시아에 다녀와 15일 혹은 30일 체류 기간이 주어지면 처음처럼 다시 싱가폴 이민국에서 2번 더 30일씩 연장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요? >> >>제가 현재 싱가폴에 거주하고 있는데(EP로),  제 자녀의  DP 비자 발급이 어려워져서, >>유학원을 통해 학생 비자를 받으려고 하였는데, 이 또한 갈 수 있는 유치원이 너무 멀고 인터내셔날 스쿨만 갈 수 있다고 해서 학비가 너무 비싸 다른 방법을 찾고 있는 중입니다. >>여러분들의 도움의 글을 절실히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 >     

  • A

    1. 싱가폴에서 2번 연장 가능합니다. 물론 현지인 스폰서가 필요합니다.     적합한 사유도 있어야 하구요. 2. 해상, 육로로 입국시에도 기본적으론 14일을 줍니다.    그러나 이민국 직원의 재량에 따라 1일~30일을 줍니다.    잦은 연장으로 의심이 갈 경우에 이민국 직원이 판단하여 다음날 출국으로    스탬프를 찍어주고 이민국에가서 해결하라고 합니다. 비행기표등이 있으면    그날까지 찍어주기도 합니다. 물론 1주일정도 이내일 겁니다.    명분이 있으면 계속해도 됩니다. 예로 EP등이 신청중 이라던지... 3. 기본적으로 싱가폴은 정해진 룰은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전문가와 상의     하시는게 맞습니다. 예로 EP를 신청중일 경우 어떤 이유든지 자꾸 거절이 되는     상황에서 어필을 하고 있을 경우 MOM에서 체류 연장을 해줍니다. 4. 귀하의 경우는 현재 EP를 가지고 계시면서 자녀분의 DP를 신청하려고 하는데     잘안나온다고 하셨는데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귀하가 소지 하신  EP가 가족 동반이 안되는 경우인지요. 받으실때 어프르발 레터를     보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 경우가 아니면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EP소지자면 당연히 주는 것인데 또 직계     가족  이구요. MOM에 가셔서 확인해보시고 다시 올려주세요. 그럼 제가 방법을     이곳에 알려드리겠습니다.     또, DP비자 발급이 어려워 졌다는건 어떤건지 설명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여행 비자로 싱가폴에 입국한 경우 체류 기간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기본이 30일이지만, 현지에서 연장을 원하는 경우 싱가폴 이민국에 신청을 하면 되는 것이 맞는지요? 그렇게 두 번 더 연장가능하여 총 90일간 체류가 맞는 것인지요? > >그리고 더 체류를 하고 싶으면, 다소 편법이긴 하지만, 말레이시아 조호바로에 다녀오면 된다고 들었는데, 정말 그런가요? 그러면 싱가폴 재입국이 되어, 다시 30일의 체류기간이 주어지게 된다고 하던데요?   배나 자동차로 다녀올 경우엔 15일 밖에 체류 기간이 안  주어진다는 얘기도 있고. >어떤 것이 맞나요? >말레이시아에 다녀와 15일 혹은 30일 체류 기간이 주어지면 처음처럼 다시 싱가폴 이민국에서 2번 더 30일씩 연장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요? > >제가 현재 싱가폴에 거주하고 있는데(EP로),  제 자녀의  DP 비자 발급이 어려워져서, >유학원을 통해 학생 비자를 받으려고 하였는데, 이 또한 갈 수 있는 유치원이 너무 멀고 인터내셔날 스쿨만 갈 수 있다고 해서 학비가 너무 비싸 다른 방법을 찾고 있는 중입니다. >여러분들의 도움의 글을 절실히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     

Q

NO.32

기타비자문제 질문입니다.급합니다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학부모(han6105) 2005-12-21
추천수 : 6 조회수 : 1,163

현재 아이들 동반으로 외할머니와 이모가 함께 가 있습니다..싱가폴에요 외할머니 혼자가시자니 외롭고 해서 홀로사시는 이모를 함께 보냈는데요..간지 두분모두 12월 2일경에 싱가폴에 도착했습니다. 저는 두분모두 비자문제가 아무런 문제 없는줄 알고 보냈는데요. 알고보…

  • A

    제가 아는분이 비자문제를 잘아시고 한국분들에게 도움주시는걸로 알고있읍니다 HP; 001-65-9617-3577  데니엘 >현재 아이들 동반으로 외할머니와 이모가 함께 가 있습니다..싱가폴에요 > >외할머니 혼자가시자니 외롭고 해서 홀로사시는 이모를 함께 보냈는데요..간지 두분모두 > >12월 2일경에 싱가폴에 도착했습니다. > >저는 두분모두 비자문제가 아무런 문제 없는줄 알고 보냈는데요. > >알고보니 동반비자를 만들려고 하니까 할머니는 된다고 들었습니다 > >그런데 할머니도 외할머니는 안되는건지요. 만일 외할머니가 동반보호자로 가능하다면 > >이모가 함께 있을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요 > >두사람이 안된다면 이모만이라도 동반비자를 받고싶은데요 > >아님 아이들이 둘이니까 각각의 보호자로 동반비자를 만들수 있는지요 > >꼭 부탁드립니다 > >만일 두분모두 동반비자가 안된다면 한달에 한번씩 3개월까지 비자 연장을 할수 > >있는걸로 알고있는데요..그럼 3개월까지 연장했다면..그다음에 한국에 한번 > >나왔다가 다시 또 들어가서 또 다시 3개월을 연장할수있는지요. > >꼭 도와주세요..안되면 아이들을 두고 외할머니와 이모는 돌아와야하는 상황이 > >되서요..부탁드릴께요.. > >어디에 물어야할지..또는 안되는영어로 이민국에 상담도 안되구요 > >한국촌만에 제게 해답을 주실것 같아서요..     

  • A

    하지만 유학원이나 그런곳의 도움은 받고싶지않아서 이렇게 글을 올렸습니다 예전에 유학원에 지나친 비용을 지불한 경험이 있어서요 감사합니다.  알려주신분은 유학관계자가 아니리라 믿고 전화드려볼께요     

  • A

    아이의 보호자는 반드시 엄마와 할머니만 가능하다고 들었구요,, 여기 이 나라는 엄마가 아이랑 성이 틀린것도 때때로 이해를 못하더라구요, 말씀하시기에 따라 할머니는 가능할수도 있겠지만, 일단, 아이의 성이 틀리면 꼭 다시 확인합니다,. 할머님의 경우는 잘 모르겠지만, 이모님의 경우는 힘들꺼 같네요 따로 학원에 등록하셔서,,학생비자를 받으셔야 할듯, 아는건 없지만, 힘드시면 메일주세요. > >하지만 유학원이나 그런곳의 도움은 받고싶지않아서 이렇게 글을 올렸습니다 > >예전에 유학원에 지나친 비용을 지불한 경험이 있어서요 > >감사합니다.  알려주신분은 유학관계자가 아니리라 믿고 전화드려볼께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