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기타
  • 곧 싱가폴에 인턴십을 떠나게될 학생입니다~질문있어요^^
  • kino (chococream)
  • 질문 : 6건
  • 질문마감률 : 0%
  • 2005-12-30 17:14
  • 답글 : 3
  • 댓글 : 0
  • 1,261
  • 4
안녕하세요? 내년 1월3일에 싱가폴 에어라인에서 커스터머 에이전트 인턴으로 일하게 된 한국k대의 여대생입니다^^ 이렇게 든든한 홈페이지가 있어서 싱가폴에서도 안외로울거같네요~ 아..다름이 아니라;; 얼마 안남았는데..짐을 쌓아야하는데 뭘 어떻게 챙겨야 할지 몰라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상세한 답변 부탁드릴께요(__) 1. 저는 노트북을 사고싶은데..한국에서는 살 형편이 안되어서 싱가폴 인턴을 하면서 돈 벌면서 현지에서 노트북을 사려고하는데..노트북이랑 디지털 카메라의 가격은 얼마정되 되나요? 2. 싱가폴에서 앞으로 1년이나 지내게 될텐데...가장 중요한 물건이 무엇인가요? 그러니깐...꼭 챙겨가야하는 물건이 어떤게 있는지 조언 부탁드려요^^ 3. 취업비자는 현지에서 신청하는건가요? 4. 현지에서의 교통비는 얼마나되나요? 아..;; 한꺼번에 질문이 너무 많네요^^; 질문 답 부탁드립니다~ 나중에 싱가폴에서 뵈요^-^)/     
  • [답변]
  • 1년동안 한국에 못들어가신다면 싱가폴에서 사세요 ~
  • 컴퓨터a/s기사 (k77is)
  • 답변 : 502건
  • 답변채택률 : 6.77%
  • 2005-12-31 03:28
노트북은 대략 1200-1500 불 사이면 구입가능합니다. 모바일 셀러론 급이구요, 1500불이 면 소노마 노트북까지 잘하면 되겠네요.  단, 영문이거나 윈도우 미포함 모델일수도 있다 는 것을 유의하시면요 ~  디카나 놋북 모두 a/s때문에 싱가폴에서 사시는 것이 더 낫습니 다. 무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는 하지만 그래도 고쳐는 줍니다.  ㅋㅋㅋ 취업비자는 현지에서 신청하는건가요?  -   님이 걱정하실 문제는 아닙니다. 회사에서 알아서 해주는 문제이고 관련 서류만 잘 챙겨가면 될것같네요. 현지에서의 교통비는 얼마나되나요?  -  쓰는 만큼 나옵니다.  ㅋㅋ   거리에 따라 요금이 차등 적용되기 때문에 뭐라 말씀드리기가 ... 다만 날씨가 더워서 택시를 자주 탄다는 것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지하철과 버스만 타신다면 부담될 수준은 아닙니다. 대충 이정도면 답변이 되려나 모르겠네요. 1년동안 즐겁게 지내다 오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re] 곧 싱가폴에 인턴십을 떠나게될 학생입니다~질문있어요^^
  • RIVER ()
  • 답변 : 921건
  • 답변채택률 : 0.43%
  • 2005-12-31 16:40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음.. 첫번째 질문이신.. 노트북이랑 디지털 카메라 가격은 한국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실제로는 조금 더 저렴하며.. (만약.. 흥정을 잘 하신다면요.. 로컬 친구와 같이 구입하시길 권장합니다.. 정찰제가 아닌 심림 센터 같은 곳에선 싸게 살수도 있지만 외국인은 바가지를 쓸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리고 한국어 설명서 혹은 작동 버전이 아닌 영문 버전의 기능을 따로 익히셔야 하는 번거로움과 A/S문제가 있을시 국제 보증이 되지 않는 경우 반드시 싱가폴 내에서 수리를 하셔야 하는 점이 있습니다. 참고 하시구요.  개인적으로는 이곳에서 사셔도 별 문제 없습니다.. 여유가 되실때 그리고 꼭 필요하실때 사시는 것이 좋을것 같구요.. 두번째 질문 .. 한 1년 정도 사신다고 하시니.. 우선 현재에서 묵으실 방 문제가 해결이 된 상태시라면 거의 모든 생활 용품은 이곳에서도 한국과 같이 구입 가능하구요.. 간단한 개인 용품만 챙겨 오셔도 무방할것 같습니다. 혹은 한국촌에 나와있는  싱가폴 입국시 챙겨야 할 사항들을 꼼꼼하게 확인 하셔서 오신다면 도움이 되겠죠.. 영어 사전 (한영, 영한) 혹은 개인이 꼬~옥 필요한 물건들은 가지고 오시길.. 혹시 숙소가 해결이 안 된 상태에서는 한국촌 벼룩 시장에 보면 많은 분들이 콘도나 HDB에 방을 세 놓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한달 500-600불 (싱달러) 정도 보시면 되구요 (전기,수도 포함). 이것은 싱가폴 입국전에 주인과 이야기가 되어 있어야 되지 싶네여.. 그리고 셋째.. 싱가폴 에어라인에서 어떤 일을 하시게 되는 건가요 ? 취업을 어 떤 방식으로 하게 되셨는지 궁금하구요.. 보통 싱가폴 에어라인에서 채용 하게 된 경우 회사에서 EP 문제를 전담해서 처리해 주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것이 아닐경우는 현지에 들어올때 Social visa (보통 3개월 정도)를 받게 되므로 그 사이에 처리하시면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회사에 꼭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교통비는 싱가폴에서는 크게 교통수단이 버스. 택시, 그리고 전철(MRT)를 이용 많이 합니다. 버스와 전철은 한국의 교통 카드와 동일하게 (E-Z link) 카드를 사용하구요.. 보통 거리에 따라 다르게 요금을 책정합니다. 한국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크게 부담 가지실 필요는 없구요. 택시요금도 저렴하다고 개인적으론 생각하고 ..(바가지, 합승 없음 ^^) 싱가폴 공항에 들어 오셔서 한국돈 한 10-20만원 정도는 싱가폴 달러로 바꾸어서 가지고 계신것이 좋습이다. 그럼 화이팅 하시길.. >안녕하세요? >내년 1월3일에 싱가폴 에어라인에서 커스터머 에이전트 인턴으로 일하게 된 >한국k대의 여대생입니다^^ >이렇게 든든한 홈페이지가 있어서 싱가폴에서도 안외로울거같네요~ >아..다름이 아니라;; > >얼마 안남았는데..짐을 쌓아야하는데 뭘 어떻게 챙겨야 할지 몰라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상세한 답변 부탁드릴께요(__) > >1. 저는 노트북을 사고싶은데..한국에서는 살 형편이 안되어서 싱가폴 인턴을 하면서 돈 벌면서 현지에서 노트북을 사려고하는데..노트북이랑 디지털 카메라의 가격은 얼마정되 되나요? > >2. 싱가폴에서 앞으로 1년이나 지내게 될텐데...가장 중요한 물건이 무엇인가요? 그러니깐...꼭 챙겨가야하는 물건이 어떤게 있는지 조언 부탁드려요^^ > >3. 취업비자는 현지에서 신청하는건가요? > >4. 현지에서의 교통비는 얼마나되나요? > >아..;; >한꺼번에 질문이 너무 많네요^^; >질문 답 부탁드립니다~ >나중에 싱가폴에서 뵈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re] 곧 싱가폴에 인턴십을 떠나게될 학생입니다~질문있어요^^
  • kang2407 (kang2407)
  • 답변 : 1건
  • 답변채택률 : 0%
  • 2005-12-31 18:37
>안녕하세요? >내년 1월3일에 싱가폴 에어라인에서 커스터머 에이전트 인턴으로 일하게 된 >한국k대의 여대생입니다^^ >이렇게 든든한 홈페이지가 있어서 싱가폴에서도 안외로울거같네요~ >아..다름이 아니라;; > >얼마 안남았는데..짐을 쌓아야하는데 뭘 어떻게 챙겨야 할지 몰라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상세한 답변 부탁드릴께요(__) > >1. 저는 노트북을 사고싶은데..한국에서는 살 형편이 안되어서 싱가폴 인턴을 하면서 돈 벌면서 현지에서 노트북을 사려고하는데..노트북이랑 디지털 카메라의 가격은 얼마정되 되나요? > >2. 싱가폴에서 앞으로 1년이나 지내게 될텐데...가장 중요한 물건이 무엇인가요? 그러니깐...꼭 챙겨가야하는 물건이 어떤게 있는지 조언 부탁드려요^^ > >3. 취업비자는 현지에서 신청하는건가요? > >4. 현지에서의 교통비는 얼마나되나요? > >아..;; >한꺼번에 질문이 너무 많네요^^; >질문 답 부탁드립니다~ >나중에 싱가폴에서 뵈요^-^)/ 방은 얻으셨나요?  연락처 좀 알려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열람중

기타곧 싱가폴에 인턴십을 떠나게될 학생입니다~질문있어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kino(chococream) 2005-12-30
추천수 : 4 조회수 : 1,262

안녕하세요? 내년 1월3일에 싱가폴 에어라인에서 커스터머 에이전트 인턴으로 일하게 된 한국k대의 여대생입니다^^ 이렇게 든든한 홈페이지가 있어서 싱가폴에서도 안외로울거같네요~ 아..다름이 아니라;; 얼마 안남았는데..짐을 쌓아야하는데 뭘 어떻게 챙겨야 할지 몰라서…

  • A

    노트북은 대략 1200-1500 불 사이면 구입가능합니다. 모바일 셀러론 급이구요, 1500불이 면 소노마 노트북까지 잘하면 되겠네요.  단, 영문이거나 윈도우 미포함 모델일수도 있다 는 것을 유의하시면요 ~  디카나 놋북 모두 a/s때문에 싱가폴에서 사시는 것이 더 낫습니 다. 무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는 하지만 그래도 고쳐는 줍니다.  ㅋㅋㅋ 취업비자는 현지에서 신청하는건가요?  -   님이 걱정하실 문제는 아닙니다. 회사에서 알아서 해주는 문제이고 관련 서류만 잘 챙겨가면 될것같네요. 현지에서의 교통비는 얼마나되나요?  -  쓰는 만큼 나옵니다.  ㅋㅋ   거리에 따라 요금이 차등 적용되기 때문에 뭐라 말씀드리기가 ... 다만 날씨가 더워서 택시를 자주 탄다는 것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지하철과 버스만 타신다면 부담될 수준은 아닙니다. 대충 이정도면 답변이 되려나 모르겠네요. 1년동안 즐겁게 지내다 오세요.       

  • A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음.. 첫번째 질문이신.. 노트북이랑 디지털 카메라 가격은 한국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실제로는 조금 더 저렴하며.. (만약.. 흥정을 잘 하신다면요.. 로컬 친구와 같이 구입하시길 권장합니다.. 정찰제가 아닌 심림 센터 같은 곳에선 싸게 살수도 있지만 외국인은 바가지를 쓸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리고 한국어 설명서 혹은 작동 버전이 아닌 영문 버전의 기능을 따로 익히셔야 하는 번거로움과 A/S문제가 있을시 국제 보증이 되지 않는 경우 반드시 싱가폴 내에서 수리를 하셔야 하는 점이 있습니다. 참고 하시구요.  개인적으로는 이곳에서 사셔도 별 문제 없습니다.. 여유가 되실때 그리고 꼭 필요하실때 사시는 것이 좋을것 같구요.. 두번째 질문 .. 한 1년 정도 사신다고 하시니.. 우선 현재에서 묵으실 방 문제가 해결이 된 상태시라면 거의 모든 생활 용품은 이곳에서도 한국과 같이 구입 가능하구요.. 간단한 개인 용품만 챙겨 오셔도 무방할것 같습니다. 혹은 한국촌에 나와있는  싱가폴 입국시 챙겨야 할 사항들을 꼼꼼하게 확인 하셔서 오신다면 도움이 되겠죠.. 영어 사전 (한영, 영한) 혹은 개인이 꼬~옥 필요한 물건들은 가지고 오시길.. 혹시 숙소가 해결이 안 된 상태에서는 한국촌 벼룩 시장에 보면 많은 분들이 콘도나 HDB에 방을 세 놓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한달 500-600불 (싱달러) 정도 보시면 되구요 (전기,수도 포함). 이것은 싱가폴 입국전에 주인과 이야기가 되어 있어야 되지 싶네여.. 그리고 셋째.. 싱가폴 에어라인에서 어떤 일을 하시게 되는 건가요 ? 취업을 어 떤 방식으로 하게 되셨는지 궁금하구요.. 보통 싱가폴 에어라인에서 채용 하게 된 경우 회사에서 EP 문제를 전담해서 처리해 주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것이 아닐경우는 현지에 들어올때 Social visa (보통 3개월 정도)를 받게 되므로 그 사이에 처리하시면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회사에 꼭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교통비는 싱가폴에서는 크게 교통수단이 버스. 택시, 그리고 전철(MRT)를 이용 많이 합니다. 버스와 전철은 한국의 교통 카드와 동일하게 (E-Z link) 카드를 사용하구요.. 보통 거리에 따라 다르게 요금을 책정합니다. 한국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크게 부담 가지실 필요는 없구요. 택시요금도 저렴하다고 개인적으론 생각하고 ..(바가지, 합승 없음 ^^) 싱가폴 공항에 들어 오셔서 한국돈 한 10-20만원 정도는 싱가폴 달러로 바꾸어서 가지고 계신것이 좋습이다. 그럼 화이팅 하시길.. >안녕하세요? >내년 1월3일에 싱가폴 에어라인에서 커스터머 에이전트 인턴으로 일하게 된 >한국k대의 여대생입니다^^ >이렇게 든든한 홈페이지가 있어서 싱가폴에서도 안외로울거같네요~ >아..다름이 아니라;; > >얼마 안남았는데..짐을 쌓아야하는데 뭘 어떻게 챙겨야 할지 몰라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상세한 답변 부탁드릴께요(__) > >1. 저는 노트북을 사고싶은데..한국에서는 살 형편이 안되어서 싱가폴 인턴을 하면서 돈 벌면서 현지에서 노트북을 사려고하는데..노트북이랑 디지털 카메라의 가격은 얼마정되 되나요? > >2. 싱가폴에서 앞으로 1년이나 지내게 될텐데...가장 중요한 물건이 무엇인가요? 그러니깐...꼭 챙겨가야하는 물건이 어떤게 있는지 조언 부탁드려요^^ > >3. 취업비자는 현지에서 신청하는건가요? > >4. 현지에서의 교통비는 얼마나되나요? > >아..;; >한꺼번에 질문이 너무 많네요^^; >질문 답 부탁드립니다~ >나중에 싱가폴에서 뵈요^-^)/     

  • A

    >안녕하세요? >내년 1월3일에 싱가폴 에어라인에서 커스터머 에이전트 인턴으로 일하게 된 >한국k대의 여대생입니다^^ >이렇게 든든한 홈페이지가 있어서 싱가폴에서도 안외로울거같네요~ >아..다름이 아니라;; > >얼마 안남았는데..짐을 쌓아야하는데 뭘 어떻게 챙겨야 할지 몰라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상세한 답변 부탁드릴께요(__) > >1. 저는 노트북을 사고싶은데..한국에서는 살 형편이 안되어서 싱가폴 인턴을 하면서 돈 벌면서 현지에서 노트북을 사려고하는데..노트북이랑 디지털 카메라의 가격은 얼마정되 되나요? > >2. 싱가폴에서 앞으로 1년이나 지내게 될텐데...가장 중요한 물건이 무엇인가요? 그러니깐...꼭 챙겨가야하는 물건이 어떤게 있는지 조언 부탁드려요^^ > >3. 취업비자는 현지에서 신청하는건가요? > >4. 현지에서의 교통비는 얼마나되나요? > >아..;; >한꺼번에 질문이 너무 많네요^^; >질문 답 부탁드립니다~ >나중에 싱가폴에서 뵈요^-^)/ 방은 얻으셨나요?  연락처 좀 알려주세요^^     

Q

NO.26

기타집 계약시 에어컨 유지 보수비에 대해서..(급한 질문입…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초보맘(pretty69) 2005-11-11
추천수 : 5 조회수 : 1,302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

  • A

    저는 3800이 나으지 않을까싶습니다...왠만한 에어콘 고장잘안나죠....3개월에 한번식 서비스 받으라고는 하나 그러는 사람없을겁니다.  한달에 100불씩 아끼면 1년에 1200불 남는데...그걸로 고장나면 고치는게.....물론 에어콘 상태확인하세요....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면 3900불에 에어컨 유지 보수비를 집주인이 부담하든지 두가지 중에 선택하라고 하는데요.... >어떤쪽이 좋을지 몰라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회사에서 집 렌탈 보조금은 3800이 상한선이라고 했다고 합니다...(물론 처음에는 3500불이었는데 집 구하다 보니 조금 올라가더군요^^.. 근데 같은 회사에 다른분은 3500불이라고 처음에 그랬다가 4000불짜리 집을 구해서 그냥 회사에서 모두 지불하고 있다고 살짝 얘기하네요...) >남편은 회사에 다시 금액을 얘기해본다고 하지만 아마 3800불 이상은 안될것 같다고.... >어찌됐든... 지금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문제인데요... 3개월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는데 에이전트 말로는 300불정도...즉 한달에 100불 정도 들어간다고 하네요... >보통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얼마정도 드나요??? >그리고 100불 더주고 집주인에게 모두 책임지라고 하는게 편한가요... 아니면 저희가 돈내고 유지보수하는게 편한가요???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도움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A

    그냥 참고하시라고 저희집 경우를 말씀드리겟습니다. 2년전 새로 지은 아파트로 이사를 해서 정확히 2년째 살고 있습니다. 지금 저희 부담으로 에어컨 정기 점검(청소)를 받고 있는데, 1년에 4번 점검하는 걸로 1년 비용이 $320입니다. (총 5대입니다. ;; 물론 처음에는 기본적인 에어컨 A/S기간에 무료 점검및 청소를 받았구요.) 그러던중 6개월전에(입주1년반만에) 에어컨 하나가 고장이 나서 $100 주고 수리받았습니다. 새거지만 더운나라라서 사용을 많이 하다보니 문제가 일어나긴 하더군요. 그러니까 지난 1년간 $420을 쓴 셈이네요. 참고가 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면 3900불에 에어컨 유지 보수비를 집주인이 부담하든지 두가지 중에 선택하라고 하는데요.... >어떤쪽이 좋을지 몰라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회사에서 집 렌탈 보조금은 3800이 상한선이라고 했다고 합니다...(물론 처음에는 3500불이었는데 집 구하다 보니 조금 올라가더군요^^.. 근데 같은 회사에 다른분은 3500불이라고 처음에 그랬다가 4000불짜리 집을 구해서 그냥 회사에서 모두 지불하고 있다고 살짝 얘기하네요...) >남편은 회사에 다시 금액을 얘기해본다고 하지만 아마 3800불 이상은 안될것 같다고.... >어찌됐든... 지금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문제인데요... 3개월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는데 에이전트 말로는 300불정도...즉 한달에 100불 정도 들어간다고 하네요... >보통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얼마정도 드나요??? >그리고 100불 더주고 집주인에게 모두 책임지라고 하는게 편한가요... 아니면 저희가 돈내고 유지보수하는게 편한가요???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도움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A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려도 되나요?? 저희가 들어갈려로 하는 집은 작년에 지은 콘도이구요...1년정도 됐다고 하네요... 에이전트 말로는 3개월에 한번씩 점검해서 점검시마다 300불 정도라고 하던데요...그러면 일년에 1200불정도... 추상화님은 1년에 4번점검에 1년 비용이 320불이란 건가요? (5대 모두 점검하는데두요?) 그러면 가격차가 많이 나서요^^ 추상화님처럼 1년에 그정도만 든다면 굳이 매달 100불을 추가 부담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도 드네요^^ 혹시 점검받는데를 소개해주실수도 있으신가요?? 답변 부탁드릴께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그냥 참고하시라고 저희집 경우를 말씀드리겟습니다. > >2년전 새로 지은 아파트로 이사를 해서 정확히 2년째 살고 있습니다. >지금 저희 부담으로 에어컨 정기 점검(청소)를 받고 있는데, 1년에 4번 점검하는 걸로 1년 비용이 $320입니다. (총 5대입니다. ;; 물론 처음에는 기본적인 에어컨 A/S기간에 무료 점검및 청소를 받았구요.) >그러던중 6개월전에(입주1년반만에) 에어컨 하나가 고장이 나서 $100 주고 수리받았습니다. 새거지만 더운나라라서 사용을 많이 하다보니 문제가 일어나긴 하더군요. >그러니까 지난 1년간 $420을 쓴 셈이네요. >참고가 되시기 바랍니다.... >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면 3900불에 에어컨 유지 보수비를 집주인이 부담하든지 두가지 중에 선택하라고 하는데요.... >>어떤쪽이 좋을지 몰라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회사에서 집 렌탈 보조금은 3800이 상한선이라고 했다고 합니다...(물론 처음에는 3500불이었는데 집 구하다 보니 조금 올라가더군요^^.. 근데 같은 회사에 다른분은 3500불이라고 처음에 그랬다가 4000불짜리 집을 구해서 그냥 회사에서 모두 지불하고 있다고 살짝 얘기하네요...) >>남편은 회사에 다시 금액을 얘기해본다고 하지만 아마 3800불 이상은 안될것 같다고.... >>어찌됐든... 지금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문제인데요... 3개월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는데 에이전트 말로는 300불정도...즉 한달에 100불 정도 들어간다고 하네요... >>보통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얼마정도 드나요??? >>그리고 100불 더주고 집주인에게 모두 책임지라고 하는게 편한가요... 아니면 저희가 돈내고 유지보수하는게 편한가요???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도움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Q

NO.24

기타콘도 계약연장시에 에이전트 비용이 없답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click(jerry72) 2005-07-27
추천수 : 4 조회수 : 1,244

예전에 이 곳 글 중에서 콘도를 연장할 때도 에이전트 비용을 낸다고 본거 같은데... 에이전트들 수익이라고..(잘못 봤는지는 모르겠지만..지금 기억으로는..^^) 이번에 계약연장을 위해서 알아보다가, 회사 동료(서양인)한테 물어봤더니 자신의 에이전트를 통해서 알려주더…

  • A

    정말 그런가요?? 연장시 돈 안내나요?? 아닐텐데....저희 회사분들은 모두 계약 연장시 에이젼트피(브로커피)를 내거든요...만약 1년 계약일경우 브로커한테 한달치 집세의 반을 내고 계약을 하고 1년뒤 연장시 또 똑같이 돈을 냈거든요..만약 2년 계약의 경우는 한달치 집세에 해당하는 브로커피를 내고 똑같이 2년뒤 또다시 연장을 원할시 1년을 할경우 반을, 2년일경우 한달치 집세에 해당하는 브로커피를 ...이렇게 했었는데 아닌가요?? 흠....저도 그랬거든요.....암튼 어떤게 맞는건지...헷갈리네요.. > >예전에 이 곳 글 중에서 콘도를 연장할 때도 에이전트 비용을 낸다고 본거 같은데... 에이전트들 수익이라고..(잘못 봤는지는 모르겠지만..지금 기억으로는..^^) > >이번에 계약연장을 위해서 알아보다가, 회사 동료(서양인)한테 물어봤더니 >자신의 에이전트를 통해서 알려주더라구요. 단순히 계약연장인 경우에는 에이전트비용을 내지 않고, 다만 계약갱신을 위해 문서에 대한 stampduty(이게 맞나요?) 비용은 지불합니다. 이건 법적 유효성을 위한 비용일겁니다. 대략 60 달러정도. >단, 이 경우 처음 집을 빌리기 위해 연락했던 제쪽의 에이전트한테 연락한 것은 아니라서, 자신의 에이전트를 연락하는 경우에는 달라지는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경우에도 에이전트비용은 내지 않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왜냐하면, 계약 연장의 경우는 에이전트의 주된 업무(집 찾아 소개, 구경시켜 주는 - 소비자 입장에서 본 주된 업무임)의 노력이 없으니까요... > >그래서 계약연장을 위해 저는 집주인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서(이메일이 아닌 편지) 연장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알리면서 금액등의 계약조건 변경은 언급하지 않고, 연장을 고려하면서 지금까지 살면서 불편한 부분들을 개선해 줄수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제 경우 침대 매트리스 교체(들어올때부터 너무 안 좋아서 에이전트한테 이야기 했는데, 안된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그 에이전트가 정말 집주인한테 이야기를 했는지 의심중..-_-;), 집안 등불을 백열등에서 좀 더 환한 에너지 절약 등불로 교체(형광등 말고 둥근 것) 등을 이야기 했는데, 집주인이 좋아서인지, 계약연장의 가치에 비해 타당해서 인지 두가지 모두 해 주겠다고 하고는 집주인의 에이전트가 연락할 거라고 하더군요. >아직 연장계약에 서명을 하지는 않았지만(에이전트가 서류 준비중), 조만간 하게될거 같습니다. > >하도 알아볼 곳이 없어서, 직장 동료들 콘도에 사는 외국인들한테 의견을 물어봐도, 계약연장에 비용 나가는건 상식적인 선에서 아니라는 의견이더라구요. > >혹 잘못 아시고 비용 치루시는 분 없으시길... >그리고 잘못된 부분 있으면 리플로 수정해주세요..^^ >     

  • A

    맞는 말씀인데요. 이전 계약한 에이전트에게 연락하여 계약연장을 하면 에이전트비용을 내야합니다. 그냥 집주인이랑 얘기해서 연장하는 경우는 집주인쪽 에이전트가 stamp등을 그냥 무상으로 해주지요. 그래도 집주인은 집주인 에이전트에게 복비를 줘야합니다. 물론 계약조건이 전혀 바뀌지 않으면, 처음 계약시 1+1, 2+1등 계약조건에 따라 연장되는 1년에 대해서는 자신이 계약한 에이전트에게 연락해도 복비가 없겠지요. 조건이 변경되면 복비 줘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전 에이전트에 분명히 더이상의 서비스가 필요없다. 나는 집주인이랑 그냥 직접얘기하겠다. 자네도움 필요없다. 등등과 같이 분명히 서비스종료사실을 통보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지 않으면, 소송을 당하기도 한다고 하더군요. > >예전에 이 곳 글 중에서 콘도를 연장할 때도 에이전트 비용을 낸다고 본거 같은데... 에이전트들 수익이라고..(잘못 봤는지는 모르겠지만..지금 기억으로는..^^) > >이번에 계약연장을 위해서 알아보다가, 회사 동료(서양인)한테 물어봤더니 >자신의 에이전트를 통해서 알려주더라구요. 단순히 계약연장인 경우에는 에이전트비용을 내지 않고, 다만 계약갱신을 위해 문서에 대한 stampduty(이게 맞나요?) 비용은 지불합니다. 이건 법적 유효성을 위한 비용일겁니다. 대략 60 달러정도. >단, 이 경우 처음 집을 빌리기 위해 연락했던 제쪽의 에이전트한테 연락한 것은 아니라서, 자신의 에이전트를 연락하는 경우에는 달라지는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경우에도 에이전트비용은 내지 않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왜냐하면, 계약 연장의 경우는 에이전트의 주된 업무(집 찾아 소개, 구경시켜 주는 - 소비자 입장에서 본 주된 업무임)의 노력이 없으니까요... > >그래서 계약연장을 위해 저는 집주인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서(이메일이 아닌 편지) 연장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알리면서 금액등의 계약조건 변경은 언급하지 않고, 연장을 고려하면서 지금까지 살면서 불편한 부분들을 개선해 줄수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제 경우 침대 매트리스 교체(들어올때부터 너무 안 좋아서 에이전트한테 이야기 했는데, 안된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그 에이전트가 정말 집주인한테 이야기를 했는지 의심중..-_-;), 집안 등불을 백열등에서 좀 더 환한 에너지 절약 등불로 교체(형광등 말고 둥근 것) 등을 이야기 했는데, 집주인이 좋아서인지, 계약연장의 가치에 비해 타당해서 인지 두가지 모두 해 주겠다고 하고는 집주인의 에이전트가 연락할 거라고 하더군요. >아직 연장계약에 서명을 하지는 않았지만(에이전트가 서류 준비중), 조만간 하게될거 같습니다. > >하도 알아볼 곳이 없어서, 직장 동료들 콘도에 사는 외국인들한테 의견을 물어봐도, 계약연장에 비용 나가는건 상식적인 선에서 아니라는 의견이더라구요. > >혹 잘못 아시고 비용 치루시는 분 없으시길... >그리고 잘못된 부분 있으면 리플로 수정해주세요..^^ >     

Q

NO.21

기타콘도 렌트계약에 대해서 궁금한 것 답변 부탁드립니다. …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즐겁게살자(medikor) 2005-05-28
추천수 : 24 조회수 : 1,527

안녕하세요. 곧 싱가폴에서 직장생활을 하게 되어 6월 중순에 올 예정인 사람입니다. 1) 이곳 SingaporePropertyListing.com 이란 곳에 있는 Wong Say Min 이라는 에이전트에게 콘도를 구해 줄 것을 부탁했는데 2년 계약을 해야 구하기 쉽다…

  • A

    > >1) 이곳 SingaporePropertyListing.com 이란 곳에 있는 Wong Say Min 이라는 에이전트에게 콘도를 구해 줄 것을 부탁했는데 2년 계약을 해야 구하기 쉽다고 하는데  렌트기간 및 ***사실이지만 꼭그럴필요는 없습니다. diplomatic clause(중간에 나갈 경우 대비하여 넣는 조항)는 어떻게 넣는 것이 현지 관습인지 알고 싶습니다. 대부분 2년 계약일 경우에 집여넣는 조항인데..일년일경우에도 가능합니다. ***회사에서 다른곳으로 발령이나거나, 퇴사 또는 비자에 문제가 생겨서 더이상 싱가폴에 있을수 없을경우 한달정도 기간을두고  notice를 주면 보증금을 되찾을수 있는 조항입니다. >2) 저는 월 $150하 콘도로 구하려고 하는데 이 경우 에이전트 fee를 제가 100% 부담해야 하는지요? (에이전트는 100% tenant 부담이라고 하거든요. 제가 알기론 반-반인 듯 싶은데요) ****일년계약일경우 반달치 2년 한달치. > >3) Security deposit을 꼭 1년에 한달치, 2년 계약에 두달치를 내는 것이 관습인지, 아니면 1달치 정도로 조정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1년한달 2년 2달이 관행입니다. > >4) 저는 직장에서 가까운 Juron East쪽의 east-west MRT line상의 Chinese garden역이나 Lakeside MRT역 가까운 방2개 짜리 콘도를 구하려고 하는데 $1500/month 정도 예산이면 적정한지 (에이전트는 충분하다고 하는데 시세를 전혀 모르니까요) 알고 싶습니다. ***충분합니다. >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 A

    답변 감사드립니다.     

Q

NO.20

기타콘도 랜트에 대해 도움 부탁드립니다.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필(cheer) 2005-04-26
추천수 : 35 조회수 : 1,505

안녕하세요. 5월 중순에 싱가폴에 가게 되어 집 구하는것에 대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5월 중순 부터 8월 중순 까지 약 3개월간 머무를 예정입니다. 이처럼 단기간 머무르는데 콘도가 가장 적합한 주거 형태 인지요? 게시판에 보면 단기간 렌트하는 경우엔 "서비스 아파트"…

  • A

    우선 서비스 아파트는 청소해주는 사람이 있어서 하루에 한번 오후에 청소 다해줍니다. 대신 가격이 많이 비쌉니다..저같은 경우 리버밸리에 있었는데 한달에 방 두개짜리 였는데 3500불 넘었던걸로 기억합니다....콘도랑 똑같은데 청소해주고 아침은 부페식으로 나왔습니다.. 콘도를 얻기에 주롱쪽이면 방 두개에 1500선에선 충분히 구할수 있을꺼라 생각되구요...콘도 렌트를 하려면 꼭 ep가 있어야 합니다. 글고 여기선 거의 에이젼트 통해서 집 계약 하고 있구요.... >안녕하세요. >5월 중순에 싱가폴에 가게 되어 집 구하는것에 대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 >5월 중순 부터 8월 중순 까지 약 3개월간 머무를 예정입니다. >이처럼 단기간 머무르는데 콘도가 가장 적합한 주거 형태 인지요? >게시판에 보면 단기간 렌트하는 경우엔 "서비스 아파트"를 추천하신 글도 보았습니다. 서비스 아파트는 콘도와 어떻게 다른지요? > >직장은 주롱근처 입니다. >주롱 부근이나 주롱역에서 그다지 멀지않는 MRT역 주변의 깨끗한 콘도 추천부탁드립니다. >저희는 부부만 살것이기 때문에 studio 혹은 2 bad로 1,000~1,500불 정도를 예산으로 잡고 있습니다. > >EP비자를 신청하는 중입니다. >EP비자가 있어야만 렌트를 할 수 있는지요? > >싱가폴에 도착해서 곧 남편이 직장에 나가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도착하기 전에 렌트를 하려고 하였으나, >게시판의 여러분들의 글에서 직접 와서 보고 결정하라는 말씀에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가서 몇일 호텔에 묵으면서 렌트를 알아보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까요? >만약, 싱가폴에 가기 전에 렌트를 구한다면 에이전트에게 의뢰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지요? > >집 구하는것이 너무 막막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A

    단기간 집을 렌트하기엔 힘드실거고, ep가 나오기 전에 만약 집을 얻을수가 없다면 하숙이나 민박을 하셔도 좋을듯 싶네요... 하숙이나 민박 모두 빨래 청소와 식사까지 다 제공되니 오히려 서비스아파트보다는 나을듯 하네요... 비용면에서..... 단 생활상엔 다른가족과 같이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르지만 그거야 괜찮다고 생각하신다면 그것도 고려해 보심이 괜찮을듯..... 도움이 됐나 모르겠네요... 입싱을 축하합니다.... >안녕하세요. >5월 중순에 싱가폴에 가게 되어 집 구하는것에 대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 >5월 중순 부터 8월 중순 까지 약 3개월간 머무를 예정입니다. >이처럼 단기간 머무르는데 콘도가 가장 적합한 주거 형태 인지요? >게시판에 보면 단기간 렌트하는 경우엔 "서비스 아파트"를 추천하신 글도 보았습니다. 서비스 아파트는 콘도와 어떻게 다른지요? > >직장은 주롱근처 입니다. >주롱 부근이나 주롱역에서 그다지 멀지않는 MRT역 주변의 깨끗한 콘도 추천부탁드립니다. >저희는 부부만 살것이기 때문에 studio 혹은 2 bad로 1,000~1,500불 정도를 예산으로 잡고 있습니다. > >EP비자를 신청하는 중입니다. >EP비자가 있어야만 렌트를 할 수 있는지요? > >싱가폴에 도착해서 곧 남편이 직장에 나가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도착하기 전에 렌트를 하려고 하였으나, >게시판의 여러분들의 글에서 직접 와서 보고 결정하라는 말씀에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가서 몇일 호텔에 묵으면서 렌트를 알아보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까요? >만약, 싱가폴에 가기 전에 렌트를 구한다면 에이전트에게 의뢰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지요? > >집 구하는것이 너무 막막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A

    >안녕하세요. >5월 중순에 싱가폴에 가게 되어 집 구하는것에 대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 >5월 중순 부터 8월 중순 까지 약 3개월간 머무를 예정입니다. >이처럼 단기간 머무르는데 콘도가 가장 적합한 주거 형태 인지요? >게시판에 보면 단기간 렌트하는 경우엔 "서비스 아파트"를 추천하신 글도 보았습니다. 서비스 아파트는 콘도와 어떻게 다른지요? > >직장은 주롱근처 입니다. >주롱 부근이나 주롱역에서 그다지 멀지않는 MRT역 주변의 깨끗한 콘도 추천부탁드립니다. >저희는 부부만 살것이기 때문에 studio 혹은 2 bad로 1,000~1,500불 정도를 예산으로 잡고 있습니다. > >EP비자를 신청하는 중입니다. >EP비자가 있어야만 렌트를 할 수 있는지요? > >싱가폴에 도착해서 곧 남편이 직장에 나가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기 때문에 >도착하기 전에 렌트를 하려고 하였으나, >게시판의 여러분들의 글에서 직접 와서 보고 결정하라는 말씀에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가서 몇일 호텔에 묵으면서 렌트를 알아보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까요? >만약, 싱가폴에 가기 전에 렌트를 구한다면 에이전트에게 의뢰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지요? > >집 구하는것이 너무 막막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6월 3일에서 8월11일 기타절충 메일주세요. cjjoo0730@hanmail.net     

Q

NO.15

기타한국촌님 감사합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샘터(obzee24) 2004-12-16
추천수 : 21 조회수 : 984

부동산 에이전트에 대한 정보 정말 감사드려요. 귀중한 정보가 될 것 같습니다. 한 가지 더 여쭤 볼게요. 싱가폴에 도착하자 마자 핸드폰을 마련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되는지요? 단말기 구입과 신청 그리고 요금 납부 등 전체과정을 좀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중고폰을…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도움이 되신다니 참 기분이 좋습니다. 어떤 형태로 싱가폴에 거주하실지는 잘 모르겠지만 외국인으로써 핸드폰을 신청하려면 고용비자 또는 영주권이 필요하구요, 고용비자의 경우에도 보증금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학생신분이시거나 급하게 필요하신 경우이시면 전화기(중고 전화기만 따로 판매하는 곳이 많이 있으니 둘러 보시면 됩니다...)를 구입하신 후 선불카드를 구입하시면 바로 사용이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람있는 싱가폴 생활 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부동산 에이전트에 대한 정보 정말 감사드려요. >귀중한 정보가 될 것 같습니다. >한 가지 더 여쭤 볼게요. >싱가폴에 도착하자 마자 핸드폰을 마련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되는지요? >단말기 구입과 신청 그리고 요금 납부 등 전체과정을 좀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중고폰을 구입하는 방법도 알고 싶네요. >바쁘시더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갑자기 싱가폴로 옮기게 되서 이것 저것 궁금한게 너무 많네요. >그럼.....     

Q

NO.13

기타메이드 에이젼트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wanna be(jhy119) 2004-10-07
추천수 : 6 조회수 : 1,305

메이드를 구하려구 하는데요, 한국가족분들곁에 있었던 메이드를 소개받는건 너무 힘들것 같네요. 그래서 욕심을 버리구 에이전트를 통해서 구하려구 하는데 이젠 에이젼트가 너무 많아서 어떤 에이젼트를 선택해야할 지 고민입니다. 어떤분께서 부켓티마에 warren이라는 에이젼트를…

  • A

    >메이드를 구하려구 하는데요, 한국가족분들곁에 있었던 메이드를 소개받는건 너무 힘들것 같네요. 그래서 욕심을 버리구 에이전트를 통해서 구하려구 하는데 이젠 에이젼트가 너무 많아서 어떤 에이젼트를 선택해야할 지 고민입니다. >어떤분께서 부켓티마에 warren이라는 에이젼트를 추천해 주셨는데 전화번호가 등록이 안되어있는지 없다구 하네요. >출산은 다가오구 아기걱정 메이드 걱정 말이 아닙니다. >선배님들은 어디서 메이드를 구하셨나요? >어느 에이젼트가 좋은지 추천좀 해주세요!! > >꼭요!!! > 예 주로 부킷티마 플라자에 있는 메이드들이 교육이 잘된 편이더라구요.굉장히 엄격하게 교육을 받은편이구요.넘 심하게 받아 그쪽으로 가기조차 싫어하더라구요.부켓티마 프라자2층9호 maid management services 이고 메니저 페시아를 찿으세요.한국사람이 소개했다고 하시면 될겁니다.저도아기가 있는 집인데 큰 에이젼트에서 데려온아이 실패한 경험이 있거든요. 이것저것 요모조모 따져보시고 잘 선택하시기 바랍니다.전화번호는 6466-6136 입니다.제가 언니(가정부)때문에 고생한거 생각하면 그심정 압니다     

Q

NO.12

기타콘도 렌탈 계약시 비용..이게 맞나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click(jerry72) 2004-09-15
추천수 : 10 조회수 : 1,364

안녕하세요. 콘도뿐 아니라 방 렌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는데, 만약 월세가 1500 이라면 1년 계약시, 월세 1500, 디포짓 1500(한달치) 그리고 에이전트 비용이 1500 이 나가는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에이전트 비용은 주인과 반반으로 나누어서 750 이 나가는…

  • A

    모든 계약은 당사자 간의 약속이라는 취지에서 보면, 만일 부동산 중개업자가 1년 계약에 한달치 수수료를 달라고 했을 경우에는 처음부터 못주겠다고 해서 계약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제 경우에도 좋은 조건으로 계약하기 위해서 1500불 1년 계약에 1000불을 에이전트 비용으로 지급한 일이 있었지요.... 마찬가지로 Diplomatic Clause도 주인이 반대하면 못넣지요... 처음부터 부동산 업자에게 얘기하기 보다는, 계약 단계에 가서, 계약서를 갖고 만나자고 할때, 혹, 내가 EP나 비자에 문제가 있어서, 싱가폴을 떠나야 할 경우에는 어떻게 하냐고 얘기하면 대부분의 agent가 친절하게 넣어줍니다. 올해초부터 3번 계약하면서 3번 다 diplomatic clause는 집어넣었거든요... 근데, 얘기 안하면, 절대로 집어넣어 주지 않지요... 일반적인 사항입니다. 1년 계약이면 Agent 비용은 반달치만 내면 되구요(주인쪽은 신경쓰지 마시길...) 1년 계약이면, 6개월 살고 난 뒤에, 1개월 전에 노티스하면 계약 해지 가능합니다. 만일 agent가 모르는 척하면, 다음 문구를 한번 고려해보세요.. The tenant is entitled to preterminate the tenancy by giving at least one months written notice if the tenant is transferred out of Singapore permanently by his organization or cease to be employed by the tenant. or Notwithstanding anything herein contained the said term may at any time after the expiration of the first six months of the said term be determined on documentary evidence that the main occupant Mr. ....... has ceased or is about to cease to be employed in Singapore and is to be posted out of Singapore permanently during the said term and the Tenant gives to the Landlord one(two) calendar months notice in writing of the Tenants intention to determine the tenancy of one(two) months rent and hiring in lieu of such notice. > >안녕하세요. >콘도뿐 아니라 방 렌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는데, >만약 월세가 1500 이라면 >1년 계약시, 월세 1500, 디포짓 1500(한달치) 그리고 에이전트 비용이 1500 이 나가는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에이전트 비용은 주인과 반반으로 나누어서 750 이 나가는게 맞는 것인가요? > >계약 해지시 2달 노티스가 맞나요? 한달 노티스가 맞나요? >전에 정부아파트서 살았을때, 한달 노티스였던거로 기억하거든요. > >그리고, 비자문제시 계약기간 이전에라도 해지할 수 있다는 문구를 넣으라는 조언이 있는데, 이때에도 노티스 기간은 지켜야 하는건가요? 아님 노티스 없이도 해지 가능하다는 내용의 문구를 넣어야 하는 것인가요? > >콘도로 검색해서 꽤 많은 글을 읽어봤는데도 헷갈리네요..^^; > >아시는 분 도움 부탁드립니다...그럼..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