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기타
  • 핸드폰이 고장났어요.
  • 핸드폰 (k5177)
  • 질문 : 12건
  • 질문마감률 : 0%
  • 2005-06-29 22:49
  • 답글 : 2
  • 댓글 : 0
  • 1,100
  • 14
내년 1월까지 계약기간인데 액정이 고장났습니다. (스타허브) 이럴경우 액정을 고치는 비용이 쌀까요? 아니면 중고핸드폰을 구해서 번호를 바꿔 넣을 수 있나요?     
  • [답변]
  • [re] 핸드폰이 고장났어요.
  • 싱가폴 (bcic96)
  • 답변 : 42건
  • 답변채택률 : 0%
  • 2005-06-30 11:19
중고핸드폰을 구하시는게 쌀 거 같네요. 핸드폰 뒷면(배터리 있는 곳) 열면 SIM Card가 있습니다. 그거만 빼서 다른 핸드폰에 끼우면 어느 핸드폰이든 쓸수 있습니다. 심플한 중고핸드폰이면 100불이하면 충분할 거 같네요. 고치는 비용은 스타허브 하고 관계 없구요,  가지고 계신 핸드폰 업체 서비스센터(노키아, 삼성, LG등)에 문의해 보시지요. 액정고장이면 최소 100불이상은 들 거 같네요. 아마 고치는 기간도 1-2주 정도 들겠지요. >내년 1월까지 계약기간인데 액정이 고장났습니다. (스타허브) >이럴경우 액정을 고치는 비용이 쌀까요? >아니면 중고핸드폰을 구해서 번호를 바꿔 넣을 수 있나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답변 감사합니다.
  • 핸드폰 (k5177)
  • 답변 : 8건
  • 답변채택률 : 0%
  • 2005-06-30 14:18
중고핸드폰을 구해야겠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37

기타[ 싱텔에서 스타허브로 바꿀려고 하는데 궁금한게 있어서…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도움이(kk2517) 2006-02-08
추천수 : 7 조회수 : 1,194

싱텔에서 2년만기 계약으로 전화와 인터넷 계약을 2004년 1월27일에 해서 이제 만 2년이 지나서 해약을 하고 스타허브로 인터넷을 바꾸어 인터넷 + 유료케이블 T.V로 바꿀려고 합니다. 1. 싱텔에 연락을 했더니 해지 하는데 한 달 걸린다고 연락이 왔어요    그…

  • A

    1. 예 2. 아마 첫달 무료 인가 있을겁니다 3. 신청 다음날 4. 저도 잘 모르겠음 5. http://www.starhub.com/online/maxonline/priceplan.html 6. 공유기를 사셔야됩니다. 아마 스타허브 프로모션중에 공유기를 주는것도 있을겁니다.. 문의 해보세여... >싱텔에서 2년만기 계약으로 전화와 인터넷을 계약을 2004년 1월27일에 해서 >만 2년이 지나서 해약을 하고 스타허브로 인터넷을 바꾸어 인터넷 + 유료케이블 T.V >로 바꿀려고 합니다. > >1. 싱텔에 연락을 했더니 해지 하는데 한 달 걸린다고 연락이 왔어요 >   그래서 3월2일 까지는 싫어도 사용을 하라는데 맞는 말인지요? > >2. 스타허브로 인터넷 + 유료케이블 T.V 로 바꿀려는데 요즘 프로모션 하는게 >    있는지요? > >3. 신청을 하면 얼마나 걸리는지요? > >4.  인터넷만 스타허브로 바꾸면 싱텔 전화도 자동으로 끊기나요? >    아님 전화만 쓰면 되는지요? > >5. 스타허브 인터넷 종류가 어떤게 있는지 안내 해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 >6. 데스크탑컴과 노트북컴 두대가 있어서 아들과 각각 쓰는데 스타허브로 >    바꾸면서 두대 동시에 사용 하게 할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 >7. 잘 몰라 중복된 질문을 드려서 죄송 하구요 >   아시는 분이 계시면 각 각 이라도 답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A

    1. 좀 번거롭겠지만 싱텔에 전화해서, 문제가 있어 그러니     당장 해지 해달라고 하면 정상참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 컴과 싱텔 인터넷이 갑자기 문제가 있어 사용을 못했었는데     그래도 한달 뒤에 해지 해야 한다고 해서, 사용도 안 하는데     한달 사용료 내는 것은 부당하다고 어필 했더니 바로 해지 되었습니다. 4. 싱텔 인터넷과 전화는 별도 입니다.     인터넷 해지에도 전화 사용에는 이상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궁금하시면 싱텔에 문의해 보시지요.      Tel: 1609      Mon - Fri  : 8am - 8pm      Sat          : 8am - 6pm >1. 예 > >2. 아마 첫달 무료 인가 있을겁니다 > >3. 신청 다음날 > >4. 저도 잘 모르겠음 > >5. http://www.starhub.com/online/maxonline/priceplan.html > >6. 공유기를 사셔야됩니다. 아마 스타허브 프로모션중에 공유기를 주는것도 있을겁니다.. 문의 해보세여... > >>싱텔에서 2년만기 계약으로 전화와 인터넷을 계약을 2004년 1월27일에 해서 >>만 2년이 지나서 해약을 하고 스타허브로 인터넷을 바꾸어 인터넷 + 유료케이블 T.V >>로 바꿀려고 합니다. >> >>1. 싱텔에 연락을 했더니 해지 하는데 한 달 걸린다고 연락이 왔어요 >>   그래서 3월2일 까지는 싫어도 사용을 하라는데 맞는 말인지요? >> >>2. 스타허브로 인터넷 + 유료케이블 T.V 로 바꿀려는데 요즘 프로모션 하는게 >>    있는지요? >> >>3. 신청을 하면 얼마나 걸리는지요? >> >>4.  인터넷만 스타허브로 바꾸면 싱텔 전화도 자동으로 끊기나요? >>    아님 전화만 쓰면 되는지요? >> >>5. 스타허브 인터넷 종류가 어떤게 있는지 안내 해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 >>6. 데스크탑컴과 노트북컴 두대가 있어서 아들과 각각 쓰는데 스타허브로 >>    바꾸면서 두대 동시에 사용 하게 할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 >>7. 잘 몰라 중복된 질문을 드려서 죄송 하구요 >>   아시는 분이 계시면 각 각 이라도 답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 A

    1. 계약규정을 찾아보시죠. 규정에 없다면 강하게 요구하세요. 2. 한동안 컴퓨터(데스크탑이나 노트북)를 주는 Promotion을 했었는데요. 확인해 보세요. 어차피 2년계약을 하실꺼라면 프로모션 없이 하시면 무지 손해입니다. 3. 신청하시면 방문일자와 시간을 정해줍니다. 4. 전화와 인터넷은 전혀 상관없습니다. 6. 두대 사용하시려면 공유기를 구입하셔야 합니다. 한동안 스타허브에서 공유기 주는 프로모션이 있었는데 지금은 없습니다. 별로 안비쌉니다. 유무선 공유기를 하시면 노트북 사용에 아주 편리합니다. 7. 참고로 싱텔과 스타허브는 사용방식이 달라서 스타허브 설치하시려면 별도의 모뎀을 새로 구입하셔야 합니다. >1. 예 > >2. 아마 첫달 무료 인가 있을겁니다 > >3. 신청 다음날 > >4. 저도 잘 모르겠음 > >5. http://www.starhub.com/online/maxonline/priceplan.html > >6. 공유기를 사셔야됩니다. 아마 스타허브 프로모션중에 공유기를 주는것도 있을겁니다.. 문의 해보세여... > >>싱텔에서 2년만기 계약으로 전화와 인터넷을 계약을 2004년 1월27일에 해서 >>만 2년이 지나서 해약을 하고 스타허브로 인터넷을 바꾸어 인터넷 + 유료케이블 T.V >>로 바꿀려고 합니다. >> >>1. 싱텔에 연락을 했더니 해지 하는데 한 달 걸린다고 연락이 왔어요 >>   그래서 3월2일 까지는 싫어도 사용을 하라는데 맞는 말인지요? >> >>2. 스타허브로 인터넷 + 유료케이블 T.V 로 바꿀려는데 요즘 프로모션 하는게 >>    있는지요? >> >>3. 신청을 하면 얼마나 걸리는지요? >> >>4.  인터넷만 스타허브로 바꾸면 싱텔 전화도 자동으로 끊기나요? >>    아님 전화만 쓰면 되는지요? >> >>5. 스타허브 인터넷 종류가 어떤게 있는지 안내 해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 >>6. 데스크탑컴과 노트북컴 두대가 있어서 아들과 각각 쓰는데 스타허브로 >>    바꾸면서 두대 동시에 사용 하게 할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 >>7. 잘 몰라 중복된 질문을 드려서 죄송 하구요 >>   아시는 분이 계시면 각 각 이라도 답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Q

NO.36

기타학교 알선 해주는 사람과 맺은 계약서가 법적으로 어느정…

  • 답글 : 5
  • 댓글 : 0
답변진행중
으뜸() 2006-01-18
추천수 : 4 조회수 : 1,157

학교 알선 해주는 사람과 맺은 계약서가 법적으로 어느정도의 효력이 있나요? 제가 알고 있는 분의 억울한 경우입니다. 여기온지 3주가 되었고 아들을 공립학교에 입학시키기 위해 대행사(아주 젊은 남자분)와 거래를 하면서 1500불을 선금으로 지불했구요 한국에서 오실때 영…

  • A

    >학교 알선 해주는 사람과 맺은 계약서가 법적으로 어느정도의 효력이 있나요? > >제가 알고 있는 분의 억울한 경우입니다. >여기온지 3주가 되었고 아들을 공립학교에 입학시키기 위해 대행사(아주 젊은 남자분)와 거래를 하면서 1500불을 선금으로 지불했구요 한국에서 오실때 영문서류를 준비하지를 못해서 대행사가 한국에다 빨리 연락해서 보내달라고 했답니다. >아직까지 서류가 준비되지 못했다는 이유로 단 하나의 학교에도 지원하지 않은 상태이고 (제가 알기로는 부모님과 아이 여권, 가디언 여권만 있어도 지원은 가능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저 역시 그랬구요) 그리고 대행사가 아직도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받아야 할 국민학교 4학년 어린이더러 방만 빌려서 지내게해도 문제없고 자기가 가디언(같이 지내지 않는)이 되어주겠다고 했답니다. 여기 실정을 잘 모르는 그분은 당연히 그래도 된다고 생각하시는것 같습니다. >아침 새벽에 일어나서 무거운 가방 짊어지고 가는 우리아이들을 볼때마다 가슴아픈데 영어 한마디 할줄 모르는 어린아이가 혼자 지내면서 교복 다려입고 밥챙겨먹고 한다는게 정말 가능한가요? 그리고 숙제는 누가 돌봐주나요 아님 제가 넘 과잉보호하고 있는건가요? 대행하는사람이 자기가 가끔 와서 돌봐주겠다고 했다는데? 얼마나 자주요? 아프면 하루종일 아이 간호해 줄수있나요? >그리고 학교입학 허가가 결정나면 돈을 지불하는것 아닌가요? >물론 언제가는 학교를 찾아주겠죠 몇달뒤? 일년뒤? >그러면 아이 혼자 무얼하며 지내게 해야하나요. >한국으로 돌아가시면서  그분이  아무것도 성사시키지 못해 거래를 끓기로 한 이유로 1500불을 양심적으로 돌려받을수 없나해서 글을 올립니다. >법적으로 정말 되돌려 받을수는 없는걸까요? >물론 돈을 주고받고 하는 거래지만 제발 아무것도 모르는분들을 괴롭히지 마세요 그 젊은 남자분 > >     

  • A

    ****그리고 대행사가 아직도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받아야 할 국민학교 4학년 어린이더러 방만 빌려서 지내게해도 문제없고 자기가 가디언(같이 지내지 않는)이 되어주겠다고 했답니다. 여기 실정을 잘 모르는 그분은 당연히 그래도 된다고 생각하시는것 같습니다.*** 이 부분을 읽고 욕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무식 버젼으로 나가겠습니다... 그 아이의 어머니는 등신입니까? 아님 계모입니까? 아이 버릴려고 유학 보냅니까? 그 비싼 돈들여서... 나이롱 엄마 이군 쯔쯔쯔... "방만 빌려서 지내게해도 문제없다" 그 젊은 남자는 이런식으로 돈을 벌어서 뭐에 쓰고 다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렇게 무식한 제안에 동의한 엄마는 정신이  있는 사람입니까? 그 젊은 사람 에게 그냥 돈 주세요...계속 그렇게 사기 치면서 살게... 그 젊은 남자한테 반해서 자식이고 뭐고 다 안보입디까? ..내가 심하다고 생각하세요? 등신!!!! 에미 라는것이.....너 계모 맞지? 아님 밝힘증 환자거나.... 그 젊은 남자 사진 한장 올려 놓으시죠 어떻게 그런 훌~룡한 발상을 하셨는지..어쩜 그렇게 또라이 수준으로 사업하시는 사기꾼인지...너무 궁금하네요. 그 남자 잘 연구해서 베스트 셀러 한편 써볼랍니다.히트치겠는데...대박 예감!!! 학교 알선 해주는 사람과 맺은 계약서가 법적으로 어느정도의 효력이 있나요? 그사람 자격조건도 안 갖춰진 사람일거예요...짐작하건데 내가 알고있는 사람중에 한사람 같은데... 잘 확인해 보세요.. 현지 경찰서에 영어 잘하시는 분 데리고 가세요.. 그냥 가시지 말고 자료 잘 정리하고 확실한 근거를 준비해서 가세요. 경찰서 문열기 전에 무엇을 어떻게 고소할것인지 공부좀 하시고... >학교 알선 해주는 사람과 맺은 계약서가 법적으로 어느정도의 효력이 있나요? > >제가 알고 있는 분의 억울한 경우입니다. >여기온지 3주가 되었고 아들을 공립학교에 입학시키기 위해 대행사(아주 젊은 남자분)와 거래를 하면서 1500불을 선금으로 지불했구요 한국에서 오실때 영문서류를 준비하지를 못해서 대행사가 한국에다 빨리 연락해서 보내달라고 했답니다. >아직까지 서류가 준비되지 못했다는 이유로 단 하나의 학교에도 지원하지 않은 상태이고 (제가 알기로는 부모님과 아이 여권, 가디언 여권만 있어도 지원은 가능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저 역시 그랬구요) 그리고 대행사가 아직도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받아야 할 국민학교 4학년 어린이더러 방만 빌려서 지내게해도 문제없고 자기가 가디언(같이 지내지 않는)이 되어주겠다고 했답니다. 여기 실정을 잘 모르는 그분은 당연히 그래도 된다고 생각하시는것 같습니다. >아침 새벽에 일어나서 무거운 가방 짊어지고 가는 우리아이들을 볼때마다 가슴아픈데 영어 한마디 할줄 모르는 어린아이가 혼자 지내면서 교복 다려입고 밥챙겨먹고 한다는게 정말 가능한가요? 그리고 숙제는 누가 돌봐주나요 아님 제가 넘 과잉보호하고 있는건가요? 대행하는사람이 자기가 가끔 와서 돌봐주겠다고 했다는데? 얼마나 자주요? 아프면 하루종일 아이 간호해 줄수있나요? >그리고 학교입학 허가가 결정나면 돈을 지불하는것 아닌가요? >물론 언제가는 학교를 찾아주겠죠 몇달뒤? 일년뒤? >그러면 아이 혼자 무얼하며 지내게 해야하나요. >한국으로 돌아가시면서  그분이  아무것도 성사시키지 못해 거래를 끓기로 한 이유로 1500불을 양심적으로 돌려받을수 없나해서 글을 올립니다. >법적으로 정말 되돌려 받을수는 없는걸까요? >물론 돈을 주고받고 하는 거래지만 제발 아무것도 모르는분들을 괴롭히지 마세요 그 젊은 남자분 > >     

  • A

    감사합니다. 좋은 의견 주신것에.. 하지만 계약파괴는 제가 알고 있는분쪽에서 하는거라 사실 잘못은 여기쪽이고 그분이 아이가 남아있어야 하니 큰문제 만들기를 원하지 않네요 단지 계약당시 학교문제가 처리된후 돈을 받아야 되는게 정상이 아닌가하고 여쭤봅니다. 사실 전 그 알선해주는 사람을 전혀 모르구요 그분이 알리기를 꺼리내요.. 그분과 알선하는 사람이 좋은 해결책이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여기 대행업체 일을 맡길려고 하시는 모든분들 계약하실때 후불제인제 선불제인 꼼꼼히 점검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많은 학교문제로 고민하시는 분 여기 현지사정 잘 아시는 분 만나서 직접 학교찾아다니는게 제일 빠르고 현명한 길이라 여겨집니다. 힘내세요 다들 화이팅 >어떤 경우이던 한쪽 말만 들어선 안되는 것인데..정말이라면 >제 3의 피해자를 막기 위해서 좀더 자세한 정보를 올여야 하는것 아닙니까? >그리고 될수 있으면 좋게 해결하세요.. >이런 일로 해외에서 경찰서 드나 드는것 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지않을까 하네요.... >만약 좋게 해결할려고 하는데 잘 해결이 안되면 연락처 남겨 놓으세요.. >영어는 경찰서 조서 꾸미는데 지장없을 만큼 할줄알고 싱에서 십여년 살았으니 좀 도움이 될까 해서 입니다.수수료나 점심값 필요없습니다. > > > > >>학교 알선 해주는 사람과 맺은 계약서가 법적으로 어느정도의 효력이 있나요? >> >>제가 알고 있는 분의 억울한 경우입니다. >>여기온지 3주가 되었고 아들을 공립학교에 입학시키기 위해 대행사(아주 젊은 남자분)와 거래를 하면서 1500불을 선금으로 지불했구요 한국에서 오실때 영문서류를 준비하지를 못해서 대행사가 한국에다 빨리 연락해서 보내달라고 했답니다. >>아직까지 서류가 준비되지 못했다는 이유로 단 하나의 학교에도 지원하지 않은 상태이고 (제가 알기로는 부모님과 아이 여권, 가디언 여권만 있어도 지원은 가능하다고 알고있습니다 저 역시 그랬구요) 그리고 대행사가 아직도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받아야 할 국민학교 4학년 어린이더러 방만 빌려서 지내게해도 문제없고 자기가 가디언(같이 지내지 않는)이 되어주겠다고 했답니다. 여기 실정을 잘 모르는 그분은 당연히 그래도 된다고 생각하시는것 같습니다. >>아침 새벽에 일어나서 무거운 가방 짊어지고 가는 우리아이들을 볼때마다 가슴아픈데 영어 한마디 할줄 모르는 어린아이가 혼자 지내면서 교복 다려입고 밥챙겨먹고 한다는게 정말 가능한가요? 그리고 숙제는 누가 돌봐주나요 아님 제가 넘 과잉보호하고 있는건가요? 대행하는사람이 자기가 가끔 와서 돌봐주겠다고 했다는데? 얼마나 자주요? 아프면 하루종일 아이 간호해 줄수있나요? >>그리고 학교입학 허가가 결정나면 돈을 지불하는것 아닌가요? >>물론 언제가는 학교를 찾아주겠죠 몇달뒤? 일년뒤? >>그러면 아이 혼자 무얼하며 지내게 해야하나요. >>한국으로 돌아가시면서  그분이  아무것도 성사시키지 못해 거래를 끓기로 한 이유로 1500불을 양심적으로 돌려받을수 없나해서 글을 올립니다. >>법적으로 정말 되돌려 받을수는 없는걸까요? >>물론 돈을 주고받고 하는 거래지만 제발 아무것도 모르는분들을 괴롭히지 마세요 그 젊은 남자분 >> >> >     

Q

NO.35

기타[급해요] 인터넷 신청 EP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안되…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싱사랑(paramour) 2005-11-17
추천수 : 3 조회수 : 1,270

지금 사용하고 있는 스타허브 인터넷 전용선은 집주인(현지인)이름으로 거주자 계약서 가져가서 인터넷 신청을 했습니다. 제가 지금 Training Pass를 가지고 있는데 내년 4월까지 유효합니다. 그리고 저희회사에서 회사설립을 할 예정이긴 한데, 집을 제이름으로 계약

  • A

    일단 문의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큰곳(plaza singapura)에서는 작은 곳과 이야기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작은 곳에서는 S-pass라고 안된다고 하더군요) Deposit을 걸어야 받아주기도하기도 하니까 일단은 직원에게 문의하는 것이 제일 나을 것 같습니다.   > >지금 사용하고 있는 스타허브 인터넷 전용선은 >집주인(현지인)이름으로 거주자 계약서 가져가서 >인터넷 신청을 했습니다. > >제가 지금 Training Pass를 가지고 있는데 >내년 4월까지 유효합니다. >그리고 저희회사에서 회사설립을 할 예정이긴 한데, > >집을 제이름으로 계약하는데는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인터넷 신청을 어떻게 해야할지, >집계약자는 제 이름인데, >EP가 없어서 Starhub에서 신청접수를 안받아 줄거 같은데, > >신청할 수 방법 없을까요???     

Q

NO.33

기타계약시 에어컨 유지 보수비에 대해서..(급한 질문입…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초보맘(pretty69) 2005-11-11
추천수 : 5 조회수 : 1,250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

  • A

    저는 3800이 나으지 않을까싶습니다...왠만한 에어콘 고장잘안나죠....3개월에 한번식 서비스 받으라고는 하나 그러는 사람없을겁니다.  한달에 100불씩 아끼면 1년에 1200불 남는데...그걸로 고장나면 고치는게.....물론 에어콘 상태확인하세요....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면 3900불에 에어컨 유지 보수비를 집주인이 부담하든지 두가지 중에 선택하라고 하는데요.... >어떤쪽이 좋을지 몰라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회사에서 집 렌탈 보조금은 3800이 상한선이라고 했다고 합니다...(물론 처음에는 3500불이었는데 집 구하다 보니 조금 올라가더군요^^.. 근데 같은 회사에 다른분은 3500불이라고 처음에 그랬다가 4000불짜리 집을 구해서 그냥 회사에서 모두 지불하고 있다고 살짝 얘기하네요...) >남편은 회사에 다시 금액을 얘기해본다고 하지만 아마 3800불 이상은 안될것 같다고.... >어찌됐든... 지금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문제인데요... 3개월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는데 에이전트 말로는 300불정도...즉 한달에 100불 정도 들어간다고 하네요... >보통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얼마정도 드나요??? >그리고 100불 더주고 집주인에게 모두 책임지라고 하는게 편한가요... 아니면 저희가 돈내고 유지보수하는게 편한가요???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도움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A

    그냥 참고하시라고 저희집 경우를 말씀드리겟습니다. 2년전 새로 지은 아파트로 이사를 해서 정확히 2년째 살고 있습니다. 지금 저희 부담으로 에어컨 정기 점검(청소)를 받고 있는데, 1년에 4번 점검하는 걸로 1년 비용이 $320입니다. (총 5대입니다. ;; 물론 처음에는 기본적인 에어컨 A/S기간에 무료 점검및 청소를 받았구요.) 그러던중 6개월전에(입주1년반만에) 에어컨 하나가 고장이 나서 $100 주고 수리받았습니다. 새거지만 더운나라라서 사용을 많이 하다보니 문제가 일어나긴 하더군요. 그러니까 지난 1년간 $420을 쓴 셈이네요. 참고가 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면 3900불에 에어컨 유지 보수비를 집주인이 부담하든지 두가지 중에 선택하라고 하는데요.... >어떤쪽이 좋을지 몰라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회사에서 집 렌탈 보조금은 3800이 상한선이라고 했다고 합니다...(물론 처음에는 3500불이었는데 집 구하다 보니 조금 올라가더군요^^.. 근데 같은 회사에 다른분은 3500불이라고 처음에 그랬다가 4000불짜리 집을 구해서 그냥 회사에서 모두 지불하고 있다고 살짝 얘기하네요...) >남편은 회사에 다시 금액을 얘기해본다고 하지만 아마 3800불 이상은 안될것 같다고.... >어찌됐든... 지금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문제인데요... 3개월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는데 에이전트 말로는 300불정도...즉 한달에 100불 정도 들어간다고 하네요... >보통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얼마정도 드나요??? >그리고 100불 더주고 집주인에게 모두 책임지라고 하는게 편한가요... 아니면 저희가 돈내고 유지보수하는게 편한가요???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도움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A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려도 되나요?? 저희가 들어갈려로 하는 집은 작년에 지은 콘도이구요...1년정도 됐다고 하네요... 에이전트 말로는 3개월에 한번씩 점검해서 점검시마다 300불 정도라고 하던데요...그러면 일년에 1200불정도... 추상화님은 1년에 4번점검에 1년 비용이 320불이란 건가요? (5대 모두 점검하는데두요?) 그러면 가격차가 많이 나서요^^ 추상화님처럼 1년에 그정도만 든다면 굳이 매달 100불을 추가 부담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도 드네요^^ 혹시 점검받는데를 소개해주실수도 있으신가요?? 답변 부탁드릴께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그냥 참고하시라고 저희집 경우를 말씀드리겟습니다. > >2년전 새로 지은 아파트로 이사를 해서 정확히 2년째 살고 있습니다. >지금 저희 부담으로 에어컨 정기 점검(청소)를 받고 있는데, 1년에 4번 점검하는 걸로 1년 비용이 $320입니다. (총 5대입니다. ;; 물론 처음에는 기본적인 에어컨 A/S기간에 무료 점검및 청소를 받았구요.) >그러던중 6개월전에(입주1년반만에) 에어컨 하나가 고장이 나서 $100 주고 수리받았습니다. 새거지만 더운나라라서 사용을 많이 하다보니 문제가 일어나긴 하더군요. >그러니까 지난 1년간 $420을 쓴 셈이네요. >참고가 되시기 바랍니다.... > >>한국촌 계시판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집을 정했습니다.^^ >>집을 계약하기 위해 서류를 작성중인데요... >>4000불에 나온 집을 지금 현재 에이전트가 3800불로 네고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근데 집주인이 3800불에 에어컨 유지보수비를 우리가 부담하든지.. 아니면 3900불에 에어컨 유지 보수비를 집주인이 부담하든지 두가지 중에 선택하라고 하는데요.... >>어떤쪽이 좋을지 몰라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회사에서 집 렌탈 보조금은 3800이 상한선이라고 했다고 합니다...(물론 처음에는 3500불이었는데 집 구하다 보니 조금 올라가더군요^^.. 근데 같은 회사에 다른분은 3500불이라고 처음에 그랬다가 4000불짜리 집을 구해서 그냥 회사에서 모두 지불하고 있다고 살짝 얘기하네요...) >>남편은 회사에 다시 금액을 얘기해본다고 하지만 아마 3800불 이상은 안될것 같다고.... >>어찌됐든... 지금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문제인데요... 3개월에 한번씩 정기검진을 받는데 에이전트 말로는 300불정도...즉 한달에 100불 정도 들어간다고 하네요... >>보통 에어컨 유지보수비가 얼마정도 드나요??? >>그리고 100불 더주고 집주인에게 모두 책임지라고 하는게 편한가요... 아니면 저희가 돈내고 유지보수하는게 편한가요???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항상 도움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 >     

Q

NO.30

기타콘도 계약연장시에 에이전트 비용이 없답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click(jerry72) 2005-07-27
추천수 : 4 조회수 : 1,208

예전에 이 곳 글 중에서 콘도를 연장할 때도 에이전트 비용을 낸다고 본거 같은데... 에이전트들 수익이라고..(잘못 봤는지는 모르겠지만..지금 기억으로는..^^) 이번에 계약연장을 위해서 알아보다가, 회사 동료(서양인)한테 물어봤더니 자신의 에이전트를 통해서 알려주더…

  • A

    정말 그런가요?? 연장시 돈 안내나요?? 아닐텐데....저희 회사분들은 모두 계약 연장시 에이젼트피(브로커피)를 내거든요...만약 1년 계약일경우 브로커한테 한달치 집세의 반을 내고 계약을 하고 1년뒤 연장시 또 똑같이 돈을 냈거든요..만약 2년 계약의 경우는 한달치 집세에 해당하는 브로커피를 내고 똑같이 2년뒤 또다시 연장을 원할시 1년을 할경우 반을, 2년일경우 한달치 집세에 해당하는 브로커피를 ...이렇게 했었는데 아닌가요?? 흠....저도 그랬거든요.....암튼 어떤게 맞는건지...헷갈리네요.. > >예전에 이 곳 글 중에서 콘도를 연장할 때도 에이전트 비용을 낸다고 본거 같은데... 에이전트들 수익이라고..(잘못 봤는지는 모르겠지만..지금 기억으로는..^^) > >이번에 계약연장을 위해서 알아보다가, 회사 동료(서양인)한테 물어봤더니 >자신의 에이전트를 통해서 알려주더라구요. 단순히 계약연장인 경우에는 에이전트비용을 내지 않고, 다만 계약갱신을 위해 문서에 대한 stampduty(이게 맞나요?) 비용은 지불합니다. 이건 법적 유효성을 위한 비용일겁니다. 대략 60 달러정도. >단, 이 경우 처음 집을 빌리기 위해 연락했던 제쪽의 에이전트한테 연락한 것은 아니라서, 자신의 에이전트를 연락하는 경우에는 달라지는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경우에도 에이전트비용은 내지 않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왜냐하면, 계약 연장의 경우는 에이전트의 주된 업무(집 찾아 소개, 구경시켜 주는 - 소비자 입장에서 본 주된 업무임)의 노력이 없으니까요... > >그래서 계약연장을 위해 저는 집주인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서(이메일이 아닌 편지) 연장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알리면서 금액등의 계약조건 변경은 언급하지 않고, 연장을 고려하면서 지금까지 살면서 불편한 부분들을 개선해 줄수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제 경우 침대 매트리스 교체(들어올때부터 너무 안 좋아서 에이전트한테 이야기 했는데, 안된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그 에이전트가 정말 집주인한테 이야기를 했는지 의심중..-_-;), 집안 등불을 백열등에서 좀 더 환한 에너지 절약 등불로 교체(형광등 말고 둥근 것) 등을 이야기 했는데, 집주인이 좋아서인지, 계약연장의 가치에 비해 타당해서 인지 두가지 모두 해 주겠다고 하고는 집주인의 에이전트가 연락할 거라고 하더군요. >아직 연장계약에 서명을 하지는 않았지만(에이전트가 서류 준비중), 조만간 하게될거 같습니다. > >하도 알아볼 곳이 없어서, 직장 동료들 콘도에 사는 외국인들한테 의견을 물어봐도, 계약연장에 비용 나가는건 상식적인 선에서 아니라는 의견이더라구요. > >혹 잘못 아시고 비용 치루시는 분 없으시길... >그리고 잘못된 부분 있으면 리플로 수정해주세요..^^ >     

  • A

    맞는 말씀인데요. 이전 계약한 에이전트에게 연락하여 계약연장을 하면 에이전트비용을 내야합니다. 그냥 집주인이랑 얘기해서 연장하는 경우는 집주인쪽 에이전트가 stamp등을 그냥 무상으로 해주지요. 그래도 집주인은 집주인 에이전트에게 복비를 줘야합니다. 물론 계약조건이 전혀 바뀌지 않으면, 처음 계약시 1+1, 2+1등 계약조건에 따라 연장되는 1년에 대해서는 자신이 계약한 에이전트에게 연락해도 복비가 없겠지요. 조건이 변경되면 복비 줘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전 에이전트에 분명히 더이상의 서비스가 필요없다. 나는 집주인이랑 그냥 직접얘기하겠다. 자네도움 필요없다. 등등과 같이 분명히 서비스종료사실을 통보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지 않으면, 소송을 당하기도 한다고 하더군요. > >예전에 이 곳 글 중에서 콘도를 연장할 때도 에이전트 비용을 낸다고 본거 같은데... 에이전트들 수익이라고..(잘못 봤는지는 모르겠지만..지금 기억으로는..^^) > >이번에 계약연장을 위해서 알아보다가, 회사 동료(서양인)한테 물어봤더니 >자신의 에이전트를 통해서 알려주더라구요. 단순히 계약연장인 경우에는 에이전트비용을 내지 않고, 다만 계약갱신을 위해 문서에 대한 stampduty(이게 맞나요?) 비용은 지불합니다. 이건 법적 유효성을 위한 비용일겁니다. 대략 60 달러정도. >단, 이 경우 처음 집을 빌리기 위해 연락했던 제쪽의 에이전트한테 연락한 것은 아니라서, 자신의 에이전트를 연락하는 경우에는 달라지는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경우에도 에이전트비용은 내지 않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왜냐하면, 계약 연장의 경우는 에이전트의 주된 업무(집 찾아 소개, 구경시켜 주는 - 소비자 입장에서 본 주된 업무임)의 노력이 없으니까요... > >그래서 계약연장을 위해 저는 집주인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서(이메일이 아닌 편지) 연장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알리면서 금액등의 계약조건 변경은 언급하지 않고, 연장을 고려하면서 지금까지 살면서 불편한 부분들을 개선해 줄수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제 경우 침대 매트리스 교체(들어올때부터 너무 안 좋아서 에이전트한테 이야기 했는데, 안된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그 에이전트가 정말 집주인한테 이야기를 했는지 의심중..-_-;), 집안 등불을 백열등에서 좀 더 환한 에너지 절약 등불로 교체(형광등 말고 둥근 것) 등을 이야기 했는데, 집주인이 좋아서인지, 계약연장의 가치에 비해 타당해서 인지 두가지 모두 해 주겠다고 하고는 집주인의 에이전트가 연락할 거라고 하더군요. >아직 연장계약에 서명을 하지는 않았지만(에이전트가 서류 준비중), 조만간 하게될거 같습니다. > >하도 알아볼 곳이 없어서, 직장 동료들 콘도에 사는 외국인들한테 의견을 물어봐도, 계약연장에 비용 나가는건 상식적인 선에서 아니라는 의견이더라구요. > >혹 잘못 아시고 비용 치루시는 분 없으시길... >그리고 잘못된 부분 있으면 리플로 수정해주세요..^^ >     

Q

NO.29

기타집에 있는 메이드가요......

  • 답글 : 5
  • 댓글 : 0
답변진행중
뺀질이(sypw02) 2005-07-14
추천수 : 38 조회수 : 2,107

여러분 같으면 어떻게 하실껀지 조언좀... 부탁 드립니다. 아무말씀이나 적어 주세요. 저는 싱가폴에 온지는 약 6개월 됐구요, 메이드는 온지 얼마안되었는데요,(두달 정도) 애는 그럭저럭 보는거 같은데, 같은 콘도에  있는 메이드와 애길 할 기회가 있잖아요, 애길하고나…

  • A

    전 싱가폴에서 가정부 두고 산지 8년차 됬습니다.처음에는 님처럼 돈벌겠다고 남의나라와서 힘들게 일하는 분들이 가엽기도 하고 과거 독일로 일하러 가셨던 우리 어른들이 생각나 잘해주었는데요,근본적으로 국민성이 우리하곤 많이 다르더군요. 처음부터 잘해주면 끝이 없는게 사람입니다.특히나 나이도 어린 아가씨들의 경우에는 투정도 심하고 변덕은 말할것도 없지요. 제소견으론 어디감히 보스앞에서 다른집 경우를 비교합니까? 그러는 본인은 다른 잘하는 가정부 하고 비교하면 좋다고 하겠습니까?버르장머리가 너무 없는 아가씨네요.너무 싱가폴 사정을 잘 모르는것 같은데 제가 님이라면 두번 생각 안하고 바꾸겠습니다.가르치고 보듬어서 될 일이 있고 그렇지 않은일이 있습니다.일을 하려는 자세는 없고 불평부터 하려드는 가정부,경험상으로 말씀드리자면 오래 못갑니다.가정부가 불만으로 더 큰 사고치기 전에 보내시는게 어떨런지요.몆개월 지난 후 부터 잘해주셔도 전혀 늦지 않습니다. 가정부때문에 속썩은 일들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찌릿찌릿 합니다.사람 쓰는일 만큼 힘든일 이 없다고 하지만 오가는 정이 있어야 하거늘 온지 얼마나 됬다고 적응 하려는 노력 대신 비교나 하고 다니니 싹이 노란 사람이네요. 당장 바꾸시라고 강력히 권장하는 바입니다. >여러분 같으면 어떻게 하실껀지 조언좀... 부탁 드립니다. 아무말씀이나 적어 주세요. > >저는 싱가폴에 온지는 약 6개월 됐구요, >메이드는 온지 얼마안되었는데요,(두달 정도) 애는 그럭저럭 보는거 같은데, >같은 콘도에  있는 메이드와 애길 할 기회가 있잖아요, 애길하고나서 >누구는 몇시 부터 주인이 자게 한다, 주인이 참 잘해준다고 한다더라, >등등 제가 자기한테 일하기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만 하는거 같아서요. >온지 일주일 되어서 생선먹고 싶다고 생선 사달라고 하질않나.. 쩝... >휴가는 언제부터 가냐고 물어보질않나..쩝.. (휴가 없는걸로 계약했거든요) >저하고 집사람하고 잠시 외출하고 오면 저 몰래 필리핀에 전화하구요(국제 전화카드 10불짜리 사서 줬어요..) > >저의 경우는 11시 취침시켜서 6시에 기상하도록 했거든요(근데 실질적으로 일어나는 시각은 6시 30분 정도 되는거 같음). >전화도 일주일에 한번 정도 필리핀에 있는 가족에게 전화하라고 편의도 바주구요. >애기가 있어서 데리고 나간다고 하면(콘도안에 메이들이 시간을 정해서 만나나 봅니다.) 아내가 못나가게 하면 입이 쭈욱 나와서 표정도 어두워지고... 감정의 변화가 좀 심한 편입니다. >달걀도 사주고,사달라는 생선도 사주고 닭도 사주고(장보러 아내와 메이드 같이 갔더니 >메이드가 닭사달라고 하더군요 - 한국음식은 맛 없데요..ㅠㅠ) 채소까지 따로 사 줬는데.. >자꾸 다른집 메이드와 자신을 비교(다른집 메이드가 누리는 좋은 점만 아내에게 얘기 한다고 하네요) 제가 참다못해 불러놓고 야단을 쳤더만 삐져서 인사도 안하고.. >전화하려면 아내 허락맞고 전화 쓰라고(계약서에 적혀 있음)했는데 저희 몰래 전화썼길래 전화 왜 허락없이 썻냐고(제 생각에는 제가 좀 쪼잖하지만....어떻게 합니까? 계약서에적혀있고 초기에는 메이드 군기를 좀 잡아야 한다기에.. ) 인상을 좀 쓰면서 계약서에 >쓰여 있다고 하니까, sorry,sir... (약간의 침묵..) anything else ? 요렇게 물어 보더군요. >해서 없다고 하니까 찬바람 씽 하게 일어나 부엌으로 가더군요.. 한국같으면 그대로 달려가 뒤통수를 쌔리고 싶은 심정이... 해외니까 그리고 한국사람의 이미지가 있어 참았습니다. >함께 일하는 동료 여직원에게 메이드가 전화한다고 했더니 놀라더군요.. >잠도 10시부터 6시까지 자고 싶다고 합니다. (10시 취침-6시 기상이 MOM규정인가요?- >규정이면 꼭 지켜야 하는지, 듣기로는 싱가포리언들은 메이드가오면 초기에는 거의 >4-5시간만 재운다고 하는데,사실인지..) > >자, 여러분 같으면 어떻게 하시렵니까 ? 당장 바꿔버릴까요 ? 아님  좀더 타일러서 >지켜볼까요 ? 사진상으로는 밝게 웃는 인상이 좋아서 데리고 왔는데, 말씀드린대로 >감정의 변화가 심해서.... 저희 부부가 오히려 메이드 기분 파악하고 있습니다. >지금 사무실에서 싱가폴 동료 눈치보면서 글 올리고 있습니다.   > >메이드 부리는데(표현이 좀 그렇지만 마땅한 단어가 생각이 안나네요..) 내공이 싸이신 분, 조언 부탁 드립니다. >제 생각으로는 저희가 결코 메이드에게 못해 주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들리는 소문으로는 메이드 자꾸 바꾸면 메이드들끼리 주고 받는 얘기가 있어 주인이 >완죤히 악덕주인으로 간주된다고 하던데.... 전 신경 별로 안쓰지만.. 집사람은 메이드와 많은 시간을 같이 보내고 또 다른 메이드들도 만나는 기회가 많으니 신경이 아무래도 쓰이겠죠.. 참. 메이드는 필리피노 입니다. > > >     

  • A

    메이드를 바꾸라고 권하고 싶네요. 우리 가정부들은 아직까지 뭘 먹고 싶다고 자기 것을 개인 적으로 사달라 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는데.. 그 대신 집에 있는 것은 뭐든 마시고 먹을 수 있는 자유를 줘요. 저는 안 마시지만 커피를 좋아하는 가정부라면 늘 커피는 챙겨서 사다주고요.. 하지만 나도 우리 아이들 주려고 차마 못 먹는 것은 가정부에게 꼭 미리 일러 둬요. 이건 아이들만 주라고... 철이 있는 아가씨라면 스스로 눈치껏 할테인데..... 허락없이 전화를 쓰는 것도 도저히 이해가 안 가네요. 월급에서 과감히 제하세요. 가정부에게 월급외에 따로 뭘 사주거나 돈을 주는 거는 주는거구 가정부가 지켜야하는 도리는 또 있는 거잖아요. 실제로 가정부가 아니라 처제가 형부집에 머문다고 하더라도 국제전화는 허락받고 해야 예의 아닌가요? 한번은 무료로 바꿀 수 있는 계약이 에이전시하고 되어 있을 텐데 한 번 알아보시고 보내세요. 그게 경험자의 조언입니다.. > 여러분 같으면 어떻게 하실껀지 조언좀... 부탁 드립니다. 아무말씀이나 적어 주세요. > >저는 싱가폴에 온지는 약 6개월 됐구요, >메이드는 온지 얼마안되었는데요,(두달 정도) 애는 그럭저럭 보는거 같은데, >같은 콘도에  있는 메이드와 애길 할 기회가 있잖아요, 애길하고나서 >누구는 몇시 부터 주인이 자게 한다, 주인이 참 잘해준다고 한다더라, >등등 제가 자기한테 일하기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만 하는거 같아서요. >온지 일주일 되어서 생선먹고 싶다고 생선 사달라고 하질않나.. 쩝... >휴가는 언제부터 가냐고 물어보질않나..쩝.. (휴가 없는걸로 계약했거든요) >저하고 집사람하고 잠시 외출하고 오면 저 몰래 필리핀에 전화하구요(국제 전화카드 10불짜리 사서 줬어요..) > >저의 경우는 11시 취침시켜서 6시에 기상하도록 했거든요(근데 실질적으로 일어나는 시각은 6시 30분 정도 되는거 같음). >전화도 일주일에 한번 정도 필리핀에 있는 가족에게 전화하라고 편의도 바주구요. >애기가 있어서 데리고 나간다고 하면(콘도안에 메이들이 시간을 정해서 만나나 봅니다.) 아내가 못나가게 하면 입이 쭈욱 나와서 표정도 어두워지고... 감정의 변화가 좀 심한 편입니다. >달걀도 사주고,사달라는 생선도 사주고 닭도 사주고(장보러 아내와 메이드 같이 갔더니 >메이드가 닭사달라고 하더군요 - 한국음식은 맛 없데요..ㅠㅠ) 채소까지 따로 사 줬는데.. >자꾸 다른집 메이드와 자신을 비교(다른집 메이드가 누리는 좋은 점만 아내에게 얘기 한다고 하네요) 제가 참다못해 불러놓고 야단을 쳤더만 삐져서 인사도 안하고.. >전화하려면 아내 허락맞고 전화 쓰라고(계약서에 적혀 있음)했는데 저희 몰래 전화썼길래 전화 왜 허락없이 ›㎡캅제 생각에는 제가 좀 쪼잖하지만....어떻게 합니까? 계약서에적혀있고 초기에는 메이드 군기를 좀 잡아야 한다기에.. ) 인상을 좀 쓰면서 계약서에 >쓰여 있다고 하니까, sorry,sir... (약간의 침묵..) anything else ? 요렇게 물어 보더군요. >해서 없다고 하니까 찬바람 씽 하게 일어나 부엌으로 가더군요.. 한국같으면 그대로 달려가 뒤통수를 쌔리고 싶은 심정이... 해외니까 그리고 한국사람의 이미지가 있어 참았습니다. >함께 일하는 동료 여직원에게 메이드가 전화한다고 했더니 놀라더군요.. >잠도 10시부터 6시까지 자고 싶다고 합니다. (10시 취침-6시 기상이 MOM규정인가요?- >규정이면 꼭 지켜야 하는지, 듣기로는 싱가포리언들은 메이드가오면 초기에는 거의 >4-5시간만 재운다고 하는데,사실인지..) > >자, 여러분 같으면 어떻게 하시렵니까 ? 당장 바꿔버릴까요 ? 아님  좀더 타일러서 >지켜볼까요 ? 사진상으로는 밝게 웃는 인상이 좋아서 데리고 왔는데, 말씀드린대로 >감정의 변화가 심해서.... 저희 부부가 오히려 메이드 기분 파악하고 있습니다. >지금 사무실에서 싱가폴 동료 눈치보면서 글 올리고 있습니다.   > >메이드 부리는데(표현이 좀 그렇지만 마땅한 단어가 생각이 안나네요..) 내공이 싸이신 분, 조언 부탁 드립니다. >제 생각으로는 저희가 결코 메이드에게 못해 주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들리는 소문으로는 메이드 자꾸 바꾸면 메이드들끼리 주고 받는 얘기가 있어 주인이 >완죤히 악덕주인으로 간주된다고 하던데.... 전 신경 별로 안쓰지만.. 집사람은 메이드와 많은 시간을 같이 보내고 또 다른 메이드들도 만나는 기회가 많으니 신경이 아무래도 쓰이겠죠.. 참. 메이드는 필리피노 입니다. > > >     

  • A

    첨부터  넘  잘해 주셨네요.  당장 바꾸세요~ 악덕  주인  절대  아니십니다.   한국주인들  넘 잘해주니까 봉 인줄 아는 애들  많답니다.. 로컬  주인한테는 감히  이렇게 못합니다. 이런 메이드 나중에  애기  한테도 해꼬지  합니다. 경고할 것두  없이 그냥   현재까지  상황 에이젼시에 말하셔서  바꾸세요.   국제 전화 쓴 것에 대한 charge도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보통 기상  취침시간은  오전 6시에서 오후 10시이고,   가족에따라  조정 하시는 것 같던데요.  10시까지 자겠단 메이드 첨 듣습니다.!!!   >여러분 같으면 어떻게 하실껀지 조언좀... 부탁 드립니다. 아무말씀이나 적어 주세요. > >저는 싱가폴에 온지는 약 6개월 됐구요, >메이드는 온지 얼마안되었는데요,(두달 정도) 애는 그럭저럭 보는거 같은데, >같은 콘도에  있는 메이드와 애길 할 기회가 있잖아요, 애길하고나서 >누구는 몇시 부터 주인이 자게 한다, 주인이 참 잘해준다고 한다더라, >등등 제가 자기한테 일하기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만 하는거 같아서요. >온지 일주일 되어서 생선먹고 싶다고 생선 사달라고 하질않나.. 쩝... >휴가는 언제부터 가냐고 물어보질않나..쩝.. (휴가 없는걸로 계약했거든요) >저하고 집사람하고 잠시 외출하고 오면 저 몰래 필리핀에 전화하구요(국제 전화카드 10불짜리 사서 줬어요..) > >저의 경우는 11시 취침시켜서 6시에 기상하도록 했거든요(근데 실질적으로 일어나는 시각은 6시 30분 정도 되는거 같음). >전화도 일주일에 한번 정도 필리핀에 있는 가족에게 전화하라고 편의도 바주구요. >애기가 있어서 데리고 나간다고 하면(콘도안에 메이들이 시간을 정해서 만나나 봅니다.) 아내가 못나가게 하면 입이 쭈욱 나와서 표정도 어두워지고... 감정의 변화가 좀 심한 편입니다. >달걀도 사주고,사달라는 생선도 사주고 닭도 사주고(장보러 아내와 메이드 같이 갔더니 >메이드가 닭사달라고 하더군요 - 한국음식은 맛 없데요..ㅠㅠ) 채소까지 따로 사 줬는데.. >자꾸 다른집 메이드와 자신을 비교(다른집 메이드가 누리는 좋은 점만 아내에게 얘기 한다고 하네요) 제가 참다못해 불러놓고 야단을 쳤더만 삐져서 인사도 안하고.. >전화하려면 아내 허락맞고 전화 쓰라고(계약서에 적혀 있음)했는데 저희 몰래 전화썼길래 전화 왜 허락없이 썻냐고(제 생각에는 제가 좀 쪼잖하지만....어떻게 합니까? 계약서에적혀있고 초기에는 메이드 군기를 좀 잡아야 한다기에.. ) 인상을 좀 쓰면서 계약서에 >쓰여 있다고 하니까, sorry,sir... (약간의 침묵..) anything else ? 요렇게 물어 보더군요. >해서 없다고 하니까 찬바람 씽 하게 일어나 부엌으로 가더군요.. 한국같으면 그대로 달려가 뒤통수를 쌔리고 싶은 심정이... 해외니까 그리고 한국사람의 이미지가 있어 참았습니다. >함께 일하는 동료 여직원에게 메이드가 전화한다고 했더니 놀라더군요.. >잠도 10시부터 6시까지 자고 싶다고 합니다. (10시 취침-6시 기상이 MOM규정인가요?- >규정이면 꼭 지켜야 하는지, 듣기로는 싱가포리언들은 메이드가오면 초기에는 거의 >4-5시간만 재운다고 하는데,사실인지..) > >자, 여러분 같으면 어떻게 하시렵니까 ? 당장 바꿔버릴까요 ? 아님  좀더 타일러서 >지켜볼까요 ? 사진상으로는 밝게 웃는 인상이 좋아서 데리고 왔는데, 말씀드린대로 >감정의 변화가 심해서.... 저희 부부가 오히려 메이드 기분 파악하고 있습니다. >지금 사무실에서 싱가폴 동료 눈치보면서 글 올리고 있습니다.   > >메이드 부리는데(표현이 좀 그렇지만 마땅한 단어가 생각이 안나네요..) 내공이 싸이신 분, 조언 부탁 드립니다. >제 생각으로는 저희가 결코 메이드에게 못해 주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들리는 소문으로는 메이드 자꾸 바꾸면 메이드들끼리 주고 받는 얘기가 있어 주인이 >완죤히 악덕주인으로 간주된다고 하던데.... 전 신경 별로 안쓰지만.. 집사람은 메이드와 많은 시간을 같이 보내고 또 다른 메이드들도 만나는 기회가 많으니 신경이 아무래도 쓰이겠죠.. 참. 메이드는 필리피노 입니다. > > >     

Q

NO.26

기타집을 얻으려고 하는데요, 어느정도 현금이 필요하나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지나(my4ever1) 2005-04-19
추천수 : 7 조회수 : 1,095

1년 계약시에는 1500불 짜리 콘도 가정을 할때,.. 데파짓 1500불 선불 방세 1500불 에이전시 750불 1.여러 가지 개통할때 드는 비용(전기 전화 인터넷, 티비등,,,)도 궁금합니다 2.그리고 만약 기간이 1년이 아닌 1년 4개월정도로 제가 좀 더 머무르게…

  • A

    저는 2년계약을 해서 (corporate lease가 아닌 경우에 집주인들이 외국인에게 rent할때는 2년을 훨씬 더 선호하더라구요.. 집값을 깎느라고 저는 2년 계약에 첫 1년 이후 사용할 수 있는 diplomatic clause를 넣었구요..) 1년과는 다르겠지만 우선 간단하게 적어보겠습니다. 제 경우에는 (2년 계약시) 1. deposit- 2달치 집세 첫째달 rent는 advance로 같이 내므로 세달치 렌트를 한번에 냄. 2. agency fee- 한달치 rent (SGD 2500불 이상일경우에는 집주인이 agency비용을 낸다고 들은 것 같아요) 아마 agency 비용에 추가로 stamping charge가가 200불인지 그 정도 더 들은 것 같아요. 제가 알기로는 집주인과 nego에 따라서 몇달 더 연장하는건 가능 하다고 들었구요. 어떻게 tenancy agreement를 맺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저같은 경우에는 rent는 다른게 하나도 포함이 안되서 cable TV, 인터넷, 가스, 전화, 전기 이런거 다 제가 부담해야 하거든요. 이런거 다 하는데 아마 deposit들을 각각 내야하고, 그래서 돈은 꽤나 들었던것 같습니다.. (자세한 비용은 사실 기억이 안나네요..) 그리고 air conditioing matenance도 제가 내야하구 (아직 안받아봐서 모르겠지만..) 아..에어콘 같은 경우에는 maintenance를 받았다는 증명이 있으면 만약에 고장나서 SGD 100불이상 나올경우에는 집주인이 부담한다는 조항이 들어있었든듯.. 각각의 breakdown은 모르겠지만, 저같은 경우에는 lumpsum으로 매달 utility 비용만 300불정도 잡았는데 (deposit 불포함) 그 정도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저도 아직 이사온지 1달 겨우되서 ^^;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아.. 그리고 여기서 은행계좌 여실려면 적어도 SGD 500불 예치 하셔야 하구요, 신용카드 만드실려면 (UOB같은데는 외국인의 경우 연봉이 SGD 80,000 이상이어야 신용카드를 만들어주더라구요.. 그게 아니면 collateral minimum deposit이 만불인가 그랬던듯...) 돈이 필요하실 수도 있구요.. 다른 은행들은 좀더 기준이 낮았던 것 같네요... >1년 계약시에는 1500불 짜리 콘도 가정을 할때,.. >데파짓 1500불 >선불 방세 1500불 >에이전시 750불 >1.여러 가지 개통할때 드는 비용(전기 전화 인터넷, 티비등,,,)도 궁금합니다 > >2.그리고 만약 기간이 1년이 아닌 1년 4개월정도로 제가 좀 더 머무르게 되면 어찌 되는지,,,그냥 몇달 연장 하면 되는건가요? > >3.다른 목돈이 드는 경우가 있는지,, 제가 놓치고 있는부분이 있다면 도움글 주세요 >그럼 미리 감사드리며 총총~     

Q

NO.24

기타1년계약된 스튜디오에서 빠져나오는 방법 좀...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etoile() 2005-02-03
추천수 : 14 조회수 : 1,249

차이나타운MRT에서 근처에 1년 계약으로 2005년1월10일경에 스튜디오(원룸)를 얻었습니다. 살아보니..회사는 탄종파가MRT바로 앞이라 역은 불과 2개만 가면 되는데, 중간에 OUTRAM에서 한번 갈아타야되고, 직행버스는 없고...천상 걸어가기 아니면 택시타기가 되더…

  • A

    >차이나타운MRT에서 근처에 1년 계약으로 2005년1월10일경에 스튜디오(원룸)를 얻었습니다. >살아보니..회사는 탄종파가MRT바로 앞이라 역은 불과 2개만 가면 되는데, >중간에 OUTRAM에서 한번 갈아타야되고, 직행버스는 없고...천상 걸어가기 아니면 택시타기가 되더군요 >그래서 주인하고 잘 말해서 나오고 다른 콘도로 옮기고 싶은데, >계약내용 중에 10개월이 되기 전에 나가면 (10개월-거주개월수) 만큼의 월세를 더 내야 한다는 규정때문에 걸립니다. > >부동산중개하시는 분 중에서 (아니라도 상관없음) >(1) 주인하고 얘기해서 양해를 얻어주시고 >(3) 도시외곽으로 콘도를 소개해주시면 > 제가 소개비에 약간을 더 얹어서 드리겠습니다.(중개비=한달집세*55%) 다른사람을 대체해놓고 나오셔도 됩니다. replacement 라고 하지요. 주인에게 에이젼 비용도 물어내야 합니다. 잘 해결되길 바라겠습니다. >혹시 이집에서 계약사항에 걸리지 않고 나오는 방법만이라도 아시는 분이 있으시면 >답변부탁드립니다. > >제 전화번호는 9671-4032 입니다     

Q

NO.23

기타[문의]에어콘 점검 비용은 어느정도 인가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click(jerry72) 2005-01-23
추천수 : 32 조회수 : 1,134

안녕하세요. 콘도의 에어콘 점검에 대해 물어보려구요. 곧 처음으로 콘도의 에어콘을 점검해야 하는데, 어느정도의 비용이 드는지요? 엊그제인가, 우편함에 광고로 에어콘 점검을 해주는 것에 대해 온거 같은데.. 80달러라고 하더라구요. 일의 범위는 cooling coil 브…

  • A

    이정도면 잘하는거 같은데요 그런데~ 가격이 에어컨 하나마다 80불이라는 소리는 아니겠죠? 보통 작은집 에어컨 3개 청소하면 100불 정도 나온다고 들었는데 제일 좋은방법은 집을 소게시켜드린 에이전트에게 물어보세요 혹씨 그 사람이 쓰고 있는 사람이 있는가고요 에이전트가 그런것도 가르쳐 주고 하는데... > >안녕하세요. >콘도의 에어콘 점검에 대해 물어보려구요. >곧 처음으로 콘도의 에어콘을 점검해야 하는데, >어느정도의 비용이 드는지요? >엊그제인가, 우편함에 광고로 에어콘 점검을 해주는 것에 대해 온거 같은데.. >80달러라고 하더라구요. >일의 범위는 >cooling coil 브러쉬 청소 >drainage pipe 청소 >연결 점검 >필터 청소 >커버 청소 >콘덴싱 부분 부러쉬 청소 >가스 레벨 점검 및 채움(필요한 경우-무료) >누수 점검 >이렇게 나와 있더라구요. > >이 금액이면 적당한 금액인가요? 그리고 여기 나온 정도의 점검이면, >콘도 계약서에 나오는 정기적인 에어콘 점검이 되는 것인가요? > >고맙습니다. > >     

Q

NO.19

기타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합니까?..너무 억울해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아지랭이() 2004-10-07
추천수 : 20 조회수 : 1,406

도움의 말씀을 듣고자 이곳에 적어봅니다. 저희는 싱가폴에서 회사에서 랜트해 준 집에서 살았는데 부득한 사정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집 문제가 가장 큰 고민꺼리였는데 ..계약기간을 못 채운 관계로(집주인과도 협의가 잘 되지 않고 우리도 급해져서)나머지 달을 …

  • A

    싱가폴 노동부(MOM)와 직접 협의하시기 바랍니다. 싱가폴에서의 세금은 한국처럼 회사가 미리 월급에서 대납하는 게 아니라서, 회사에서 세금을 근거로 월급을 붙들고 있을 수 없습니다. 싱가폴 세무서에 방문하셔서 직접 세금을 완납하시고 가셨으면 좋았을 것을... 아마도 그렇게 장기간 일하지 않았으면, 세금을 안낼 수도 있었을텐데... 지금이라도 싱가폴 방문하셔서, 다 정리할 것 정리하시고... 집에 관해서도 2년 계약이었다면, 그것도 필자님을 위한 계약이었다면,  2달치 디포짓은 맞겠지만, 필자님이 싱가폴을 떠나는 것으로, 일단 계약 해지의 사유가 발생했고, Diplomatic Clause(싱가폴을 떠날 경우 계약 해제 문구)가 계약서에 들어 있는지 확인도 해야 할 것 같고...  들어 있다면 바로 해약이 될 수 있고, 안들어 있더라도, 계약 기간의 반이 지나면 통보후 해지가 가능하거든요.. 제가 보기엔 우선 노동부에 가서 월급을 안주고 있다고 Report하고..  그러면 바로 해결이 될 것 같습니다.  월급을 한달이상 미루면, 바로 처벌받도록 되어 있는데.... 아니, 여기 법은 회사 그만 둘때 그날로 모든 월급을 정리해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mom 사이트에 들어가서 노동 관련 법을 들여다 보시고,,,,, 아뭏든 그냥 대화로 하기엔 너무 상대적인 약자이네요... 도저히 안되면 저에게 의논을 하세요. 9181-2898 >도움의 말씀을 듣고자 이곳에 적어봅니다. > >저희는 싱가폴에서 회사에서 랜트해 준 집에서 살았는데 부득한 사정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집 문제가 가장 큰 고민꺼리였는데 ..계약기간을 못 채운 관계로(집주인과도 협의가 잘 되지 않고 우리도 급해져서)나머지 달을 회사의 요구에 따라 물어주고 그만 두게 되었습니다. >남은 기간 쓸수 있는 권리는 있어서, 비어있는 것이 아까워  조카에게 어학 연수를 추천하고 몇달 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봉급도 회사가  세금 정산 후 준다고 해서 마지막  2달치를 주지 않았는데요.. 한달이 지난 지금 월급을 은행 구좌로 넣어 주겠다고 하면서 .. 근데 회사가 집주인에게 주고있는 집에 대한 2달치 에 해당하는 금액의 디파짓을  우선 빼고 주겟다고 합니다. >우리는 너무 황당해서 그런 것은 회사와 나의 계약서에 없지 않느냐..디파짓은 회사와 주인과의 문제가 아니냐..모두 확인 사인하고 금전적 정산을 하지 않았냐고 ..싱가폴을 떠난 지금 와서 왜 그런 소리를 하느냐..너희 들이 세금문제 때문에 킵한다고 해놓고 왜 딴 용도로 남의 돈에 손을 대느냐고 햇더니.. >이것이 외국근로자에 대한 노말 법이라고 합니다. >여러분 정말 그렇습니까? >저들이 떼어 먹진 않겠지만 디파짓을 우리에게 받아 둘려고 하는 의도는 절대 자기들이 집주인한테 손해 보지 않으려고 하는 의도 같은데요.. >그래도 기분이 나쁩니다. 어떻게 저들 마음대로 남의 개인 재산에 손을 대는지.. >그것도 본인도 없고 영수증 하나 않만드는 상태에서 말입니다.. >싱가폴에서 마음고생, 금전적인 피해가 너무 많았는데.. >또다시 물귀신처럼 물고 놓아주질 않네요.. >여러분 제가 과민 반응하는 건가요.. >혹 경험이나 이에 대해 아시는 것이 있는 분들..충고나 조언 좀 주세요 > >모두 싱가폴에서 행복누리소서..     

  • A

    IRAS에 의하면 회사측에서는 법적으로 처리하고 있는겁니다 회사가 직원을 들이고 EP를 발급해준이상 회사는 그 직원의 세금에대한 책임을 져야지 됩니다 회사는 직원이 싱가포르를 떠난다면 직원의 세금이 해결될떼까지 세금을 커버할 만큼의 월급을 담보로 잡고있어야합니다 이것은 싱가폴의 법입니다 www.iras.gov.sg 에 Tax Clearance for Foreign Employees  를 참고하십시요 IRAS에 의하면 직원이 싱가포르를 떠나기 전에 세금을 보고하고 처리한경우에는 회사쪽으로 직원에게 돈을 내주어도 된다는 통지서가 갑니다 하지만 님이 싱가포르를 뜨실떼 세금을 다 내고 가시지 않으셨다면 회사가 세금보고를 하고 IRAS에서 30일 내에 클리어 해주도록 되어있읍니다 회사와 님과 사이에 게약에 따라 다르겠지만 회사측에서 집을 얻어주었다 하더라고 집을 쓴사람이 집에 책임을 져야지 됩니다 아직 집이 집주인 손에 넘어가지 않았기 떼문에 회사에서는 디파짓을 잡고있는것입니다 님이 싱가포르를 떠나실떼 집을 비워놓았더라도 집을 채크를 하고 넘겨주셨다면 이런일은 없었을겁니다 집을 깨끗하게 쓰셨고 아무런 하자가 없다면 디파짓을 돌려받으실겁니다 하지만 보통 집주인이 트집을 잡는다하면 님은 어쩔수 없이 물어내셔야 하겠네요 회사측에서는 정당하게 하고있는것입니다 저도 똑같은일을 당했어서 말씀드리는겁니다 >도움의 말씀을 듣고자 이곳에 적어봅니다. > >저희는 싱가폴에서 회사에서 랜트해 준 집에서 살았는데 부득한 사정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집 문제가 가장 큰 고민꺼리였는데 ..계약기간을 못 채운 관계로(집주인과도 협의가 잘 되지 않고 우리도 급해져서)나머지 달을 회사의 요구에 따라 물어주고 그만 두게 되었습니다. >남은 기간 쓸수 있는 권리는 있어서, 비어있는 것이 아까워  조카에게 어학 연수를 추천하고 몇달 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봉급도 회사가  세금 정산 후 준다고 해서 마지막  2달치를 주지 않았는데요.. 한달이 지난 지금 월급을 은행 구좌로 넣어 주겠다고 하면서 .. 근데 회사가 집주인에게 주고있는 집에 대한 2달치 에 해당하는 금액의 디파짓을  우선 빼고 주겟다고 합니다. >우리는 너무 황당해서 그런 것은 회사와 나의 계약서에 없지 않느냐..디파짓은 회사와 주인과의 문제가 아니냐..모두 확인 사인하고 금전적 정산을 하지 않았냐고 ..싱가폴을 떠난 지금 와서 왜 그런 소리를 하느냐..너희 들이 세금문제 때문에 킵한다고 해놓고 왜 딴 용도로 남의 돈에 손을 대느냐고 햇더니.. >이것이 외국근로자에 대한 노말 법이라고 합니다. >여러분 정말 그렇습니까? >저들이 떼어 먹진 않겠지만 디파짓을 우리에게 받아 둘려고 하는 의도는 절대 자기들이 집주인한테 손해 보지 않으려고 하는 의도 같은데요.. >그래도 기분이 나쁩니다. 어떻게 저들 마음대로 남의 개인 재산에 손을 대는지.. >그것도 본인도 없고 영수증 하나 않만드는 상태에서 말입니다.. >싱가폴에서 마음고생, 금전적인 피해가 너무 많았는데.. >또다시 물귀신처럼 물고 놓아주질 않네요.. >여러분 제가 과민 반응하는 건가요.. >혹 경험이나 이에 대해 아시는 것이 있는 분들..충고나 조언 좀 주세요 > >모두 싱가폴에서 행복누리소서..     

  • A

    답변들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세금 계산 떄문에 월급을 미룬 것은 이해한 상황이어서 문제가 않되는데요.. 제가 답답한건 우리와 회사에 이루어진 집 계약서에는 주인이 허용하거나 파기해 주지 않고 우리의 사정에 의해 집 계약기간을 못채우게 되면,, 나머지 기간에 대한 금액(집세)을 우리가 물어야 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살건 열쇠를 회사에 맡기고 가든 상관없이 없다고 했습니다. 계약 완료일까지요.. 그래서 물어 준 거고요.. 그때까지만 해도 우리가 순순히 따르니까 ,분위기 좋게 그 문제가 끝났습니다, 그런데 지금의 문제는 그 계약서에 디파짓을 우리가 저희들(회사)에게  맡겨야 된다는 것은 명시 되어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회사와 집에 대한 금전적 계산을 다 완료하고 왔는데.. 그때 까지 아무말  없다가 사람을 보내 놓고 이제와서 저의 월급(개인 재산아닙니까..)을 줄때 되니까 갑자기 디파짓 얘기를 꺼내면서 월급에서 빼겠다는 게 납득이 안간다는 겁니다. 본래 디파짓은 무슨 문서상 이루어지는 (사인도 들어가고..법적 증거가 될만한..)과정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닙니까. 나중에 딴 소리하면 그냥 메일 한장 온걸 가지고 주장해야 하나요? 악덕 주인한테 걸려서 디파짓 못 받으면 회사가 우리한테 줄리도 없고 이미 회사 그만 둔 외국인을 위해 회사가 나서서 싸워 줄리도 없을 것 같고요.. 회사가 장난 칠수도 있고요.. 저는 사실 싱가폴에서 너무 당한 일이 많아서 그들을 잘 믿지 못하겠습니다. 개인들이나 단체나 너무 이기주의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서.. 가끔 싱가폴에 있는  어학원에서 학생비자 디파짓을 못 받아내서 고생한다는 얘기도 많이 들었고요.. 하여튼 그곳은 나에게 타국이고 그곳에 없다는 자체가 너무 불리하군요.. 회사에 어떻게 부당함을 주장해야 할지 모르겠군요.. 괴롭습니다. >도움의 말씀을 듣고자 이곳에 적어봅니다. > >저희는 싱가폴에서 회사에서 랜트해 준 집에서 살았는데 부득한 사정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집 문제가 가장 큰 고민꺼리였는데 ..계약기간을 못 채운 관계로(집주인과도 협의가 잘 되지 않고 우리도 급해져서)나머지 달을 회사의 요구에 따라 물어주고 그만 두게 되었습니다. >남은 기간 쓸수 있는 권리는 있어서, 비어있는 것이 아까워  조카에게 어학 연수를 추천하고 몇달 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봉급도 회사가  세금 정산 후 준다고 해서 마지막  2달치를 주지 않았는데요.. 한달이 지난 지금 월급을 은행 구좌로 넣어 주겠다고 하면서 .. 근데 회사가 집주인에게 주고있는 집에 대한 2달치 에 해당하는 금액의 디파짓을  우선 빼고 주겟다고 합니다. >우리는 너무 황당해서 그런 것은 회사와 나의 계약서에 없지 않느냐..디파짓은 회사와 주인과의 문제가 아니냐..모두 확인 사인하고 금전적 정산을 하지 않았냐고 ..싱가폴을 떠난 지금 와서 왜 그런 소리를 하느냐..너희 들이 세금문제 때문에 킵한다고 해놓고 왜 딴 용도로 남의 돈에 손을 대느냐고 햇더니.. >이것이 외국근로자에 대한 노말 법이라고 합니다. >여러분 정말 그렇습니까? >저들이 떼어 먹진 않겠지만 디파짓을 우리에게 받아 둘려고 하는 의도는 절대 자기들이 집주인한테 손해 보지 않으려고 하는 의도 같은데요.. >그래도 기분이 나쁩니다. 어떻게 저들 마음대로 남의 개인 재산에 손을 대는지.. >그것도 본인도 없고 영수증 하나 않만드는 상태에서 말입니다.. >싱가폴에서 마음고생, 금전적인 피해가 너무 많았는데.. >또다시 물귀신처럼 물고 놓아주질 않네요.. >여러분 제가 과민 반응하는 건가요.. >혹 경험이나 이에 대해 아시는 것이 있는 분들..충고나 조언 좀 주세요 > >모두 싱가폴에서 행복누리소서..     

Q

NO.18

기타콘도 렌탈 계약시 비용..이게 맞나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click(jerry72) 2004-09-15
추천수 : 10 조회수 : 1,302

안녕하세요. 콘도뿐 아니라 방 렌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는데, 만약 월세가 1500 이라면 1년 계약시, 월세 1500, 디포짓 1500(한달치) 그리고 에이전트 비용이 1500 이 나가는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에이전트 비용은 주인과 반반으로 나누어서 750 이 나가는…

  • A

    모든 계약은 당사자 간의 약속이라는 취지에서 보면, 만일 부동산 중개업자가 1년 계약에 한달치 수수료를 달라고 했을 경우에는 처음부터 못주겠다고 해서 계약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제 경우에도 좋은 조건으로 계약하기 위해서 1500불 1년 계약에 1000불을 에이전트 비용으로 지급한 일이 있었지요.... 마찬가지로 Diplomatic Clause도 주인이 반대하면 못넣지요... 처음부터 부동산 업자에게 얘기하기 보다는, 계약 단계에 가서, 계약서를 갖고 만나자고 할때, 혹, 내가 EP나 비자에 문제가 있어서, 싱가폴을 떠나야 할 경우에는 어떻게 하냐고 얘기하면 대부분의 agent가 친절하게 넣어줍니다. 올해초부터 3번 계약하면서 3번 다 diplomatic clause는 집어넣었거든요... 근데, 얘기 안하면, 절대로 집어넣어 주지 않지요... 일반적인 사항입니다. 1년 계약이면 Agent 비용은 반달치만 내면 되구요(주인쪽은 신경쓰지 마시길...) 1년 계약이면, 6개월 살고 난 뒤에, 1개월 전에 노티스하면 계약 해지 가능합니다. 만일 agent가 모르는 척하면, 다음 문구를 한번 고려해보세요.. The tenant is entitled to preterminate the tenancy by giving at least one months written notice if the tenant is transferred out of Singapore permanently by his organization or cease to be employed by the tenant. or Notwithstanding anything herein contained the said term may at any time after the expiration of the first six months of the said term be determined on documentary evidence that the main occupant Mr. ....... has ceased or is about to cease to be employed in Singapore and is to be posted out of Singapore permanently during the said term and the Tenant gives to the Landlord one(two) calendar months notice in writing of the Tenants intention to determine the tenancy of one(two) months rent and hiring in lieu of such notice. > >안녕하세요. >콘도뿐 아니라 방 렌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는데, >만약 월세가 1500 이라면 >1년 계약시, 월세 1500, 디포짓 1500(한달치) 그리고 에이전트 비용이 1500 이 나가는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에이전트 비용은 주인과 반반으로 나누어서 750 이 나가는게 맞는 것인가요? > >계약 해지시 2달 노티스가 맞나요? 한달 노티스가 맞나요? >전에 정부아파트서 살았을때, 한달 노티스였던거로 기억하거든요. > >그리고, 비자문제시 계약기간 이전에라도 해지할 수 있다는 문구를 넣으라는 조언이 있는데, 이때에도 노티스 기간은 지켜야 하는건가요? 아님 노티스 없이도 해지 가능하다는 내용의 문구를 넣어야 하는 것인가요? > >콘도로 검색해서 꽤 많은 글을 읽어봤는데도 헷갈리네요..^^; > >아시는 분 도움 부탁드립니다...그럼..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