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기타
  • [싱가포르] 10월 버스 대절 및 기사님, 현지 코디네이터까지, 2박3일간 일정 문의
  • alsdkjfh (dbsgkdud02)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0%
  • 2024-08-26 14:04
  • 답글 : 2
  • 댓글 : 0
  • 1,788
  • 0
안녕하세요? 

10명 가량 2박3일 일정으로 비즈니스 출장을 계획하고 있는데, 혹시 세팅 가능한 업체 추천 가능할까요?


상세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차량 : 20인 탑승 가능한 차량
  • 10월 14일(일) 싱가프로 도착, 공항 - 호텔 (공항 픽업/센딩)
  • 10월 15일(월) 호텔 - 외부 일정 (9시간)
  • 10월 16일(화) 호텔 - 외부 일정 (6시간 이내)

- 현지 코디네이터 : 한국어 영어 통역이 가능한 인원 1인 + 식당 추천 및 예약 

만약에 이게 가능한 업체 아신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답변]
  • Re: [싱가포르] 10월 버스 대절 및 기사님, 현지 코디네이터까지, 2박3일간 일정 문의
  • 에메랄드캐슬 (cnrhg)
  • 답변 : 45건
  • 답변채택률 : 11.11%
  • 2024-08-26 20:44

쪽지드렸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Re: [싱가포르] 10월 버스 대절 및 기사님, 현지 코디네이터까지, 2박3일간 일정 문의
  • 은적 (firstpak)
  • 답변 : 8건
  • 답변채택률 : 0%
  • 2024-08-28 11:35

쪽지 드렸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2935

부동산싱가포르 부동산과 위치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사막의초승달(lightho) 2025-01-01
추천수 : 0 조회수 : 1,668

싱가포르 지역 및 부동산에 대해서 관심이 생겼는데요. 아래와 같이 궁금한 점 종합해서 문의드립니다. 혹시 알려주실 싱가포르 고수님들 계시나요? 1. 레드힐역과 티옹바루역 지역은 한국의 어느 지역으로 보면 될까요? 2. 싱가포르에서 직장 다닌다면 어느 지역에 거주하면 가…

  • A

    1. 싱가포르와 한국 서울의 지역을 정확히 매칭하기는 어려움이 있지만 레드힐과 티옹바루는 중상급 이상의 부동산 가격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업무지구와 가깝지만 교육 인프라는 뷔킷티마/비샨 지역에 비해서 약하기 때문에 강남구에 인접한 서울의 구들 가운데서 강남구보다 교육인프라가 낮아서 부동산 가격이 그만큼은 되지 않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실거 같아요. 티옹바루 지역은 오래된 HDB들과 힙한 로컬 문화가 퓨전돤 상업시설이 뒤섞여 - 유명한 티옹바루 베이커리 같은 로컬 스토어의 탄생지이기도 합니다. 레드힐은 HDB들의 가격이 높고 마가렛드라이브 다원지역의 백만불이 넘는 최신공법의 HDB 단지와 초역세권 콘도들도 많아서 부동산 가격이 높습니다. 굳이 구의 위치로 따지자면 동작구나 서초구 교대역 부근/ 힙한 로컬상점을 본다면 성수동? 같은 느낌도 섞여있다고 보시면 됩니다.2. 자녀유무 (학교)와 본인이 선호하는 인프라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지하철이 워낙 잘되어 있으니까 1인 또는 커플이라면 통근시간 도어투도어 30~40분 내외로 더 떨어졌지만 집가격이 낮은 곳을 선택하여 생활비나 저축부분에 버퍼를 더 가지고 갈 수 있구요. 자녀가 있다면 교육여건이 더 좋은 곳 (아이를 등록시킬 수 학교가 정해진 후) 주거지역을 정하는 것이 나중에 집계약을 번복하거나 여러 변수를 좀 더 컨트롤 하실 수 있습니다.3. 프라퍼티구루에 나온 그 지역 방2 HDB (싱가포르에서는 3room flat) 은 2900~3500 SGD 로 매물이 올라와 있습니다. 여기에서 10%정도 네고 가지고 가신다면 조금더 낮게 보셔도 되구요. 예시 부동산입니다.https://www.propertyguru.com.sg/listing/hdb-for-rent-26-jalan-klinik-21282369이 지역의 HDB들은 집을 분양받아서 오랫동안 살아온 1세대 주인들이 주거하던 곳고, 그러한 집을 물려받아서 자식이나 손주대에서 레트로하게 레노베이션을 해서 건물 자체는 오래되었으나 인테리어는 마치홍콩의 영화를 보는 것처럼 멋진 집들도 있습니다.특히 코로나 기간 동안 싱가포르도 레노베이션 열풍이 불어서 사람들이 미친듯이 집을 고쳤거든요 ㅎㅎㅎ손품 발품 잘 팔아보시기 바랍니다.저는 부동산 전문가나 에이전트는 아니고 싱가포르에 15년 동안 거주하고 쭉 HDB에만 살고 있어서, 또 임장을 다니면서 각 동네 특징을 파악해보는 것을 좋아하던 일반인 입니다.https://blog.naver.com/drhelenkimsg/222145944999감사합니다.닥터헬렌 드림

  • A

    안녕하세요. 아래 참고 하시면 싱가포르 부동산 정보 이해 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 입니다. 싱가포르 집구하기 렌트, 싱가포르 집구하기 완.. : 네이버블로그

Q

NO.2933

부동산콘도 도중 퇴실할라고 하는데 보증금 전액을 주지 않는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Newt(newt12312) 2024-12-31
추천수 : 0 조회수 : 1,514

안녕하세요. 제가 싱가포르에서 2달째 콘도 룸랜트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집에 들어갈때 따로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보증금과 월세내고 바로 들어온 케이스입니다. 계엄령으로 인한 환율 인상으로 1550싱달러 주고는 생활이 힘들어져서 도중 퇴실 할라고 하는데 그러면 보증금 …

  • A

    상황을 들어보니 많이 속상하실만 합니다.계약에 의해서 8개월 살기로 하고 보증금을 냈는데 그 기간을 다 못채웠을 때 보증금을 전액 다 돌려주지 않는 것이 싱가포르에서는 가능하다 입니다.내가 보기에 엄청 더럽고 낡은 전자제품인데 쓰자마자 고장이 났는데 나에게 새로 사오라고 요청하는 것이 싱가포르에서는 가능하다 입니다.한국과 싱가포르는 계약/사람들의 사고 방식이 매우 다릅니다.한국의 정치적 상황으로 환율이 뛰고, 게다가 돈버는 직장인도 아니고 학생인데, 내가 어려운 사정에 계약을 못지키게 되었다 하더라도 싱가포리언의 부동산 계약 문화는 대부분 처음에 맺은 계약에 준해서 일처리를 한다는 것입니다.따라서 한국의 식대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지 말고 내가 생각할 때 부당하거나 - 전자렌지에 음식을 넣는 것도 매우 끔찍할 정도의 더러움이네요할 때는 미리 이의 제기를 하고 내 의사에 대한 상대의 의중을 먼저 확인하는 것이 싱가포르에서는 가장 안전한 거래입니다.한국은 영수증만 들고가면 변심에 의한 환불이 잘 되지만 싱가포르는 낙장불입 문화입니다.따라서 물건도 내가 정말 확실할 때만 사는 것이 안전한 생활법입니다.저희도 3년 산 집, 2년산 룸렌트에서 미리 고지했지만 계약서상 지켜지지 않은 날짜에 대해서 주인은 그대로 일처리를 했습니다.싱가포르 거주 초기라서 이 사람들은 전부 돈독이 오른 중국놈 인도놈 아니 말레이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했었어요.그러나 15년차에 들어서니 인정에 의한 사정변경이 한국이 유난히 좋은 상황이라는 것을 알았고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특히 서구권의 영향을 받은 곳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문서로 대화로 불확실한 부분을 짚고 가는 것이 나를 보호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속상하시겠지만 집주인이 너무 악덕이라서 질문자님께만 심하게 대하고 이것을 누군가가 도와서 해결할 상황이라고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다음에 더 큰 돈을 지불할 어떤 계약에 대해서 예방주사를 맞았다고 생각하시고 싱가포르나 해외 생활에서 한국과 다른 계약문화를 잘 인지하셨으면 합니다.감사합니다.닥터헬렌킴 드림

  • A

    계약서가 따로 없다면 보증금은 집주인이 되부분 마음대로 할 수 있어요...보통 집 계약서로 통해서 만약에 귀국을 하게된다면 남은기간 어떻게 보증금을 받을지 명시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전제품들도 보통은 계약서에 Excess 얼마인지 측정하여 만약 150불이상 나오면 처음 150불은 랜트하고 있으신분이 내고 그 이상으로 나오는거는 집주인이 부담하는식으로 되어있습니다. 좋은 주인도 있지만 거의 극소수라고 생각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집주인들이 새입자 골르는것처럼 새입자도 집주인을 봐가면서 골라야된다는점 주의 하셔야됩니다. 저 또한 20년 동안 수많은 집들을 랜트하면서 쌓아온 경험 바탕으로 말씀드리는겁니다. 학생분 입장에서는 1550불이 큰 금액일수도 생각될수 있습니다만 시간도없는 상황에 아주 비싼 교훈을 얻었다고 생각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Q

NO.2928

생활임산부를 위한 의료보험 준비 어떻게 해야할까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정세(yongho12345) 2024-12-06
추천수 : 0 조회수 : 1,370

지금은 한국에 살고 있고, 2월부터 싱가포르에서 근무하게됩니다.와이프가 임신을 해서 (현재 9주차) 싱가포르에 가면 산부인과에 다녀야 합니다.병원비가 많이 들 것 같은데, 가기 전에 한국에서 여행자 보험 같은걸 들고가야 할지, 현지에서 의료 보험을 따로 들어야 할지 모…

  • A

    싱가포르는 아시다시피 의료비용이 비싼 편에 속하기 때문에 국립병원을 가느냐 사립병원을 가느냐에 따라 나뉩니다. 저를 포함한 제 주변(싱가포르 사람 & 한국인 5쌍 부부 기준)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2022년 국립병원(KKH)을 기준으로, 산부인과 검사 비용(임신 9개월까지 병원방문 및 검사비용)은 대략 3~4천 달러선에서 정리가 가능합니다. 2022 ~ 2023년 사립병원(Thomson, Mount Elizabeth, Mount Alvernia Hospital )은 산부인과 검사 비용은 대략 6~7천 달러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출산 시 비용인데, 사립은 만 달러부터 시작입니다.(자연분만 기준) 제왕절개(C-sec) 하시면 만 오천에서 이만 달러 정도 나옵니다. 자세한 비용은 병원홈페이지에 다 나와있습니다. 요즘 ChatGPT 사용하시면 자연분만 기준으로 자세하게 다 나오니, 회사에서 지원이 없고 본인이 생각히신 예산보다 초과하신다 싶으시면(여행자보험은 제가 해본적이 없어 어느 정도 금액까지 커버해주는 지 몰라 추천이 어렵네요..) 추가적인 현지 보험을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A

    이미 임신한 경우 임신 출산 관련 보장되는 의료보험은 가입 안 시켜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현실적방안으로는 회사에서 단체보험이 가입되어 있으면 배우자 추가 가능한지 여부 확인이 우선 필요할 것 같네요. (이 경우 보험청구가능 범위 및 절차는 알아보셔야 할 것 같아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