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완료
  • 부동산
  • 해외에서 룸렌트 계약시 주의사항
  • 수박퍼 (lxdlxd)
  • 질문 : 5건
  • 질문마감률 : 60%
  • 2024-05-18 00:13
  • 답글 : 1
  • 댓글 : 1
  • 494
  • 1

현재 한국에 있구요 딱 입주일에 맞춰 입국하고 입주할 생각입니다.

실제뷰잉을 못하는 채로 계약을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1. 실제로 보지 못하여 방내 하자들은 아마 계약후 확인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계약서 조항 grace period 내의 리포팅으로 해결이 될까요? 

큰 하자들을 고치는 것도 고치는 건데 나갈때 여기저기 조금씩 지적해서 디파짓을 떼였다는 소리를 너무 많이 들어서요. 



2. 이건 제가 현지에 살지 않으니 약간 헷갈리는건데 어디선 그냥 에이전트 없이 구하라라는 소리가 있고 에이전트 끼고 구하라는 소리가 있네요...

장단점이 있는건가요? 현재는 프로퍼티 구루랑 99.co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보지않고 계약이 너무 리스키하다 생각되면 확답은 주고 하루이틀 일찍 들어가 계약할까도 생각 중이긴 합니다 ㅠ



  • [질문자 채택답변]
  • Re: 해외에서 룸렌트 계약시 주의사항
  • 에메랄드캐슬 (cnrhg)
  • 답변 : 36건
  • 답변채택률 : 13.89%
  • 2024-05-18 11:45

룸렌트를 하면서 에이전트를 끼고 하는 경우는 잘 없구요, 

프라퍼티 구루와 한국촌 부동산 사이트를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위치와, 가격, 방 상태를 짐작하고 구하시면 됩니다.


방 계약이 최소 6개월 이니까 집 상태와 다른 거주자와의 케미를 생각한다면 2-3일라도 저렴한 숙소에 머물면서 본인이 계약하고자 하는 방 후보를 직접 눈으로 보고, 버스정류장이나 MRT 까지의 거리, 사진에서는 볼 수 없는 청소상태나 냄새 등도 확인하고 하면 더 좋을거 같아요.


싱가포르에 처음 구직해서 오는 분들이 이곳의 부동산을 너무 한국처럼 해석해서 하나도 손해안보고 세입자가 철저히 보호되는 환경을 기대하는 것이 좀 안타깝기도 하더군요.

일전에 대학생이 자기가 계약한 방이 청소가 안되고 화장실이 더럽다고 이 게시판에 '도와주세요'라고 아주 생난리를 친 게시물을 보면서 20살이 넘어서 저정도 대응능력밖에 안되는지 안타까운 마음이 있었습니다.


가격에 비해 너무 좋아보이는 조건도 Scam도 있고, 집주인이 나중에 별것 아닌걸로 트집잡아서 디파짓이 떼이는 것이 걱정된다면 차라리 처음에 그러한 일을 당하지 않게 자기 시간과 비용을 조금 투자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행동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인연 만나시기를 바래요.

댓글목록

수박퍼님의 댓글

수박퍼 (lxdlxd)

진심어린 조언 감사합니다
혹시 뷰잉부터 LOI(이건 룸렌트도 해당인지, 홀렌트만 해당인지 모르겠네요), TA, 입주까지 보통 빠르면 며칠만에 진행되는지 아시나요?  미리 가서 보고 계약하려면 대강 얼마나 걸리는지를 아는데 물어볼 곳이 없네요 ㅠㅠ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1303

부동산계약만기 퇴거 청소조건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sing77(sing77) 2024-06-07
추천수 : 0 조회수 : 406

안녕하세요. 계약 비연장의사를 밝혔더니 아래와 같은 요청사항이 왔는데요.1)     Receipts as proof for the Air conditioners (with one time of chemical wash) and Condenser's Servicing f…

  • A

    1  계약서 보세요. 보통 렌트 기간동안 삼개월마다 청소한 영수증 첨부 하는건 맞지만 마지막에 케미컬 청소를 테넌트가 하라는건 드문 일인것 같네요. 뭐…결국 디파짓 때문에 해주고 끝내는게 나을 거에요. 안해주고 따지다가 디파짓 못받고 그 기간만큼 렌트비를 내라는둥..하면 시간. 돈. 스트레스 의 값어치가 케미컬 비용보다 비쌀거에요. 2. 커텐들이 오래되서 멀쩡해 보여도 햇볕에 삭아 있기 때문에  괜히 집에서 세탁기 돌렸다가 누더기 되면 사줘야 해요.  3. 차라리 편해요. 청소가 잘됐든, 아니든 백불 남짓으로 해결 되니까요. 내가 한다고 했다가 말도 안되는 트집 잡아 부엌 청소 두번 불합격 당해보면 결국 영수증 하나 첨부하는게 낫다 싶어요.   2. 3. 은 제 경험담 입니다. 괜히 내 몸 상하고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업체까지 지정해주고 돈으로 해결하는게 제일 쉬운길 이에요. 하라는대로 하면 되니까요. 결국 그들이 원하는건 영수증 이에요. 내가 깨끗하게 만들어 핸드오버 해 주는게 아니에요. 싱에서는 집주인이 갑이고 진짜 얼굴은 핸드오버때 알수 있죠. 내 에이전을 믿지 마세요. 그들이 해주는건 없어요. 입으로는 같이 공분해 주고 스몰코트 간다고 하면 그래라 하고 동조해 줄수는 있어도 떠나는 테넌트보다 장기적으로 집주인이 그들의 미래의 고객이기 때문에 나를 위해 싸워주지 않아요. 싸우는건 내가 하고 돈.시간.  스트레스도 다 내 몫. 원글님 랜드로드 요구사항 정도면 일반적인 수준 이에요. 

    1
  • A

    1,2,3번 모두 일반적인 사항이예요.에어컨 케미컬은 마지막에 하라는게 아니고 거주 기간 2년 동안 최소 한번의 케미컬을 했었는지를 확인하는 거예요. 2년안 케미컬 한번 안했다면 마지막에 디파짓에서 뺄 수 있어요. 거주 기간에 깨끗하게 사용했는지 여부보다는 집주인 입장에서는 사실 영수증이 필요한거 라서요. 왜냐면 다음 세입자에게 보통 에어컨, 커튼, 청소가 전문업체가 했다 라고 보여주는게 주목적이라서 집을 구할때 에이전트가 보통 여기 저기 청소/빨래 영수증을 보여주는 이유죠. 그래서 세입자가 스스로 깨끗하게 청소해도 집주인이 오케이할지 여부는 집주인에 따라서 달라요. 전문업체가 청소/빨래한 영수증이 없으니까요. 커튼은 사용안하면 입주 전에 가져가라고 하면 됩니다. 그럼 커튼 빨래의 의무가 사라져요.

    1
Q

열람중

부동산해외에서 룸렌트 계약시 주의사항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수박퍼(lxdlxd) 2024-05-18
추천수 : 1 조회수 : 495

현재 한국에 있구요 딱 입주일에 맞춰 입국하고 입주할 생각입니다.실제뷰잉을 못하는 채로 계약을 해야하는 상황입니다.1. 실제로 보지 못하여 방내 하자들은 아마 계약후 확인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계약서 조항 grace period 내의 리포팅으로 해결이 될까요? 큰 하…

  • A

    룸렌트를 하면서 에이전트를 끼고 하는 경우는 잘 없구요, 프라퍼티 구루와 한국촌 부동산 사이트를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위치와, 가격, 방 상태를 짐작하고 구하시면 됩니다.방 계약이 최소 6개월 이니까 집 상태와 다른 거주자와의 케미를 생각한다면 2-3일라도 저렴한 숙소에 머물면서 본인이 계약하고자 하는 방 후보를 직접 눈으로 보고, 버스정류장이나 MRT 까지의 거리, 사진에서는 볼 수 없는 청소상태나 냄새 등도 확인하고 하면 더 좋을거 같아요.싱가포르에 처음 구직해서 오는 분들이 이곳의 부동산을 너무 한국처럼 해석해서 하나도 손해안보고 세입자가 철저히 보호되는 환경을 기대하는 것이 좀 안타깝기도 하더군요.일전에 대학생이 자기가 계약한 방이 청소가 안되고 화장실이 더럽다고 이 게시판에 '도와주세요'라고 아주 생난리를 친 게시물을 보면서 20살이 넘어서 저정도 대응능력밖에 안되는지 안타까운 마음이 있었습니다.가격에 비해 너무 좋아보이는 조건도 Scam도 있고, 집주인이 나중에 별것 아닌걸로 트집잡아서 디파짓이 떼이는 것이 걱정된다면 차라리 처음에 그러한 일을 당하지 않게 자기 시간과 비용을 조금 투자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행동이라는 생각이 듭니다.좋은 인연 만나시기를 바래요.

    1 채택답변
Q

NO.1300

부동산HDB 거주중입니다. 계약기간이 6개월 남았는데 ..(…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rainbow7(justice0916) 2024-03-03
추천수 : 0 조회수 : 1,520

안녕하세요저희와 같은 경험 있으셨던분들 계시면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현재 hdb에 1년 8개월 계약을 하고 거주중입니다.집주인은 해외 파견으로 이주 한다고해서 저희가 계약당시 1년8개월 계약을 체결후 상황을 보고 재연장 여부를 결정하기로 하고 들어왔습니다.hdb는 2…

  • A

    에이전에게 문의 하세요. 우리 계약서에 그런 내용른 없는데 니가 말한 HDB 룰이 뭐냐? 구체적인 근거 조항을 알려 달라. 그 룰이 우리의 계약보다 우선인지 HD의에 문의다한 후 결정 하겠다.  라고요. 아마도 MOP 를 갖고 얘기 하는것 같은데… HDB는분양 후 집주인 의무거주 기간이 있는데 예외로 집주인이 해외발령이면 인정 해 주거든요. 이 법에 대한 해석은 HDB에 문의 하시면 정확히 판단해 주지 않을까요?표준 계약서에는 HDB가 명령하면 세입자 퇴거도 가능 하다는 조항을 본것 같아요. 판단은 HDB에… 

    1
  • A

    HDB MOP는 HDB의 최소 점유 기간(Minimum Occupation Period) 의 약어로, 입주 후 첫 몇 년간(보통 5년) 동안 아파트 전체를 팔거나 임대할 수 없도록 하는 제한 사항입니다.예를 들어, 아파트에서 4년 동안 거주하고 해외에서 1년을 보낸 경우, 돌아올 때 여전히 MOP가 1년 부족합니다. 아파트를 임대 또는 판매하거나 다른 사유 재산을 구입하려면 해당 아파트에 1년 더 거주해야 합니다. 말하자면 HDB MOP 기간이 안끝나서 집주인도 오갈데가 없는 상태가 된 것입니다. MOP를 어기면 벌금이나 집을 HDB에 뺏기는 상태로 선택이 없을거예요.

Q

NO.1299

부동산싱가포르 부동산 계약 중도해지 질문입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싱가폴유학생이요(promiss1313) 2024-02-24
추천수 : 0 조회수 : 2,025

안녕하세요 제가 2024년 2월 18일에 싱가포르에서 방 계약을 했는데요.방에서 피죤 찌든 먼지 냄새가 심하게 나고 에어컨은 리모콘 작동이 안되며, 방에 1분만 있어도 손발을 포함한 몸 전체의 피부가 갈라지고 바퀴벌레, 실거미가 기어다니는 문제가 있습니다. 심지어 화장…

  • A

    룸 컨디션을 확인을 안하고 계약을 맺으셨나봐요 ㅠㅠ1. 싱가포르에서 집 계약을 중도해지 할 수 있나요?: 계약을 맺으신 이상 위약금 없이 중도해지는 불가능해 보입니다 ㅠ 2. 계약서에 부동산 계약을 취소하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나와있는데 이러면 취소는 절대 못하나요?: 집 계약을 할 때 agency 소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보상을 하라는 요청이 있을 수 있겠구요..계약 불이행으로 보증금 또한 받기 어려워 보이네요3. 제가 계약한 계약서 샘플을 타인에게 전송할 경우 법적으로 문제되는 점이 있나요?: 전혀 없습니다4. 계약을 하루빨리 해지해야 잠을 잘 곳을 구하는데 너무 걱정입니다. 유학 왔는데 돈이 떨어져서 숙박업소도 못구하고 밖에서 전전하면서 잠을 청하고 있습니다 제발 꼭 좀 도와주세요 부탁드립니다 : 일단 추가적인 부담을 덜기 위해 그 집에서 사시면서 집주인분과 위약금 등에 대해 상의한 다음에 나가는 절차가 가장 좋을 것 같은데요.. 혹시 집을 찾아준 에이전시가 있으시면 에이전시에 사정을 이야기 하고 중재를 부탁해보세요.. 좋은 마무리 하실 수 있으시길 바랍니다. 

  • A

    집주인도 집에 문제가 생기면 해결해야할 의무가 있습니다. 에이전을 통했다면 에이전 통해 방역과 에어컨 청소를 요청하세요. 리모컨도요. 요즘 리모컨 10불도 안 해요 물 냄새는 주관적인거라… 물에서 나는 냄새인지 화에실 배관에서 올라오는 냄새인지 모르겠지만 그것도 추가 해 보시고요. 계약 해지를 하더라도 그냥 내가 하고 싶다고 되는게 아니에요. 이러한 문제점들이 있고 해결을 요청했지만 묵묵부이다… 정도의 최소한 물증이 있어야 할거에요. 집계약서에 따라 다르지만 집주인의 의무사항에 대해서도 잘 읽어 보세요. 이메일. 문자 등으로 에이전과 오고간 증거 남기시고, 집주인 이멜도 CC해서 보내시던지 하세요. 벌레들 사진도 첨부하시고요.  

Q

NO.1298

부동산집 주인이 부당한 금액을 청구하며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wlsl186(geine186) 2024-02-21
추천수 : 0 조회수 : 1,409

안녕하세요, 그 동안 살던 집에서 계약 기간보다 10일 정도 일찍 핸드오버를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2022년에 집주인이 바뀌어서 2년을 재계약했으며,(계약시 diplomatic clause를 조항에 포함 시켜주기를 요청하였으나 집주인이 거절해서 어쩔 수 없이, …

  • A

    집주인 주소:  에이전트에게 연락해서 small court에 접수 하려고 하는데 집주인 주소 명기부분을 어떻게 하면 될지 물어보고, 2안은 small court 접수시는 살았던 그 집 주소를 넣으세요. 우선 집주인의 NRIC/ 계약시 줬던 신분증 copy본이 있으실 것입니다. 보통 신분증에 주소가 명기되어 있습니다. 싱패스 살아 있으시면 스몰코트 접수하시고 https://www.judiciary.gov.sg/ 파일링 번호를 집주인에게 보내세요.또한 20분 상담 몇 십불에 해결할 수 있는 법률상담도 있으니 마지막 안으로 챙겨두시구요https://singaporelegaladvice.com/law-articles/what-if-i-have-a-tenancy-dispute-or-complaint-in-singapore/한국에 나가시는 것 알고 더 늦게 주려고 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증거 자료가 충분하시고 억측이라고 생각되신다면 더 협의하려고 하지말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보통 파일링 번호를 보내면 바로 보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감사합니다.닥터헬렌킴SG 드림

    채택답변
Q

NO.1293

사업/직장EP발급현황 관련하여 질문을 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크랜필드(hsho92) 2023-10-23
추천수 : 0 조회수 : 4,418

안녕하세요. 현재 한국에서 5년정도 근무하고있는 직장인입니다.작년부터 싱가포르에 지사가 있는 유럽 회사에서 4차례 면접이 끝나고 최종 offer를 받아 2주 전에 계약에 서명하여 전달한 상황인데요.Employer측은 당연히 계약서에 Work Pass승인 시에만 채용한다…

  • A

    안녕하세요 우선 축하 드려요! 비자는 조바심 낸다고 도움 되는것도 없고 마음을 편하게 먹고 기다리는게 최선이지만 말처럼 쉽지 않죠.. 카더라+제 경험 뿐이지만 혹시 도움이 될까 알려 드립니다. EP 승인은 보통 2-3주 사이라고 공지합니다. 저는 EP를 두번 받았는데 둘 다 2주 정도 걸렸습니다. 리젝되는 경우는 여러가지지만 지금 고려해보실 수 있는건 급여 수준+회사+개인 프로필 입니다. 예를들어 20대+월급 6000과 50대 월급 8000중엔 후자가 reject 가능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숫자는 그저 예시입니다. 회사에 외국인이 많다는건 너무 걱정 마세요. SP는 quota가 있지만 EP는 공식적으로는 quota가 없기 때문에 직원들이 대부분 EP나 PR이라면 상관 없을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EP를 많이 받아본(?) 회사면 승인이 수월할 수도 있어요. 업계나 사업이 EP가 많이 승인되는 일이라는 뜻이니까요.혹시 리젝이 된다면 회사에서 딱히 설명은 없을겁니다. 회사도 정확한 이유를 알지 못하고 회사 사정 (eg. 싱가포리언을 채용에 대한 압박)과 연관되어 있을수도 있으니까요. 다만 EP가 리젝이 되고 회사에 quota가 있으면 SP를 신청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좋은 소식 있길 바랍니다.

    1 채택답변
Q

NO.1289

사업/직장wp퇴사...... 패널티 부과.. 도와주세요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진행중
irene10101(irene10101) 2023-07-06
추천수 : 1 조회수 : 5,087

안녕하세요, 질문 드립니다. 고수님들 답변 부탁해요.싱가포르 법인회사에서 wp로 일하고 있습니다. 사정상 일을 더 못하게 되었는데 계약 기간은 1년이고 반정도 근무한 상태입니다. 계약서에는 따로 계약 파기시 손해 배상이나 패널티는 언급이 되어있지 않은데, 싱가포르 법상…

  • A

    기본적으로 퇴사 통보를 1달전에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라 아마 퇴사통보를 하고 1달을 못채우고 바로 퇴사를 하셔야한다면 1달치 월급을 회사에 줘야할수 있습니다.그리고 고용유지기간이 183일 미만이라면 개인소득세 세율이 좀 높습니다.

  • A

    아마도 계약서 상에 그만두기 얼마전에 통보해야 한다는 문구가 있을거에요.그 기간 맞춰서 통보만 하면 아무런 책임 없습니다.계약 빨리 끝난다고 페널티 부과 하는건 불법이니, MOM에 알아보니 불법이라고 하더라 라고 하시면 대부분 깨깽 합니다. 아.. WP는 돌아가는 항공편도 회사에서 반드시 줘야하니 꼭 받으세요. 

    1
  • A

     따로 계약서에 내용이 없으면 노티스 주시고 그만 두시면 됩니다. 그만두는 날짜는 고용주 분하고 상의 하시고요. 그리고 wp의 경우 본국 귀국편 항공편은 고용주가 무조건 준비해 주게 되어 있습니다. 한국아닌 다른 타국으로 가시기 원하시면 본인이 구매하시고 e티켓을 HR담당자나 고용주 분께 전달 하시면 됩니다. 타국으로 가는 경우는 페이는 직접 하셔야 합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건 첫번째 댓글 달아주신 분이 말씀 하신 소득세인데요. 처음 싱가폴에서 비자를 받고 근무 하신거면 60일초과 180일 미만 근무시 변동사항이 없다면 총 소득에 15프로 세금을 내셔야 합니다. 만약  총 1만불의 소득이 있으셨다면 1500불 내셔야 합니다. 그러니 비자 발급일 기준으로 몇 달이 아닌 근무 일 수 잘 따져 보시고요. 급하신게 아니시면 좀 여유있게 근무일수를 채우시고 그만 두시는거 추천 드립니다. 그럴 경우 얼마를 버신지는 모르겠지만 200불 미만으로 나올 거라 생각 됩니다.  그리고 세금 부분 때문에 마지막 월급을 묶어 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근무자가 지불 안 하고 출국시 회사로 청구를 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가 많은데 wp캔슬 후 7일 스페셜 비자를 주니 그 기간안에 고용주가 처리 한 후 입금을 안 한다면 신고하시고 출국 하지 마세요. 하루당 페널티가 있는데 월급 미지급으로 인한 건 고용주가 물어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안 받으시고 나중에 송금해 준다는 말은 절대 믿으시면 안 됩니다. 해외라 여러 이유로 디포짓 및 월급을 차일 피일 미루는 사람들이 있는데 주는 사람도 있지만 안 주는 사람을 더 많이 봤네요. 아무조록 잘 마무리 하시길 바랍니다.

Q

NO.1288

생활싱가폴 생활 11년 차 layoff 로 귀국하는이야기 …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파랑펭귄(applesol) 2023-07-05
추천수 : 1 조회수 : 7,613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참견이 필요해서 글을 남겨요.대학 졸업 무렵 구직에 어려움을 겪고 짐을 싸 싱가폴로 온게 2012년 이었어요. 일한 경력도 없었고 영어도 못했지만 오기와 패기로 도전했고 결국 제가 목표로 한 MNC 회사 6 month contract 으로 싱가폴에…

  • A

    정말 힘드시겠어요.. ㅠㅠ 올리신 질문들 중에서 핸드폰 건만 조언을 드리자면 어느 통신사를 쓰시는지 모르겠지만 mobile number suspension이라고 수수료를 내고 지정 기간만큼 사용정지 신청을 하는 서비스가 있을거에요. 싱텔같은 경우 11불 정도 내고 12개월까지 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만약 미래 계획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정지 신청을 하시는 게 애매하다면 싱가폴에 있는 MVNO(알뜰폰) 서비스 중에 요금제 싼 곳으로 번호 이동을 하셔서 월별 요금을 지불하면서 유지하시는 방법도 있겠네요. 사실 전 후자가 더 나은 것 같은 게 우선 MVNO 요금제가 정해진 약정기간이 없고 싱가폴 생활 기반이 유지되는 상태로 가시는 거여서 한국에 계시는 동안 금융거래 OTP같이 싱가폴 번호가 필요할 일이 있을 것 같거든요. 해외 로밍서비스가 제공되는 알뜰폰 업체로 찾아보시면 될 것 같아요. 전 Gomo, My Republic, Simba 써 봤었는데 셋 다 무난하지만 개인적으로 해외에서 쓰기에는 My Republic이랑 Simba가 괜찮았어요. 번호이동 신청 자체는 굉장히 쉽습니다. 다른 부분들도 더 도움을 드리고 싶은데 제 능력이 부족해서 이것 밖에 조언을 못 드리겠네요.. 그래도 오랜 기간동안 쌓아오신 경험들과 경력이 있으니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원하시는 일을 꼭 찾으실 수 있을거에요. 힘 내세요!

    1
  • A

    일단 힘내세요! 해외에서 일하면 누구에게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고 제 주변 그리고 제 회사에서도 크게 진행되었고 또 진행될 예정이기에 남일 같지가 않네요 일단 개인의 성과나 능력과 전혀 무관한 Layoff 들이었고 막 승진한 사람들도 영향을 받고 미국에 계신 높은 분들이 서로 폭탄 돌리기 한거라 절대 의기소침하지 마시고 계속 구직활동에 집중하자구요. 글구 아마도 시기상 임팩트를 받은 부서가 HR 인거 보니 저랑같은 회사 혹 적어도 같은 산업군인거 같아 정말 남일 같지가 않아요.싱가폴서 11년을 보내신 분이면 이미 증명되신 분입니다.제가 다른건 도와드리지 못하겠지만 opening 이 열리면 내부 추천은 해드리겠습니다. 아직 저희 회사도 채용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조금씩 열리고 있으니 오프닝이 있으면 노력해볼께요쪽지 주세요

    1
Q

NO.1287

부동산부동산 중개수수료 관련 질문드립니다.

  • 답글 : 3
  • 댓글 : 6
답변완료
덥운나라(dmsskfe) 2023-06-22
추천수 : 0 조회수 : 4,365

이번에 이슌쪽에 HDB를 계약하려고합니다 약 70만달러정도 되는데부동산의 경우 중개수수료가 몇%로 측정되는지 알수 있을까요?또한 중개수수료외 추가적으로 더 드는 비용이 있을까요? 

  • A

    확실하게 아는건 아니지만 Yishun 지역에 HDB계약을 하시는데 70만불이요???어떤집인지는 모르겠지만 잘 알아보시고 맞는선택을 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보통 에이전트 비용은 거래비용 대비 수수료 1~3% 때가고 만약 에이전트가 집주인 에이전트사람이면 집주인한테 받는걸로 알고있고 쌍방으로 못받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은 보통 집주인이 부담하고 변호인 사용해서 등록하는거에 대해서 각각 내는지는 확인이 필요할것같습니다. 

    6 채택답변
  • A

    HDB 경우 1%로를 중개 수수료로 지불합니다. 그건 구매 판매자들이 각자 알아서 해요. 콘도는 판매자가 부담함. 싱가폴은 가격이 어느정도 정해져있어요 시세 말이죠. 그래서 직전 판매가격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아요. 에이젼트에 따라 수수료 할인 해줍니다. 사기당하는경우, 흥정을 조금 불리하게 하더래도, 사기는 없어요. 그래서 한국인 에이젼트 궂이 통할필요 없이 현지 에이젼트가 수수료 할인해주면 그쪽이 훨씬 유리함. 혹, 현지 에이젼트 필요하면 쪽지 주세요. 실제 구매할 의향이 있으시면 소개해드릴수 있어요.

  • A

    순수 에이전트 수수료는 0.9%+ GST 입니다. Stamp Duty, ABSD 는 준비하셔야하구요.그 외에 option grant, option exercise,  Legal fee, 보험, Resale Report, Valuation Report 등등 이런건 큰 금액들은 아니예요. 부동산 에이전트가 다 세세하게 정리해주니 걱정마세요.

Q

NO.1285

부동산싱생활을 정리하고 떠남에 있어서의 문제(남은 룸렌트기간…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갱헌이(lkh6987) 2023-03-24
추천수 : 1 조회수 : 8,770

안녕하세요작년 부푼꿈을 안고 싱가포르에서 자리를 잡아보고자 왔었는데 계획했던대로 일이 풀리지않아 싱가폴 생활을 정리할까 생각중입니다.문제는 안정적으로 생활한곳이 필요했고한국에 있는 와이프와 갓난애기가 가끔 지낼곳이 필요해작년11월경 띠옹바루부근 룸3개의 HDB를 2년 …

  • A

    안타깝네요. 일단 양도와 별개로 6개월 미만의 얼리 터미네이션이라 디파짓은 못받는다고 보셔야합니다. 문제는 디파짓 포기로 끝나지 않는다는게 일반적입니다. 집주인 입장은 이렇습니다. 세입자의 얼리 터미네이션으로 디파짓을 줘야할 이유가 없고 집주인은 렌트비를 더 올려서 받을 수 있기에 나쁠게 없어요. 근데 님의 계약 파기로 최대한 이득을 보려할껍니다. 최대한 디파짓으로 마무리하면 잘 협상하신거라고 봅니다.나머지 렌트비를 최소화하는데 집중하셔야해요. 계약이라 어쩔 수가 없습니다,그 외에 님의 렌트로 인해 지불된 집주인 에이전트 수수료도 일할 계산해서 환급하셔야해요. 제 최근 미국인 친구 사례는 10K 렌트비를 내고 살았는데 사업이 잘 안되서 10개월 가량 남았는데 미국으로 돌아가야했어요. 현재 14K 렌트비를 받을 수 있으니 나가니 고마운데 집주인은 디파짓은 당연히 줄생각 없고 추가 렌트비도 받으려는거 새로운 세입자 구해주는 조건으로 그리고 실제로 구해와서 티파짓으로 퉁치고 해결했습니다. 집주인에게 렌트비 텀이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해주는게 중요해요. 그리고 윗 분이 말씀하신대로 Subletting 도 하셨는데 집주인 동의만 필요한 콘도와 다르게 HDB는 "HDB 의 승인"이 필요한 부분이라 그 부분이 행정절차를 지켰는지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아니면 좀 곤란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최소 PR 이 HDB subletting 의 조건이기에 PR이신 형님이 이부분 잘 지켜서 처리했기를 바래요. PR 도 법안지키면 바로 회수하고 추방하는 나라라 절차가 생각보다 꽤 중요해요.  안타깝게도 집주인에게 저자세가 필요한 상황이예요. 잘 해결되시기 바랍니다. 

  • A

    계약서에 diplomatic clause가 들어 있는지 찾아보세요. 이 조항이 들어 있으면 보통 14개월 지낸후에 싱가폴을 떠나게 되면 남은 기간 렌트는 면제됩니다. 아직도 렌트비가 오름세이니 에이젼피만 글쓴분이 내고 오른 가격에 새로운 세입자를 찾아주시면 집주인이 쿨하게 디파짓 내어줄지도 모르니 힘든 상황 설명하시는 것도 방법일듯하네요. 제경우는 (10년전이지만) 제 배우자가 해외발령나서 10개월정도 저희가 살던 콘도에 제 회사동료가 들어 와서 사는걸로 계약이전하는데 집주인이 동의했고 저는 에이젼피도 내지않고 나왔습니다. 잘 해결되길 바랍니다. 

Q

NO.1284

부동산계약과 달리 집주인이 갑자기 펍비 쉐어를 하자네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Shuna(key8514) 2023-03-20
추천수 : 0 조회수 : 5,285

1년계약이고 6개월 시점에 갑자기 집주인이 펍비를 쉐어하자고 합니다.쉐어하기 싫으면 나가라고 하네요..집은 펍비 포함으로 계약하기로 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약서에 처음에 세입자가 내는걸로 적혀있는걸 제가 발견해서 줄로 긋고 집주인 사인을 받아 계약서에서 해당 내용…

  • A

    6개월 지났다고 나가라고 하면 나가는 법은 없어요 걍 계약대로 하자 하세요

  • A

    계약서에 적힌 것이 아닌이상, 불법이에요. 저도 집을 살려고 보니까 1년 월세 계약한 사람이 있다고 계약파기도 안되고 안된대요. 월세내고 거주하는분을 나가게할 방법이 없더라구요. 계약만료시까지 기다려야되요. 중간에 계약서 내용 변경은 양쪽이 합의된게 아닌이상 강제로 못해요. 아니면 입주자를 설득해서 양쪽 합의하에 하던지. 집주인이 바뀌어도 유효한 계약서에요. 계약서와 다른게 계약이후에 나온다면 스몰클레임 신청하세요. 외국인이 이런것에 대해 항의하면 잘 받아줘요. 제 지인중에서도 임금 밀린것에 대해 항의해서 로컬 회사와 분쟁에 들어갔고, 법원도 갔다오고 돈 다 받았어요. 찾아보면 관련해서 신고할만한 곳이 있을거에요. 아니면 MOM에 문의해서 이런 경우는 어디의 도움을 받아야하는지라도 물어보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