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완료
  • 사업/직장
  • 금융권 무경력 이직
  • 세정 (davbowie)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100%
  • 2022-08-20 11:58
  • 답글 : 1
  • 댓글 : 1
  • 5,369
  • 0

안녕하세요? 한국이나 싱가폴에서 금융권 경험이 있는 분께 진로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싱가폴 거주 8년 째의 한국 나이 36세 남자인데, 금융권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커리어를 갖고 있지만 증권 애널리스트를 목표로 공부하여 얼마 전에 CFA 시험 Level 3에 합격하였습니다.

 

그런데 나이가 많아서인지, 영주권자가 아니어서인지 애널리스트 롤은 연락이 하나도 안 오네요. 그래서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선택지 중에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1. 1) 싱가폴에서 그나마 연락이 오고 있는 금융권 오퍼레이션 롤 (사모펀드 운용지원, 커스터머 서비스 등) 에 입사하여 금융권 경력을 만들며 애널리스트로 이직을 모색. 단, 해당 경력은 CFA 협회에서 인정하는 업무 경력에 해당되지 않아 CFA 타이틀 획득이 늦어짐.

 

2) 한국으로 돌아가서 애널리스트 등 CFA 인정 업무 경력을 3년 간 쌓아 타이틀을 획득한 뒤 싱가폴 유턴.

 

그런데 각각의 시나리오에 걱정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1. 1) 오퍼레이션 롤로 금융권 경력을 쌓더라도 업무내용의 차이 때문에 애널리스트로의 이직 기회가 생기지 않을 경우.

 

2) CFA 타이틀이 있더라도 한국에서의 애널리스트 경력을 싱가폴에서 크게 평가하지 않아 애널리스트로 채용하지 않을 경우.

 

따라서 질문드리고 싶은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 1)과 2) 중에, 싱가폴에서 장기적으로 애널리스트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 - 1)의 경우, 오퍼레이션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애널리스트로 가는 일이 어려울까요?
  • - 2)의 경우, 한국에서 시작한 애널리스트 경력을 바탕으로 싱가폴에서 애널리스트로 활동하시는 분이 현업에 많이 계신가요?

 

긴 글 읽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위에 대해 아시는 분께서 귀중한 통찰을 나눠주시면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는 데 대단히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편안한 주말 되세요!

 

  • [질문자 채택답변]
  • Re: 금융권 무경력 이직
  • Madam! (ellenkim)
  • 답변 : 2건
  • 답변채택률 : 50%
  • 2022-08-22 08:12

외국은행 경력 20년자로써 개인적 사견을 드리자면, 싱가폴은 경력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며, 지원자의 출신,자격증은 그저 옆에서 거들뿐입니다. 그러므로, 경력을 먼저 쌓으시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나이도 그다지 중요하지않습니다. 

댓글목록

세정님의 댓글

세정 (davbowie)

시간 내어 귀중한 조언 나눠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나이는 중요하지 않다는 말씀에 큰 용기를 얻었습니다. 경력이 가장 중요하다 하셨으니 일단 한국과 싱가폴 양쪽에서 기회를 모색하면서 먼저 걸리는 쪽을 선택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321

사업/직장고민되요..이직 연봉 비교해주세요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메론맛빙수(Tj1233) 2022-10-20
추천수 : 0 조회수 : 4,733

안녕하세요.이번에 대기업현지채용 (유럽) 최종오퍼받고 고민중입니자.현재는 싱가포르 거주중입니다. 회사생활 4년차..인센티브 제외하고 말씀드리겠습니다. (한국돈기준)싱가포르 월급 (기본급) 세전 340, 세후 335 (세금 1.5%)유럽 월급 (기본급) -370, (주택…

  • A

    이직이라는 것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고민되는 것 같습니다.그리고 정답이 없으니까요.일단 간단히 급여 수준과 일하는 장소 (싱가포르 혹은 유럽)만 정보를 주셨지만 이것만으로는 무엇이라고 답변을 드리기 어렵네요(사실, 더 정보를 주셔도 어떠한 조언을 드려도 정답은 없을것 같긴 합니다)이직을 할때는 급여도 중요하겠지만, 일하는 직무와 같이 일하는 동료, 향후 발전 가능성 등 모든것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니까요.더군다나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의 성향 및 상황도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그래서 타인이 조언드리기 어려운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만약 현재 회사와 싱가포르가 더이상 본인의 발전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없다면 다른곳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것 같고요.(다만 이직하고자 하는 나라와 회사가 본인에게 더 적합할수 있는지 리서치도 한번 필요할 것 같고요. 외국에서 살아보셔서 아시겠지만 그 나라의 영주권 등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기회도 중요한 포인트 일 것 같습니다. 만약 가고자 하는 나라가 영주권의 기회가 싱가포르 보다 높다면 도전해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EU 영주권자이면 다른나라에서도 기회는 더 많을 것이니까요)상기 내용의 결론은, 타인의 결정보다는 본인이 상황을 입체적으로 고려하셔서 결정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너무 두서없이 아무런 결론도 못 내드려서 죄송합니다.)

    1
  • A

    지금 30만원의 차이말고 2~3년 뒤 5년뒤 어디가 더 좋은 기회들이 있는지 고민해보세요. 싱가폴이 비싸긴하지만 그만큼 많이 벌 수 있는 기회가 있는 나라라 가시는 나라도 향후 5년간 다양한 커리어의 기회가 있는지 그게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저도 영국에 돌아갈까 하다가 영국의 연봉 테이블이 높지 않고 세금은 더 올린다하고 그리고 현재 렌트비보고 접었어요

Q

NO.315

사업/직장해외소득 신고/관련 세무 상담 경험 있으신 분 계신가요…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사탕맛(pinkoxo) 2022-07-16
추천수 : 0 조회수 : 3,750

안녕하세요. 싱가폴에서 직장을 가지고 일 한지 2년이 됐는데요, IRAS 통해서 싱가폴에서 소득세를 냈고 한국에는 딱히 아무것도 한게 없습니다. EP 소지자이고 한국에는 작년에 열흘정도 다녀온게 다지만 한국 제 계좌에 돈을 보내기는 했습니다. 제가 뭔가 놓치고 있는게 …

  • A

    해외 거주자가 한국에 소득세 세금 신고 의무가 있는 지는 세법상 한국의 거주자인지 아닌지의 판정 여부에 따른다고 알고 있습니다.우선 거소 개념으로 한국에 183일 이상 체류하게 되면 한국 거주자로 판정됩니다.또한 해외 파견 주재원인 경우 아래와 같은 세법 지침상 한국 거주자로 판정된다고 합니다.[거주자 또는 내국법인의 국외사업장 또는 해외현지법인(100% 출자법인)에 파견된 임원 또는 직원이 생계를 같이 하는 가족이나 자산상태로 보아 파견기간의 종료 후 재입국할 것으로 인정되는 때에는 파견기간이나 외국의 국적 또는 영주권의 취득과는 관계없이 한국의 거주자로 본다.] 또한 세법상 한국 거주자로 판정되면 국내외에서 발생한 모든 소득에 대해 과세하게 되며, 비거주자로 판정되면 국내원천소득에 대해서만 과세합니다. 싱가포르 거주자가 세법상 한국거주자가 되어 이중과세를 하게 되면 이중과세방지협정에 따라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국세청의 해외 납세자가 알아야 할 세금 상식 자료를 참고하시거나 국세청 상담전화 (126) 으로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https://www.nts.go.kr/nts/na/ntt/selectNttInfo.do?mi=135770&nttSn=74725 

    1
Q

NO.307

사업/직장싱가포르 취업 질문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kimjeah1(kimjeah15) 2021-10-18
추천수 : 0 조회수 : 8,725

안녕하세요. 2년전부터 싱가포르 취업을 계획했다가 코로나 때문에 이제야 실행에 옮기려고 합니다.한국에서 3년 이상 토목설계했었고 싱가포르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라는 분야로 취업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BIM 분야에서는 1년 …

  • A

    비슷한 업종에서 경력을 쌓아 나가고 있어서 지나가다가 몇 자 적어봅니다.1. 요즘의 취업 시장은 채용공고가 엄청 많이 올라오고 있어 활발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외국인이 기회를 잡는 것이 긍정적인 상황은 아닌 것 같습니다. 코로나 상황에 따라 내년 1월쯤에는 어떻게 풀릴지 모르겠지만, 현재의 정책이 유지된다면 좋은 전망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2. 현재 구직을 원하시는 분야의 평균 급여를 검색해보시면 EP 비자가 발급가능한 최소 급여가 미스 매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SP나 WP로 가야 평균적인 급여가 맞아 지겠지만 그마저도 쿼터제도 때문에 여건이 되는 회사가 많이 않을것 같습니다.해당 업종에서 외국인을 EP비자로 채용하는게 쉽지는 않은 상황 인 것 같습니다.3.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별로 도움은 안될 것 같습니다.4. 인터뷰를 볼 수 있을 정도로 일본어를 구사하신다면 좀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5. 취업 비자 SP/EP로 최소한 6개월일 지내셔야 영주권 신청이 가능하며, 물론 신청기간중에도 취업상태여야 합니다.개인적으로 불가능해 보이는 시장에 뛰어들어 현재까지 잘 살아 남아있고, 개인적으로 만족할 만큼 많이 성장하였고, 나쁘지 않게 입지는 굳혔지만 그동안 거의 비슷하게 시작한 사람들 중에 혼자 살아남아 있는 느낌입니다.제가 일하는 회사에 지원해보실 만한 자리가 있으면 소개해 드려보려 했으나 마감되었네요.화이팅하시고, 혹시라도 궁금한게 있으면 쪽지주세요.

    1 채택답변
Q

NO.303

사업/직장싱가포르로 Relocation 예정입니다. 연봉, 생활…

  • 답글 : 1
  • 댓글 : 3
답변완료
aelle(pomypomy) 2021-06-09
추천수 : 0 조회수 : 11,622

안녕하세요.싱가포르로 올해 말 또는 내년1월에 입싱 예정인 사람입니다.오랫동안 꿈꿨던 리로케이션을 드디어 승인을 받았는데.. 곧 본사에서 협의 들어오기 전에 현재 싱가포르에 리로케이션이나 이직하신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서요.현재 한국에서 APAC Supply Chai…

  • A

    리로케이션이면 렌트가 일정기간 될 수도 있겠네요. 이직시는 보통 렌트는 회사입장에서는 별 고려대상도 아닌데 리로케이션이니 잘 협상해보세요.연봉은 현재 대비 60% 정도 상승이니 괜찮은거 같아요. MNC의 리로케이션은 직급마나 밴드가 있고 그 속한 밴드에 따라 국가마다 연봉 테이블이 정해져 있어서 이직시 협상하고는 좀 달라요. 리로케이션인데 60% 연봉 상승이면 좋은거 같은데요. 보너스까지 하면 이직수준으로 잘받고 오시는거 같습니다. 회사 좋은데요? ㅎㅎ 전기세 쌉니다. 에어컨 달고 살지만 전기세 걱정없습니다. 한국에 살때 누진세 폭탄 한번 맞아본지라....여긴 잘때도 키고 잡니다. 세금은 잘못된듯해요. 160k까지 13,950에 나머지 연봉 6,666엔 18% 세금적용됩니다. 생각하신거 2배정도 나올꺼예요. 그래도 한국에서 내는 소득세에 비하면 매력적이죠. 노후를 여기서 보낼 한국 분들 얼마나 될까요...여긴 은퇴하고 노후를 보내기엔 매력적이지 않자나요. 국민면금은 저도 여기온지 10년째인 영주권자지만 계속 내고 있습니다. 다른 한국분들은 안내시는 분들 많은 것 같아요. 지역가입자인가? 간단히 전환하시면되요. 납입기간이어지고 최소 금액이 있어요. 9만원정도인거 같아요. 여기서 가족이 저녁 한번 먹는 가격인데 나중에 받는 예상 수령금액보니 제가 내는 금액대비 미래 현금가치를 고려하더라고 꽤 쏠쏠하더라구요.국민연금은 여기 연금제도랑 다르게 내가 낸만큼만 받는 시스템이 아닌거 같아요. 한국돌아가실꺼면 꼭 유지하세요. 

    3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