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163,450
  • 외환 거래 금지 방침 및 환전 / 송금 FAQ
  • 한국촌 (hankookchon)
    1. 504,479
    2. 54
    3. 0
    4. 2013-02-04 13:42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한국촌 입니다.

 

한국촌에서는 게시판을 통한 외환거래를 일절 금지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은행이나 정부의 승인을 받은 기관을 통하지 않은 외환거래는 불법이며, 한국과 싱가포르 정부에 의해 엄격히 단속 되고 있습니다특히 한국촌의 게시판들은 모든 분들께 열려있는 공간이며 많은 분들이 보시는 관계로 게시판을 통한 불법 외환 거래는 개인에게 불이익을 초래할 있으니 불법 외환거래를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더불어 근래 많은 분들이 피해를 당하셨던 환전사기 방지 차원에서 환전관련 질문 형식의 또한 제한하고 있으니 회원 여러분들의 양해와 협조 부탁드립니다.


환전이나 송금 관련된 문의가 종종 있어서 아래와 같이  환전/송금 FAQ 준비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문: 한국으로 송금시 송금수수료는?

답변: DBS은행 기준으로 S$10,000까지는 Handling Commission S$10 + Telex S$20 적용됩니다. S$10,000 이상 송금시에는 Handling Commission 송금액의 0.00125% 적용 + Telex S$20 적용됩니다. Handling Commission 최대 금액은 S$120까지 입니다.

) S$30,000 송금시 수수료 = Handling Commission S$37.50 + Telex S$20 (Total: S$57.50)

싱가폴 은행들은 환율이 좋지 않으므로 싱달러를 한국에서 환전 되도록 송금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질문: 한국-싱가포르 송금시 필요한 정보는?

답변: 아래는 한국에서 싱가포르 DBS은행으로 송금시 필요한 정보입니다.

은행명 : DBS

예금주 : 예금주명

계좌번호 : 은행 계좌번호

금액 : S$

은행코드: DBS SSG SG

은행주소: Shenton Way DBS Building Singapore 068809


질문: 국제 송금 수수료

한국 은행에서 싱가포르의 송금 수수료는 은행별로 차이가 있으며 아래는 한국 외환은행에서 싱가포르 외환은행 계좌로 송금할 경우의 수수료 입니다.

또한 한국 시티은행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해외송금의 경우 수수료 면제 환율우대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제 현금카드를 발급 받아 이용하게 경우 ATM에서 현금 인출시 USD1 네트워크 수수료 0.2% 부가됩니다. 따라서 싱가포르 달러 5,000 송금해야 경우 한국에서 국제현금카드를 발급받아 왔다면 ATM기기를 이용하여 SGD11.50 정도의 저렴한 수수료 지불 현지 통화로 현금을 찾을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은행 사이트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citibank.co.kr/index.jsp


질문: 환전을 어디에서 하는 것이 유리한가요? 은행 or 환전소

답변: 싱가폴에서는 환전소의 환율이 좋습니다. 다만 환전소 마다 환율이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여러 곳의 환율을 비교해 환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환율이 좋은 환전소 소개 바랍니다.

답변: 환율이 좋은 환전소는 보통 환전소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의 환전소가 환율이 좋은 편입니다. 추천드릴만한 곳으로 Raffles MRT 빠져나오시면 보실 있는 The Arcade라는 건물의 1층과 2층에 있는 20 여개의 환전소들입니다. The Arcade 건물의 환전소들은 은행가에 위치해 있고 이용하시는 분들도 많아서 다른 보다 환율이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사오니 군데 비교하신 이용하시면 같습니다.

 

질문: 싱가폴달러를 어느 나라(싱가폴 or 한국)에서 환전하는 것이 유리합니까?

답변: 싱가폴이나 한국 모두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다만 싱가폴에서 환전하실 때는 최대한 좋은 환율의 환전소에서 환전을 하는 것이 요령이고, 한국에서 환전하는 경우에는 주거래은행을 통해 좋은 환율을 받거나 은행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전 수수료 할인이나 환율 할인 정보를 최대한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는 2011 318 기준 싱가폴 환전소(Raffles MRT 빠져나오면 보실 있는 The Arcade 환전소) 한국외환은행의 환율비교입니다.

<1,000 싱달러-한화로 교환시>

싱가폴 환전소 : 863,000

한국외환은행 : 862,340

은행으로송금시(싱가폴-한국) : 875,610 (송금수수료와 Telex S$30 + 한국에서 발생하는 수수료9,000)

 

* S$10,000 이상 송금시에는 Handling Commission 송금액의 0.00125% 적용 + Telex S$20 적용됩니다.

* 싱가폴 은행들은 환율이 좋지 않으므로 싱달러를 한국에서 환전 되도록 송금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공항에선 관리비용이 들기 때문에 일반 지점의 수수료에다 추가로 0.1&sim;1%포인트의 수수료를 물리고 있으므로 공항에서는 환전하지 않는 것이 유리합니다.


질문: 한국으로 거액 송금시 은행에 일정기간(3개월) 묵혀놓아야...

답변: 일반계좌는 그런 경우가 없으며, PR 이나 외국시민권자에게 발급하는 비거주자계정의 경우에는 제약을 받을 있다고 합니다.

 

질문: 금액을 가지고 한국 입국 휴대할 , 송금할 판단

(1) 싱가포르에서 원화 또는 싱가포르 달러를 휴대하여 한국으로 입국하는 방법

일단 미화 1 상당액을 초과한 금액을 휴대하여 입국하는 경우 항공기에서 배부하는 여행자 휴대품 수입신고서상 외화신고 부분에 체크하고 신고금액을 기재해야 합니다. 

세관직원이 소지한 외화 금액을 확인하고 외국환등록증(필증) 발급하게 됩니다. 법률적으로, 필증을 교부 받아야 해당 금액에 대해 국내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경우 특별히 세금이라든지 문제가 없으며 금액이 아주 경우 해당 금액의 취득 원천에 대해 문의를 받거나 필요시 증빙서류를 요청할 있지만 해외에서 근로활동 수익 원천을 합리적으로 밝히실 있으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금액을 휴대하여 반입하는 경우 분실, 도난 등의 위험이 있어 안전한 방법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1) 항목의 경우 관세청 담당입니다. 전화상담이 필요하시면 국번없이 125 입니다.

 
(2) 싱가포르에서 한국으로 송금하는 경우

1) 해외의 계좌에서 한국의 계좌로 송금되는 경우

외국거주자(내국인) 경우, 증여성 송금이 아니기 때문에 금액의 한도 없이 송금하실  있습니다.

2) 해외의 계좌에서 한국의 다른 사람 명의로 송금되는 경우

증여성 송금으로 판단돼 경우에 따라 증여세가 부과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화 5만불 이상, 과거에는 기준이 미화2만불이었습니다.)

3) 해외계좌에서 미화 1만불 초과 입금 은행에서 자동으로 국세청에 통보됩니다.

국세청에서는 특별히 주목할 만한 거래 내역에 대해서만 조사하고 필요시 송금액의 취득원천에 대한 자료를 요청합니다. 일반적 경우 연락이 오지 않으니 걱정 하셔도 됩니다.

(2) 관련사항은 한국은행 외환심사팀 또는 거래 은행의 지점 창구 직원에게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상담해 줍니다.

 

질문: 싱달러 S$2,600 원화로 환전하려고 합니다. 은행송금 or 환전소환전 어떤 쪽이 유리 합니까 ?

답변 :싱달러 $2,600 원화로 환전시에는 환전소에서 환전하는 것이 406 유리하며, S$2,600 넘는 경우에는 은행을 통해서 송금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2012 5 3 기준)

 

은행 송금시 : 2,314,504 = S$2,600 x 송금환율(S$904.04) - 로컬은행송금수수료 S$30(27,000) - 국민은행타행발수수료(9,000)

 

환전소환전시 : 2,314,910 = S$2,600 x 환율(890.35)

 

로컬은행 수수료 은행타행발수수료는 은행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있습니다)

 

*최근 환전문의하시는 분들을 대상으로한 환전사기 사건이 종종 발생하고 있사오니 가급적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하지 마시고 아래의 한국은행의 한국직원들께 문의하시거나 메일(hankookchon.com@gmail.com) 문의 주시면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국계은행>

 

신한은행 6536 1144 / 하나은행 6438 4100 /한국산업은행 6224 8188 /외환은행 6536 1633 /우리은행 6422 2000 /한국시티은행 1588 7000

 

<외국계은행>

 

POSB 1800-111-1111 /OCBC 1800-438-3333 /Standard Charterd 1800-747-7000 /UOB 1800-222-2121 /Citibank 1800-225-5225 /HSBC 1800-786-6666 


- 한국촌 -

::: 우리 따뜻한 한인 사회를 만들어 봐요! :::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Q

NO.700

부동산영어잘하시는분들 도움부탁드려요

  • 답글 : 4
  • 댓글 : 6
답변진행중
rosana(yerangnarang) 2019-05-04
추천수 : 0 조회수 : 5,466

(image) 급하게 귀국하게되어 계약기간1년중 5개월가량만을 채우고 계약을 해지하게되었습니다 (부킷판장쪽에 살구요) 집주인 얘기에 의하면 저희는 우선 1) 입주할때 냈던보증금 한달치와 2) 집주인이 에이전트에게 냈던 금액중 일부 3) 저희계약파기로 인해…

  • A

    질문하신 3번의 경우 싱가포르에서는 그렇게들 많이 요구해요, 배상을 하라고.   어떤 집주인은 계약서 기간 동안의 모든 월세를 다 내라고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는데 그래도 4,000불이면 2-3개월 분 밖에 안되네요. 아주 흔한 경우입니다.    그리고 계약서에 보면 2달 전에 계약 해지 통보를 해야한다고 나와 있는데 혹시 갑자기 이사를 해야하는 상황인가요?   그럼 추가로 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현재 올리신 계약서에 그렇게 명시돼 있네요~      

  • A

    싱가폴에서 5년이상 살아오신분들이라면 이런경우를 여러번 한국촌을 통해 보셨을겁니다. 렌탈이 2500불이든 1500불이든 상관없이 회사를 퇴사하든 다른나라로 이직하든 이나라를 떠나야 하는 법적으로 인정받을만한 이유가 없는한 계약에 동의한다고 본인이 싸인 하셨으니 나머지 기간에 책임지셔야합니다. 반대로 랜로드가 자기 이익을위해 렌트비를 더 주겠다는 사람에게 렌트를 주려고 현재 살고있는 사람을 내쫒으려면 계약서에 동의, 싸인한 기간중 나머지기간의 렌트비를 주며 쫒아내야 하는겁니다. 즉 양측이 서로 싸인한것에대한 법적 책임이 따릅니다. 이경우 랜로드가 그리 심하지 않습니다만 네고하며 사정을 해보시든가 새 테넌트를 구해 놓을테니 보증금을 돌려달라고 네고 하실수 있습니다. 위 솔 솔님 말씀처럼 추가 배상 요구가 올수 있습니다. 잘못된 답변은 자칫 힘든입장에 놓인분들을 돕는게 아니라 혼란스럽게 할수있으니 답변다시는분들 유의하셨으면 합니다.     

    2
  • A

    궁금한게 있습니다. 1. 노티스는 언제주었고, 언제 집을 비운다고 했는지요? 또한 (f)항목으로 우편으로 보내지 않았다고 잡아뗄수있을것 같은데, 우편으로 보냈는지요? 안보냈다면 빨리 보내는게 좋을거 같네요. 2. 한달 월세는 얼마인지요? 집주인 에이젠트 비용을 pro-rata로 지불하게 되어있네요. 위 계약서에 보면, 3번은 분명이 전혀 있지도 않고, 2개월 노티스, 혹은, 2달치 월세를 준다라고 되었고, 에이전트 비용을 Pro-rata로 지불해준다라고 되어있네요. 귀국은 분명히 위 계약서에 들어있는 사항입니다. (the Tenant to leave Singapore.....)      

    4
Q

NO.699

생활룸렌트해지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머리아파요 -긴급…

  • 답글 : 2
  • 댓글 : 5
답변진행중
moom(mijc) 2019-04-27
추천수 : 0 조회수 : 5,362

안녕하세요. 항상 한국촌을 통해서 싱가포르 생활을 하는데 있어 많은 싱가포르에서 생활하시는 한국분들한테서 좋은 조언을 많이 받았고 그래서 잘 지내고 있는 한 사람입니다. 다시 이렇게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이유는 현재 룸렌트해지 관련해서 문의 드리려고자 합니다.  …

  • A

    너무 오래 참으셨네요. 계약해지하면 ...그런식의 문자가 왔을때라도 바로 소송을 진행하셨으면 손해배상청구도 가능하지 않았을까요... 제가 변호사가 아나라 정확하게 말씀드릴수가 없는데 다행히 증거를 좀 가지고 계셔서 스몰클레임에 가셔서 물어보시고 그다음을 준비하시거나 변호사상담을 받으시던지요. 여기는 영국법을따라서 테넌트가 별로 보호를 받지 못한다고 싱가폴 변호인들이 하나같이 하는 이야기 입니다. 단 딱 두번 손해배상까지 받아 이사 나간 한국분들은 현지변호사님과 일 진행해서 이사비용+계약 기간중 남은기간 렌트비를 받아서 기러기엄마는 한국으로 나가셨고 직장인 남자분은 이사하신걸로 알아요. 케이스마다 달라 또 계약서에 따라 달라집니다. 싱가폴인이 아니라 승소 못한단는 그런생각은 왜 하시는지요? 여기 법정이나 스몰클레임가보시면 아시겠지만 영국인들이 법관으로 메디에이터가 영국인인으로 함께 일을해서 부정을 저지르기는 쉽지 않습니다.      

    4
  • A

    혹시 계약서에,  만약 집 공사가 제때 안 이루어 졌을시, 그에 따른 보상을 해주겠다 라는...건 안 하셨는지요? (예를 들어, 한달-2달 미루어 졌을시에 렌트비는 면제해줌) 원래 집 공사라는게 백퍼 계속 미루어 집니다. 특히, 집공사 contractor를 말레이시아쪽 worker들을  썼다면 더 더디어지는게 뻔하고요. 집 들어가서 살때 보통 한달내로 집에 문제 생기면 house owner가 다 책임지고 고쳐주고 빨리 처리해주는게 맞습니다. 오너도 양심없고, agent도 좀 협조를 안해주는 것 같은데 agent가 오너 쪽인지 궁금합니다.  머리아프신 상황일텐데, 여기 한인변호사나 로컬 변호사와 상담을 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1
Q

NO.694

부동산한국촌을 통해서 부동산거래를 하는방식!! 급합니다 도와…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방구하고싶다(enterp) 2019-01-16
추천수 : 0 조회수 : 3,635

한국촌 부동산 란을 통해서 룸 렌트를 하려고하는데  어떤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감이 잡히지않습니다 단기로 방을 구하는사람에게 적합하다고 들어서 찾아보게되었는데요 계약서를 따로 작성하지않는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그럼 한국인분의 이름으로 집주인과 계약되어있는상태로 살…

  • A

    지금 질문하신 내용이 매우 민간한 질문이라서 이 글에 대한 답변을 드려도 되는지 판단이 잘 안되네요. 제목에서 급하다고 하셨는데…. 급할수록 돌아가라고 하죠? 합법적인 방법으로 싱가포르 에이전트를 통해서 집을 구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전대(sublet)는 싱가포르에서 불법입니다 (전대의 정의는 네이버 사전을 참고바람). 모든 법에는 예외 조항이 있듯, 싱가포르에서도 전대에 대해서 예외적인 조항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작성자분이 찾고자 하는 경로로는 아무래도 전대일 가능성이 매우 (대부분) 큽니다. 법이 매우 강한 싱가포르에서 위법을 하지 않기를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집 주인이 집을 세주는것은 합법이죠. 그런데 그 집을 소유한 기간 및 누가 소유주인가 따라서도 렌트 가능성 여부가 달라지며, 즉 규제가 있습니다. 집의 형태 및 소유주의 조건에 따라서 거주할 수 있는 사람의 수도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을 고려해야 하니 에이전트를 통하시는게 좋다고 봅니다. 제가 집을 구할 때 확인하는 항목은 계약서 상의 집주인이 싱가포르 정부 산하 홈페이지(어디인지 기억은 안나네요)에서 집주인이 맞는지 확인 현재 입주 가능한 인원을 초과하지 않는지 입주 후에는 에이전트에게 입주 후 (stamp duty 완료 후) 제가 그 집의 기록에서 에 거주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요청 (이것은 집주인 발급 가능) 한줄 간단히 말씀드리면, 한국인 집주인으로 된것을 확인하고 (한국인이 실제 구매한 콘도 또는 HDB) 그 집에 세입자로 들어간것을 싱가포르 정부에 보고하는 stamp duty를 하셔야 합니다. 전대와 관련해서 예외 항목을 제외하면, 합법적인 거주가 될 것입니다. 참고로 Stamp duty는 우리 나라의 경우에 이사후에 동사무소 가서 주소 옮기죠? 전세나 월세 살 때 안옮기면 뒤에 거기 거주자로 인정안되서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것 처럼… 여기는 모든 거주지 변경시 정확한 기간은 기억 안나지만, Singpass로 로그인해서 변경해야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들을 토대로 적은 답글이니 참고만 바랍니다.      

    1
  • A

    한국분이 집주인이 아니라면.....음....그냥 신뢰로 사는거죠머... 집주인이면 몰라도 아니면 계약서는 의미 없어 보입니다.  Tenant가 다른 사람에게 렌트를 줄 경우 콘도도 실제 집주인의 허락을 맡아야합니다.  HDB subletting 도 아래의 조건이 아니면 허락하지 않습니다.  With effect from 1 June 2015: You are not allowed to sublet your premises, except to related companies. Related companies refer to: Sub-tenant which is wholly-owned by the tenant/ licensee or vice versa Tenant/ licensee and sub-tenant are 100% owned by the same parent company Percentage shareholding relationship (not including common individual directors and shareholders) between the tenant/ licensee and the sub-tenant is at least 51% Tenants/ licensees with existing approved subletting to non-related companies or individuals may continue their subletting up till 31 December 2017. Thereafter, they will not be allowed to sublet anymore      

    1
Q

NO.693

부동산싱가폴 집주인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viper(veogml123) 2019-01-12
추천수 : 0 조회수 : 2,901

로컬 집주인들은 원래 좀 까탈스럽나요? 에어컨도 맘대로 못쓰게 하고 간섭도 많이 하나요? 조금만 지저분해도 막 뭐라 하는거 같던데      

  • A

    현재 룸렌트 중이신가요? 저는 이 질문의 답은.... 케바케라 생각합니다 사람 사는 곳이니 좋은 사람, 안좋은 사람, 평균인 사람 다 있죠. 현재 이야기하신 것으로 보면, 다음에 계약 만료 되면 고생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제도 경험했고 주위에도 많이들 경험했지만.... 한국인 집에서 룸렌트 할 경우에 보면 밥도 그냥 해주고 에어컨 마음껏 틀고 빨래도 자주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에어컨 틀면 걍 샤워하고 팬틀어라, 건강에 해롭다. 빨래는 너무 자주 하지마라. 안마른다. 세탁기 돌리면 돈이다. 기타.... 상당히 돈과 관련해서 예민하게 하는 경우 많이 봤습니다. 저는 그래서 최근에는 로컬을 이용합니다. 룸렌트 및 홀렌트 다 경험해 봤지만, 로컬이 속편합니다. 그리고 집주인 없는 집을 찾는게 그래서 좋기도 합니다. 아마 에어컨 사용건으로 짐작해보면 룸렌트신거 같은데, 계약서에 공과금 포함이면 눈치 보지말고 사용하세요. 대신 재계약은 힘드실테니 계약 만료가 다가오면 다른 곳을 미리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ㅎㅎ  집이 콘도신지 HDB신지 모르겠으나, 새집이거나 관리가 잘된 집이 아니라면 개미가 순식간에 나타나기 때문에 지저분한것 좀 꺼려 할수 있습니다.            

Q

NO.688

부동산HDB나 콘도 홀렌트 후 방 렌트 줄 때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토끼리쩐(fisher) 2018-11-02
추천수 : 0 조회수 : 6,006

안녕하세요. HDB나 콘도 홀렌트 후 방 하나 렌트 주려면 홀렌트 하기 전에 집주인한테 방 하나를 렌트 줄 거라고 말하고 허락받아야 되는 건가요? 듣기로는 HDB 렌트 줬다가 집주인한테 걸리면 보증금도 못 받고 쫓겨날 수 있다고 들어서요. 콘도도 그런건가요? 지인…

  • A

    집 계약 하실때 집주인이 서브렌트 조건을 허락하지 않으면 룸 렌트를 주실수 없습니다      

  • A

    콘도 홀렌트를 해도 집주인 허락없이는 안되는 렌트들입니다. URA, housing agent 사이트 FAQ 를 보시면 알겠지만 집주인이 허락했을 경우만입니다.  하물며 TA 잘 보시면 집에 찾아오는 손님이 숙박해도 집주인에게 알려주게 되어있는게 보편적 입니다. 전 손님의 여권도 복사해서 달라고 원해 적혀있었는데 그건 빼자고 했습니다.   HDB 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https://stackedhomes.com/blog/tenant-sublet-singapore-legal-illegal/ If I am renting a whole HDB unit, am i allowed to do any form of tenant sublet? Unfortunately, you are unable to do that in Singapore. Under the HDB ruling, the flat owner is responsible for ensuring that subtenants do not further sublet the flat to others. So in this case from here on we will be only referring to private property! 싱가폴에서는 괜찮겠지 하다 훅 갈 수 있습니다....안하는게 최선입니다... 집주인의 지인들이 주변에 사는 경우도 많아요...조심하시길...      

Q

NO.687

생활집주인 문제때문에 질문드립니다

  • 답글 : 7
  • 댓글 : 2
답변완료
화이팅ㅎㅎㅎㅎ(dkdlzh29) 2018-09-04
추천수 : 0 조회수 : 2,484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이 정말로 친절하게 댓글 달아주셔서 정말로 감사드립니다정말로 다행히 집주인분이랑 원만하게 일이 잘 해결되어서 다음 달쯤에 보증금 돌려받고 집을 나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한 분 한 분 다시 감사 말씀 못 드려서 죄송합니다.…

  • A

    근처 Police station 에 가셔서 report 하세요. 증거도 있으니 어렵지 않을겁니다. (저라면 그렇게 하겠습니다만 만약 보증금을 받고 나가는 선에서 집주인과 협상을 하고 싶다면 주인에게 cctv 캡쳐해놨고 주위에 상의를 했더니 경찰에 신고하라고 하지만 나는 원만하게 해결하고 싶다고 협상을 해보세요.) 싱가폴에 좀 오래 거주한 분과 같이 얘기하시면 좋을텐데요... 학생이라 이런 상황이 더 힘드실거 같아 안타깝네요...     

    채택답변
  • A

    대처를 잘하셨네요. 윗분 말씀에 완전 동감입니다. 절대 혼자 deal하지 마시고 되도록 여러명이 가세요.      

    1
  • A

    댓글달려고 로그인 했어요.  싱가폴에서 12년을 지낸 시민권자인데요.  한국동료 하나도 없는 회사에서 로컬인들하고 직장생활 해왔고 또 한국학생이랑 직장인 룸렌트도 많이 했어서 그친구들 우리집 오기전에 현지 싱가폴 사람들과 살았던 얘기도 많이 들었고.. 데포짓문제도 많이 들었어요. 싱가폴 경찰 및 공무원들 상당히 fair합니다.   외국인이 신고했다고 해서 설렁설렁 대하지 않고 최대한 협조적으로 대해줘요.  겁먹지 마시고 증거 충분히 가지고 경찰에 리포트 하세요.  여기 싱가폴 사람들 공공기관을 많이 신뢰하면서도 또한 두려워해서 자신들이 리포팅 당했다는것만으로도 태도가 확 달라질수 있어요.  원래 중국계 사람들 우선 큰소리부터 치고 상대방을 누르려 하는 기질이 있어요.  그것도 여우같이 다 상대 봐가면서 합니다.  단 위에 답글 다신분 언급했듯이 아직 어린 학생이라 기쎈 현지인에게 휘둘릴수 있는게 안타깝지만 겁먹을수록 우습게 볼거예요.  부모님이 걱정하실까봐 얘기 못한다고 했는데.. 최대한 주변 많은 분들에게 알리고 도움 요청하세요.  저도 아이키우는 부모인지라 부모입장에서 말하자면 부모님은 현재 입장을 혼자 말없이 견뎌내는걸 아시면 더 마음 아파 하실거예요.  힘내고 용기내시고, 최대한 주변인들 도움 받아 해결해 보세요.      

Q

NO.686

부동산계약시 주의할점..?

  • 답글 : 1
  • 댓글 : 3
답변완료
유우(euyu) 2018-08-28
추천수 : 0 조회수 : 5,468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여기서 조언을 얻어서 다녀보고 집을 정할까..하는데요 제가 영어가 안되기때문에 회사분이 꼼꼼하게 봐주실껀데(이분과영어로의사소통) 저도 꼭 주의하고 확인해야할 부분은 따로 번역해서 (번역기로..) 보여드리는게 좋을꺼 같아서요 . . . .…

  • A

     •집주인 IC •계좌번호 --돈받을 집주인이 잘 알려줍니다. •1년계약시 6개월이후에 이사가능 •2년계약시 1년이후에 이사가능 --> 이런 조항이 따로 있느지는 잘 모르겠어요. 저도 몇번 이사를 안다녀 봤지만... 보통 표준 계약서에는 diplomatic clause라는 것이 있습니다. 2 년 계약시 1년이 지나고 나서 2 달 노티스르 주면 계약을 파기할 수 있다는 내용인데..그냥 세입자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예를 들어 싱가폴에서 취업 취소, 추방, 다른나라로 발령 등등의 불가피한 사유에 이에 해당하는 서류를 집주인에게 주면, 1년이 지난 경우 2개월 노티스를 주고 계약을 파기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1년 계약시 6개월 이후에 디플로매틱 클로즈를 집주인이 해줄지는 모르겠습니다. 네고해 보세요. 계약파기시 보증금에서 차감: 이렇게 해주는 집주인이 있으면 좋겠지만..보통은 계약 파기란 없습니다. 보증금이라는게 1년 계약이면 1달 치 월세, 2년 계약이면 2달치 월세 인데 여기서 차감하는 것으로 안해줍니다. 예를 들어 님께서 2년 계약했는데 위의 디플로매틱 클로즈에 해당하는 사유가 아닌 그냥 개인적인 이유로 14개월 만에 나가고 싶다고 하면...집주인이 선처해 주지 않는 이상 계약한 기간만큼의 집세를 다 내야 합니다. 계약서에 이런 조항을 넣어 준다면 좋겠지만 저는 못해봤어요.  •이사결정은 한달전에 알릴것 •이사가 한달전이 아닐경우 보증금에서 차감: 이건 잘 모르겠네요. 보통 1달 전에 노티스 줍니다. •2년 계약시 에이전트커미션 집주인에게 준다(guideline ?) : 월세가 얼마냐에 따라 보통 다릅니다. 따라서 에이전트와 미리 말을 해야 합니다. 어떤 에이전트는 월세 3000 불이하는 집주인 쪽 에이전트가 커미션을 나누지 않기 때문에 세입자는 세입자의 에이전트에게 커미션을 주고, 집주인은 집주인 에이전트에게 커미션을 줘야 한다고도 합니다. 월세가 3000 불이상, 2년 계약이면 집주인쪽 에이전트가 집주인에게 3000 불을 받아서 세입자 에이전트와 반반씩 나누어 가집니다. 하지만 이건 에이전트 마다 다릅니다. 저희 회사 에이전트는 3500 이상이면 커미션을 집주인이..그 이하면 세입자에게 받는다고 사전에 말하더군요. 또 다른 로컬 에이전트는  2500 이 기준인 곳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사전에 에이전트와 명확하게 논의하시면 됩니다.  저는 2년계약을 할꺼라 이럴경우 가계약때 한달치 보증금을 준다고 하던데 꼭 필요한 과정인가요? 가끔 문제가 생겨서 파기하고 싶어도 보증금을 안주는 경우도 있다고 해서 그냥 계약을 하는게 좋다라는 걸 보기도 해서.. ; ; ; --> 아마 TA (Tennacy agreement) 이전에 LOI Letter of Interest를 말씀하신 것 같은데요. 보통 하는 경우도 있고 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LOI 쓰고 나서 일방적으로 세입자가 계약을 안하겠다고 하면 집주인이 잘 안돌려 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에 계약연장에 관해 넣어야할 항목이 있다면 어떤게 있을까요? -계약이 연장되도 에이전트피를 내지 않는다? ; ; : :  --> 이렇게 해주는 에이전트가 있을지는 모르겠는데요...보통 2년 후에 다시 계약 연장할 때 역시나 1년 연장이면 반달 분, 2년 연장이면 1달치 월세를 수수료로 가져갑니다. 그런데 2년 살고 나서 이사할 수도 있을거에요. 살다보면 더 좋은 동네가 보이거든요. 그리고 제는 한 콘도에서 세군데를 봤는데 다른데에비해 마음을 정한데는 사람이 살지읺은것처럼 엄청 깨끗하더라구요 --> 잘 보세요. 낡은 집이면 손만대도 부서지는 것들도 많고..집 보러 갔는데 향이나 디퓨저를 피워놓았다면 예전에 인도사람이 살았거나 집에 냄새가 나는 집입니다. 티비가 틀어져 있다면 시끄러운 집입니다...   계약하면 돌이킬 수 없어요..뭐든지 계약서에 서명하기 전에 요구해서 바꿔달라고 하세요. 꼼꼼하게 보시고요.. 왠만하면 주변에 한국사람들 사는 곳이 괜찮고...집은 많아요. 조급하게 보지 마시고 잘 보세요. 교통도 중요합니다. 님의 글에서 예산을 살짝 본것 같은데...방충망은 그 가격 렌트에는 잘 안해줄 거에요. 하지만 24층에도  벌레있고 모기 있을 수 있어요. 처음 싱가폴에 왔을 때 2년간 비싸게 계약해서 계약 해지도 안되고...매일같이 계약 끝나는 날만 기다리고 살았던 고통스러운 기억이 생각나서 몇자 적어 봅니다. 도움이 되시기를..      

    3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