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163,450
  • 외환 거래 금지 방침 및 환전 / 송금 FAQ
  • 한국촌 (hankookchon)
    1. 485,742
    2. 54
    3. 0
    4. 2013-02-04 13:42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한국촌 입니다.

 

한국촌에서는 게시판을 통한 외환거래를 일절 금지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은행이나 정부의 승인을 받은 기관을 통하지 않은 외환거래는 불법이며, 한국과 싱가포르 정부에 의해 엄격히 단속 되고 있습니다특히 한국촌의 게시판들은 모든 분들께 열려있는 공간이며 많은 분들이 보시는 관계로 게시판을 통한 불법 외환 거래는 개인에게 불이익을 초래할 있으니 불법 외환거래를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더불어 근래 많은 분들이 피해를 당하셨던 환전사기 방지 차원에서 환전관련 질문 형식의 또한 제한하고 있으니 회원 여러분들의 양해와 협조 부탁드립니다.


환전이나 송금 관련된 문의가 종종 있어서 아래와 같이  환전/송금 FAQ 준비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문: 한국으로 송금시 송금수수료는?

답변: DBS은행 기준으로 S$10,000까지는 Handling Commission S$10 + Telex S$20 적용됩니다. S$10,000 이상 송금시에는 Handling Commission 송금액의 0.00125% 적용 + Telex S$20 적용됩니다. Handling Commission 최대 금액은 S$120까지 입니다.

) S$30,000 송금시 수수료 = Handling Commission S$37.50 + Telex S$20 (Total: S$57.50)

싱가폴 은행들은 환율이 좋지 않으므로 싱달러를 한국에서 환전 되도록 송금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질문: 한국-싱가포르 송금시 필요한 정보는?

답변: 아래는 한국에서 싱가포르 DBS은행으로 송금시 필요한 정보입니다.

은행명 : DBS

예금주 : 예금주명

계좌번호 : 은행 계좌번호

금액 : S$

은행코드: DBS SSG SG

은행주소: Shenton Way DBS Building Singapore 068809


질문: 국제 송금 수수료

한국 은행에서 싱가포르의 송금 수수료는 은행별로 차이가 있으며 아래는 한국 외환은행에서 싱가포르 외환은행 계좌로 송금할 경우의 수수료 입니다.

또한 한국 시티은행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해외송금의 경우 수수료 면제 환율우대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제 현금카드를 발급 받아 이용하게 경우 ATM에서 현금 인출시 USD1 네트워크 수수료 0.2% 부가됩니다. 따라서 싱가포르 달러 5,000 송금해야 경우 한국에서 국제현금카드를 발급받아 왔다면 ATM기기를 이용하여 SGD11.50 정도의 저렴한 수수료 지불 현지 통화로 현금을 찾을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은행 사이트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citibank.co.kr/index.jsp


질문: 환전을 어디에서 하는 것이 유리한가요? 은행 or 환전소

답변: 싱가폴에서는 환전소의 환율이 좋습니다. 다만 환전소 마다 환율이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여러 곳의 환율을 비교해 환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환율이 좋은 환전소 소개 바랍니다.

답변: 환율이 좋은 환전소는 보통 환전소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의 환전소가 환율이 좋은 편입니다. 추천드릴만한 곳으로 Raffles MRT 빠져나오시면 보실 있는 The Arcade라는 건물의 1층과 2층에 있는 20 여개의 환전소들입니다. The Arcade 건물의 환전소들은 은행가에 위치해 있고 이용하시는 분들도 많아서 다른 보다 환율이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사오니 군데 비교하신 이용하시면 같습니다.

 

질문: 싱가폴달러를 어느 나라(싱가폴 or 한국)에서 환전하는 것이 유리합니까?

답변: 싱가폴이나 한국 모두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다만 싱가폴에서 환전하실 때는 최대한 좋은 환율의 환전소에서 환전을 하는 것이 요령이고, 한국에서 환전하는 경우에는 주거래은행을 통해 좋은 환율을 받거나 은행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전 수수료 할인이나 환율 할인 정보를 최대한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는 2011 318 기준 싱가폴 환전소(Raffles MRT 빠져나오면 보실 있는 The Arcade 환전소) 한국외환은행의 환율비교입니다.

<1,000 싱달러-한화로 교환시>

싱가폴 환전소 : 863,000

한국외환은행 : 862,340

은행으로송금시(싱가폴-한국) : 875,610 (송금수수료와 Telex S$30 + 한국에서 발생하는 수수료9,000)

 

* S$10,000 이상 송금시에는 Handling Commission 송금액의 0.00125% 적용 + Telex S$20 적용됩니다.

* 싱가폴 은행들은 환율이 좋지 않으므로 싱달러를 한국에서 환전 되도록 송금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공항에선 관리비용이 들기 때문에 일반 지점의 수수료에다 추가로 0.1&sim;1%포인트의 수수료를 물리고 있으므로 공항에서는 환전하지 않는 것이 유리합니다.


질문: 한국으로 거액 송금시 은행에 일정기간(3개월) 묵혀놓아야...

답변: 일반계좌는 그런 경우가 없으며, PR 이나 외국시민권자에게 발급하는 비거주자계정의 경우에는 제약을 받을 있다고 합니다.

 

질문: 금액을 가지고 한국 입국 휴대할 , 송금할 판단

(1) 싱가포르에서 원화 또는 싱가포르 달러를 휴대하여 한국으로 입국하는 방법

일단 미화 1 상당액을 초과한 금액을 휴대하여 입국하는 경우 항공기에서 배부하는 여행자 휴대품 수입신고서상 외화신고 부분에 체크하고 신고금액을 기재해야 합니다. 

세관직원이 소지한 외화 금액을 확인하고 외국환등록증(필증) 발급하게 됩니다. 법률적으로, 필증을 교부 받아야 해당 금액에 대해 국내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경우 특별히 세금이라든지 문제가 없으며 금액이 아주 경우 해당 금액의 취득 원천에 대해 문의를 받거나 필요시 증빙서류를 요청할 있지만 해외에서 근로활동 수익 원천을 합리적으로 밝히실 있으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금액을 휴대하여 반입하는 경우 분실, 도난 등의 위험이 있어 안전한 방법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1) 항목의 경우 관세청 담당입니다. 전화상담이 필요하시면 국번없이 125 입니다.

 
(2) 싱가포르에서 한국으로 송금하는 경우

1) 해외의 계좌에서 한국의 계좌로 송금되는 경우

외국거주자(내국인) 경우, 증여성 송금이 아니기 때문에 금액의 한도 없이 송금하실  있습니다.

2) 해외의 계좌에서 한국의 다른 사람 명의로 송금되는 경우

증여성 송금으로 판단돼 경우에 따라 증여세가 부과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화 5만불 이상, 과거에는 기준이 미화2만불이었습니다.)

3) 해외계좌에서 미화 1만불 초과 입금 은행에서 자동으로 국세청에 통보됩니다.

국세청에서는 특별히 주목할 만한 거래 내역에 대해서만 조사하고 필요시 송금액의 취득원천에 대한 자료를 요청합니다. 일반적 경우 연락이 오지 않으니 걱정 하셔도 됩니다.

(2) 관련사항은 한국은행 외환심사팀 또는 거래 은행의 지점 창구 직원에게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상담해 줍니다.

 

질문: 싱달러 S$2,600 원화로 환전하려고 합니다. 은행송금 or 환전소환전 어떤 쪽이 유리 합니까 ?

답변 :싱달러 $2,600 원화로 환전시에는 환전소에서 환전하는 것이 406 유리하며, S$2,600 넘는 경우에는 은행을 통해서 송금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2012 5 3 기준)

 

은행 송금시 : 2,314,504 = S$2,600 x 송금환율(S$904.04) - 로컬은행송금수수료 S$30(27,000) - 국민은행타행발수수료(9,000)

 

환전소환전시 : 2,314,910 = S$2,600 x 환율(890.35)

 

로컬은행 수수료 은행타행발수수료는 은행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있습니다)

 

*최근 환전문의하시는 분들을 대상으로한 환전사기 사건이 종종 발생하고 있사오니 가급적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하지 마시고 아래의 한국은행의 한국직원들께 문의하시거나 메일(hankookchon.com@gmail.com) 문의 주시면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국계은행>

 

신한은행 6536 1144 / 하나은행 6438 4100 /한국산업은행 6224 8188 /외환은행 6536 1633 /우리은행 6422 2000 /한국시티은행 1588 7000

 

<외국계은행>

 

POSB 1800-111-1111 /OCBC 1800-438-3333 /Standard Charterd 1800-747-7000 /UOB 1800-222-2121 /Citibank 1800-225-5225 /HSBC 1800-786-6666 


- 한국촌 -

::: 우리 따뜻한 한인 사회를 만들어 봐요! :::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Q

NO.1330

생활PR신청서류 준비중 제출관련질문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미미엄마(hjhstg) 2017-07-04
추천수 : 0 조회수 : 3,029

안녕하세요 싱가포리언 신랑과 제3국에서 살고있으며 PR 신청서류 준비중인데 질문이있습니다.   1.혼인관계증명서 : 저희가 아직 한국에서 혼인신고를 안해서 싱가폴가서 한국대사관영사과(?)에서 신고를 하려하는데,신고후 번역과 공증이 가능한건가요? 기간은 얼마정도 걸릴…

  • A

    1. 제가알기로는 한국 동사무소에 혼인신고를 하신경우 전산에 등록되는 시간이 2주인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하여 혼인 신고후 최대 2주가 지난후에 혼인증명서를 발급하여 번역후 영사 도장을 받을수 있을것 같구요.(한국 발급 혼인증명서 싱가폴 PR 서류 요건) 번역을 말씀하시는 것으로 봐서 싱가폴 대사관에서 한국정부에 혼인신고를 하는경우인것 같은데 기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모르겠습니다. 한국내 거주 관할 동사무소나 대사관에 확인해보셔야할것 같습니다. 싱가폴에서 ROM을 하시고 서류를 내는게 빠를것 같습니다만 이부분의 전산 등록기간이 얼마가 걸릴지 모르겠네요. . 2. 가족관계증명과 기본증명서를 출력하여 대사관에 가시면 개인정보 란이 비워져있는 각 항목이 번역된 폼이 있습니다. 그곳의 빈칸에 개인정보를 직접 작성하셔서 프린트하신후 도장을 받으시면 싱가폴 PR신청 서류 요건을 충족합니다. . 서류와 별개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영주권자가 연간 일정 일수 이상을 체류해야 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제 3국에 거주하시는 경우 PR승인이 거절되거나 문제가 될 소지가 있지않을까 생각됩니다. 이부분을 ICA에 이메일을 보내서 확인을 해보시면 좋을것 같네요.     

Q

NO.1326

생활PR 신청하려는데 문의 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moom(mijc) 2017-06-16
추천수 : 0 조회수 : 3,152

안녕하세요.   현재 EP로 3년째, 올해 8월이면 만2년이 되어서 EP연장도 회사에서 진행중입니다. 제가 연봉과 타이틀이  85,000SDG와 Senior Special list이고, 저는 계속 싱가포르에 거주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회사에서도 PR신청하는 것이…

  • A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답변을 드리면 1.PR신청시 기본증명서에 나오는 가족이 싱가폴에 체류하고 있다면 보통 같이 신청을 하라고 ICA직원이 권고하구요. 승인율에 영향을 미치냐는 질문에는 그냥 애매하게 일반적으로 가족이 같이 지내고 있으면 같이 신청을 한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2. 갱신시 자격 미비로 캔슬이 되면 캔슬 사유에 대한 요청 서류를 갖춰서 어필을 하여 다시 승인을 받을수 있는걸로 알고있구요 영주권자의 의지로 영주권을 더이상 갱신하지 않는경우 다시는 싱가폴 영주권이 불가한걸로 알고있습니다 3.가족이 한국에 있다면 구지 영주권을 신청할 이유가 없고 신청자격도 되지 않는걸로 알고있습니다.(non-residence) 영주권을 취득할경우 최소한 일년에 6개월 이상을(residence) 싱가폴에 체류하셔야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4. 회사에서 뭘 도와준다는건지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추천서를 적어줍니다. 그외에 추가로 법률대리인을 붙여준다던지 신청당일 휴가를 준다건지 하는거면 도움을 주는거라 생각이되네요^^ 또한 회사에서 받아야하는 서류(필수)가 한장 있습니다. 5. 영주권 승인은 복불복인것 같습니다만 (서비스직, 미혼, HDB룸렌트, 자산없음, 현지에서 대학 안나옴, 급여 3000대에도 승인을 받은 친구가 있습니다) 신청자격에 문제가 없고 갖추고 계신 조건들이 긍정적이지않나 생각되지만 승인확률이 높을것 같지는 않습니다. 6. 신청서류는 ICA홈페이지에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7. 한국촌 메인에 배너가 있는 이김컨설팅이나 종합컨설팅 같은 법률 서비스 회사에서 수수료를 받고 작성을 도와주겠지만 일부 증명서는 본인이 직접 받아야할것입니다. 또한 ICA에는 콜센터 및 온라인 문의가 가능하고 Fin이나 IC 없이 익명으로도 상담접수가 가능하니 2번 항목 같은 궁금하신 내용을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하시는게 더 확실한 사실확인 및 관련 기관의 대답을 들을 수 있는 방법인것 같습니다^^     

    1
Q

NO.1325

생활김치재료

  • 답글 : 3
  • 댓글 : 5
답변진행중
janetmom(ivylee) 2017-06-08
추천수 : 0 조회수 : 1,873

fair price나 자이언트에는 김치담을 배추 / 무등의 야채는 보지를 못하겠는데 어디를 가야 구매할수가 있을까요 ?? 6월말 입싱 예정인데 채소구매가 제일 걱정되네요. 집은 하버프론트역 근처예요. 정보좀 주세요....      

  • A

    잉?? 운이 없으셨나봐요~ 저도 하버근처에 살고 있어서 늘 장은 비보시티에 있는 자이언트에서 보고있는데, 김치 재료들이 거의 다 있습니다.   배추-차이나 옹박 이라는 이름의 배추가 거의 늘 있고요.. 운 좋은날은 한국서 온 배추나 호주 배추도 만날 수 있어요. 무 - 다이콘 이라고 라벨붙어있고, 조선무가 아니라 길죽한 왜무예요.. 달고 시원한 맛은 없지만 그래도 아쉬운대로 깍두기며 담가 먹고있습니다. 이 외에 대파, 쪽파, 부추, 미나리, 청홍고추, 마늘, 생강 등이 있으니 포기하지 마시고 꼭 찾으시길 바래요~ 화이팅!! ^^      

    1
  • A

    페어도 작은곳 큰곳 종류가 두개 있어요. 저는 두군데 모두에서 김치재료를 잘 구해서 먹고 있습니다. 야채코너에 배추, 무, 부추, 생강, 파, 마늘 다 있고요 액젓은 아쉬운데로 동네 식료품점에서 베트남 멸치액젓을 구해서 만드시면 됩니다. 그리고 굵은 소금도 식료품점에서 구하실수 있어요. 다만 고춧가루는 한국에서 준비해오시면 좋아요 여기 고추종류가 한국과 달라서 색도 다르고 엄청 맵거든요.       

    2
  • A

    차가 있으시면 Pasir Panjang Wholesale Centre를 추천드립니다. 서쪽 Haw Par Villa 바로 지나서이고 한국의 가락동 시장과 비슷합니다.. 건물별 야채, 과일, 생선, 건어물 별도로 있으며 신선하고, 가격이 저렴합니다...     

    2
Q

NO.1324

교육UWCSEA-EAST의 학비를 환불 받지 못하고 있는 …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m하하하m(takchoi) 2017-05-31
추천수 : 0 조회수 : 5,796

다른 학교에서 UWCSAE-EAST(이하 “UWC”)로 옮기고자 작년 하반기에 지원하여 올해 초 시험을 본 후 UWC로부터 3월 6일 입학허가서를 받았습니다. 4월 6일 계약서에 날인 하고 동월 10일 총 금액 SGD18,100-을 UWC로 입금하였습니다. 이때까지만 …

  • A

    제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그냥 상식선에서 위의 내용을 읽어본 후 판단하건데, 소액 재판으로 가더라도 님께서 돈을 받을 수 있는 확률은 없어 보입니다. 학교에서 말을 한 대로, 계약서 상에 명시되어 있는 대로 진행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분명히 계약서 상에는 "These fees will be forfeited to the college if the acceptance is cancelled, for whatever reasoon." 이라고 분명히 나와 있어요.  학교로부터 이 돈을 돌려 받으실려면 입학 허가/계약서에 해외 이주로 인한 경우, 환불을 해 준다는 내용이 있어야 하구요, 그렇지 않으면 승산이 없지요.  학교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위의 조항대로 안 따르고 님께 환불을 해 줄 경우, 선례를 남기게 되어 굉장히 많은 수의 아이들이 여러 학교에 등록을 걸어 놓고, 학기 시작 바로 전에 한 학교로 정해서 환불을 받는 등 다양한 편법이 악용될 수 있기 때문에 학교 입장에서는 절대 안 해 주려고 할 거에요.  제 생각에는 그냥 인생 경험 했다 생각하시고, 빠르게 포기하시는 편이 정신 건강에 좋을 것 같아요. 얘네가 이런 거 한 두 번 하는 케이스도 아닐 것 같고, 만약에 환불 의사가 있었으면 이미 해 줬을 것 같네요.       

  • A

    이런 말씀 드리기에 죄송스러우나   저는 환불을 요구하는 것 조차도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분명 계약서 싸인하실때 환불이 안된다는걸 확인하시고 인지하고 싸인을 하셨음에도 불구하고   개인 사정으로 인해 환불을 받아야 된다고 하시는거 자체가 이해가 안된다는 겁니다   계약서는 계약서입니다   혹시나 모르는 마음에 환불을 받을 루트가 있을까 싶어 여기저기 알아보시고 계시다면은    윗분 말대로 깔끔히 포기하고 시간낭비 안하시는게 좋으실듯 합니다   (손님이 많은 고급레스토랑에 몇달전부터 예약을 했다가 당일날 못가겠다고 취소하는거랑 뭐가 다를까요?)          

Q

NO.1319

생활영주권 신청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3
답변완료
olivialov2(olivialov2) 2017-05-11
추천수 : 0 조회수 : 2,510

안녕하세요, 저희가 이번에 PR 신청을 하려고 하는데 몇가지 궁금한 내용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남편은 EP로 싱가폴에서 십년정도 직장 생활을 해왔고 저는 DP입니다. 최근에 PR 신청을 하려고 하는데 지인 분께서 가족으로 둘이 같이 신청 하는것 보다 남편 혼자 …

  • A

    결론적으로 한마디로 말도 안되는 소리고 가족이 다 같이 신청해야 훨씬 유리합니다.  그냥 다른 거주자들도 참고하시라고 적어봅니다.  (2015년 9월 싱가폴선거 이후 PR관련 점점 강화)  1. 부부가 4년제 정규대졸( 싱가폴정부의 각 나라별 리스트) 2. 소득과직업 ( 최소 만불이상 당연히많을 수록 유리, 싱가폴에서 필요한 분야전공경력자 ** 파업기록없는비노조관련자)  3. 자녀 (많을 수록 유리 **인터내셔널 스쿨 Attending )  4. Tax Record (딩연히 많으면 많을 수록 유리)  5. 자산보유 ( pr신청시 콘도거주, or 소유등등) 6. 거주기간 ( 길면 길수록 유리, 요즘은 보통 6년이상)  7. 보유비자종류 ( PEP, or EP)  그외 예외적인 경우 (자산이 5-6백만불이상되고 고학력자 etc)  2-3년만에 받는 경우도 있죠 + 그외 중요 한 부분들 (신청인의 본국의 금융신용상태, 범죄기록, 위반등등).           

    3 채택답변
Q

NO.1311

사업/직장취업을 해야할지, 학교를 다시 가야할지 고민입니다ㅠㅠㅠ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슈정(jkp1489) 2017-02-07
추천수 : 0 조회수 : 3,449

안녕하세요. 저는 한국에서 영문학과를 졸업한 26살 여자입니다.  경력이라고는 미국 공항에서 인포데스크에서 인턴한 것과, 약 1년정도 영어 강사일 한 것이 전부입니다. 영어실력은 중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상대화는 하는데, 비즈니스 쪽은 아직 공부가 많이 필요한 정도라고…

  • A

      싱가폴은 외국이니까.. 외국학생들은 실제로 어떻게 잡 구하는지 알려드릴게요.   1. 자신이 관심있어하는 직종(마케팅, 인사 등)에서 인턴을 구합니다 2. 이 인턴 경험을 가지고 레쥬메를 잘 꾸며서 본격 잡 리서치레 들어갑니다.   인턴은 어떻게 구하느냐고 말씀하시면, 학교 때 배운 것들과 연관시켜서/ 혹은 신입다운 '배우고 싶은 의지'와 청령함으로 어필하시면 됩니다.   학교 다시 간다고 해서 취업이 보장되는 건 아닙니다. 학벌보다 실제 경력이 중요한 요즘인 것 같습니다.          

    2
  • A

    지나가다가 몇마디 남겨봅니다. 1. wp가 커리어에 있다면 PR이 무조건 거절된다는 말은 어디서 들었는지 모르겠지만 제 주변에 wp로 시작해서 sp도 되었다가 ep도 되었다가 또 wp도 되고 뭐 그렇게 수년을 살다가 PR을 승인 받은 친구들이 주변에 몇 있습니다. PR승인은 급여가 높건 체류기간이 길건 정말 케이스바이 케이스로 승인이 나오는것 같습니다. 2. 가장 확실하게 취업을 하실수있는 방법은 졸업후 인턴 프로그램이 있는 폴리테크닉 과정을 하신후 학교에서 graduation program으로 알선하는 업체에 취업을 하셔서 커리어를 쌓아 나가는 방법이 확률적으로는 가장 높지않나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인턴 급여나 근무조건면에서 학교를 마치시고 그기간을 얼마나 버텨내실수 있을지 우려가 되는 부분이 없진 않네요. 아니면 현시점에 인턴이나 정직원으로 채용이 가능한 일자리를 직접 찾아보시거나 에이전트를 이용하셔서 우선 시작하신후 경력관리를 통해 이직을 하시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근무조건이 좋지는 않지만 현재 경력조건에서 해볼만한 곳으로 창이공항 터미널4 오픈을 앞두고 면세점이나 관련 이용객 대응 업무로 다양한 잡오퍼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쉽게 찾아보실수 있습니다. 혹은 물류나 고객관리 쪽으로 다양한 분야의 잡오퍼가 있으니 흥미가 있으신 분야로 에이전트를 통하든 직접 컨택을 하시든 진행을 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3. 전공이나 향후 취업진로를 IT업계쪽으로 생각하고 계신데 현시점에서 얼마나 해당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선택하신것인지 염려가 되네요. 아이 낳고 늦게 시작해서 프리렌스로 일정이상의 소득을 올리시는 분들을 몇분 봤지만 어느정도 흥미가 있던 분들이었고 재능을 만들어 내신 분들이신것 같습니다 수학적 배경지식이 많이 필요한 쉽지는 않은 분야이니 진로를 잘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미국 항공사 인턴은 어떻게 가게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현실적으로 싱가폴 고용주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현지의 주소나 연락처가 없는 지원자에게 인터뷰 기회를 주는것은 상당한 모험입니다. 가급적이면 현지에 오프라인 채널을 만드셔서 연락이라도 대신 받아주거나 로컬 연락망을 이력서에 업데이트 하시는게 조금은 확률이 높지않나 생각이 드네요. 예전처럼 해외에서 대학을 마쳤더라도 구직비자를 얻어 일정기간 체류하면서 지원을 하시는게 좋지만 요즘은 제도가 없어져 관광비자로 오셔서 구직활동을 하시거나 에이전트를 통해서 오시거나 재직상태에서 이직이나 전직을 하시는 케이스가 일반적인것 같습니다. 다른나라에서 직접지원해서 화상인터뷰를 보고 오시는 분들도 더러 있는것 같구요. 제가 싱가폴에 살면서 느낀 개인적인 생각이니 그냥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 하고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저도 처음엔 에이전트를 이용해서 와서 짧은 기간에 바로 이직을 했습니다.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