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미답변
  • 기타
  • 싱가폴 병원
  • Yahoo (ruli01)
  • 질문 : 51건
  • 질문마감률 : 0%
  • 2009-06-07 02:21
  • 답글 : 0
  • 댓글 : 1
  • 1,218
  • 5
저희 누나가 지난주부터 고열때문에 입원했습니다. 원래는 창이 호스피텔에 갈려고 했는데 지인의 말로는 정부 병원은 오래 기다려아하고 서비스도 안좋다고 해서 일부러 좀 비싼 사립병원에 갔습니다. (East shore hospital) EP홀더라 병원비 지원을 하나도 못 받고 병원비 100% 그대로 내자고 하니 장난아니였습니다. 일단 치료비가 비싼건 제쳐놓고 서비스나 질이 좋으면 말안하겠는데 그냥 병원에 입원해서부터 의사얼굴은 하루에 5분정도 볼가말가 하고 전부 필리핀/중국에서 온 영어못하고 딱 봐도 프로패셜하지 못한 간호사들한테서 치료받는데 거의 미칠 지경입니다. 링거 맞는 시간도 제대로 체크안해서 하루도 3번씩 피가 거꾸로 역류하는 사고가 터지고 그리고 하는 말이 쏘리.. 1. 힘없어서 쉬고있는 저희 누나보고 "너 한국인이니? 한국 무슨무슨 드라마 본적있니? 왜 본적없니?....???" 끝없는 질문에 누나는 그냥 무시해버렸고(진짜 들어주는것조차 힘들정도로 허약한사람놓고 한다는 얘기들이 이따위예요. 2. 들어와서 열이나네 하구 나가니 해열제 갖여오려니 기다려도 감감무소식. 나중에 나가보니 그 간호사는 벌써 집에 가고 다른 간호사가 교대중. 컴플레인을 해도 해도 그때뿐이고. 3. 약 몇알. 링거하나. 모니터 기계사용료. 거의 모든부분을 딱딱 체크하면서 치료비로 매기니 하루 입원비가 1000 불(약도 거의 안 주고 그냥 3가지 기본적인 링거만 줄곧 맞습니다.) 이제 5일했으니 아마 5천불은 넘을것입니다. 병원의 시설은 호텔급이지만 환자의 입장으로선 호텔처럼 사치한 서비스를 받기보다 빨리 병이나 좀 치료받았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그많은 돈을 사용하고도 별 차도를 못보니 참 미칠 지경에 이르죠. 당초 한국에 비행기타고 가서 전면검사에 치료받아도 남을 돈이죠. 너무 황당한 싱가폴 병원체험에 두서없이 글 올렸습니다. 혹시 EP홀더에 싱가폴에서는 따로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저희 같은 경우 이런 질 차한 진료받고도 다른병원보다 훨씬 비싼 진료비를 다 줘야하나요? 돈 문제보다 진짜 화가 많이 납니다. 잘 아시는 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142

기타복숭아뼈에 금이갔는데...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cbw(koindol33) 2009-05-10
추천수 : 2 조회수 : 1,005

병원가서 사진찍었더니 살짝 금이 가있어서 그냥 쉬면 낫는다 해서 그냥 있었는데요 2주가 지났는데 아직도 복숭아뼈는 부어있어요. 다시 같은 병원에 가서 사진찍어보는게 나을까요? 병원좀 추천해주세요 먼저간병원은 이스트쇼어병원이었어요.     

  • A

    안녕하세요. 저는 METRO YMCA 김정철간사라고 합니다. 내용을 보니 아마 족근골 같구요 특별한 치료 보다는 무엇보다 안정을 취하면서 일상생활에서 회복할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응급처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고정>>일단 제 생각에는 반깁스라도 해서 고정시켜야 하며 최대한 움직임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됩니다(4주).   찜질>>보통 관절 등을 다치면 48시간 내에는 찬 찜질을 통해 부상 부위의 염증이나 출혈을 막고 부기를 가라않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그 이후에는 따뜻한  찜질로써 혈액 순환을 도와 관절에 원활한 영양공급을 할수 있도록 하여 회복에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부기가 있다면 얼음찜질이 더 효과적입니다.부기가 있는 상황에서 더운 찜질을 하면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부종과 출혈을 더 악화 시켜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습니다.   얼음 찜질 시 얼음을 수건 또는 비닐봉지로 싸서 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비닐 봉지를 이용시 얼음의 표면에 약간 물기가 흐를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취침>>취침 시에 항상 발을 심장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활 운동>>시간 경과 후 의사선생님의 진단을 받고나서 일상생활을 할 경우 무엇보다 근력운동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저 강도의 운동에서 부터 시작해야하구요.) 주변근육의 발달과 관절을 보호 할 수 있는 힘을 기르고 또한 하체의 좌우 근력발달의 균형을 맞도록 하기 위함 입니다.(예-서서 발 뒷꿈치 들기, 무릎 구부렸다고 펴기 등) 발목은 처음 다쳤을 경우(염좌, 골절, 인대손상, 건 손상) 완벽한 회복을 할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일상 생활을 하는데 조금 통증이 있어도 참고 움직이시면 자칫 만성으로 이어 질수 있으니 더욱 그러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병원가서 사진찍었더니 살짝 금이 가있어서 그냥 쉬면 낫는다 해서 그냥 있었는데요 >2주가 지났는데 아직도 복숭아뼈는 부어있어요. >다시 같은 병원에 가서 사진찍어보는게 나을까요? >병원좀 추천해주세요 >먼저간병원은 이스트쇼어병원이었어요.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